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76644 | |
005 | 20190320133638 | |
007 | ta | |
008 | 190318s2019 ulka b 001c kor | |
020 | ▼a 9791130307213 ▼g 93350 | |
035 | ▼a (KERIS)BIB000015087482 | |
040 | ▼a 211017 ▼c 211017 ▼d 211009 | |
082 | 0 4 | ▼a 352.6 ▼2 23 |
085 | ▼a 352.6 ▼2 DDCK | |
090 | ▼a 352.6 ▼b 2019 | |
100 | 1 | ▼a 임도빈 ▼0 AUTH(211009)81600 |
245 | 1 0 | ▼a 인사행정론 : ▼b 정부경쟁력의 관점에서 / ▼d 임도빈, ▼e 유민봉 |
246 | 1 1 | ▼a Personnel administration |
250 | ▼a 제5판 | |
260 | ▼a 서울 : ▼b 박영사, ▼c 2019 | |
300 | ▼a xxvi, 574 p. : ▼b 삽화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유민봉, ▼e 저 ▼0 AUTH(211009)30047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2.6 2019 | Accession No. 11181413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2.6 2019 | Accession No. 11184919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유민봉(지은이)
대전에서 태어났고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한(1980년) 후 미국 텍사스대에서 정책학석사를 오하이오주립대에서 행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990년). 행정고시(제23회)를 합격하였고 해병대 중위로 군복무를 마쳤다(1983년). 1991년에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를 시작하였으며 대학의 기획조정처장․국정전문대학원장 및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3년 박근혜 정부의 국정기획수석과 청불회(청와대불자회)장을 맡아 일했다. 제20대 국회의원(비례대표, 현 국민의힘)으로 4년간 의정활동을 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행정학(2021, 7판), 리콴유의 눈으로 본 세계(2017, 역서), 공공정책과 기업가형 리더십(2008, 제2저자), 나를 찾아가는 자기경영(2003) 등이 있다.
임도빈(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를 나온 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그리고 파리 정치대학에서 사회박 박사를 취득하였다. 한국행정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원장을 역임하였다. 정부 경쟁력 이론을 정립하고, 사람중심의 더 좋은 한국 사회를 만들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인적자원관리라는 측면에서 공공부분의 역할과 대학교육의 중요성에 관심을 갖고 있다. 한국정책학회, 한국행정학회 그리고 서울대학교에서 각각 학술상을 수여받았다. 40여 권의 저서와 주요 국내외 주요학술지에 200여 편 가량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국가와 좋은 행정, 왜 서번트 리더십인가, 행정학, 인사행정론, 한국행정조직론, 비교행정학, The Two Sides of Korean Administrative Culture(2019), The Experience of Democracy and Bureaucracy in South Korea(2017) 등이 있다. (tobin@snu.ac.kr)

Table of Contents
제 1 편·인사행정의 기초 제 1 장·인사행정의 의의 1. 인적자원의 의의 ……………………………………………………… 6 2. 인사행정의 중요성 …………………………………………………… 8 3. 인사행정의 특성: 인사관리와의 비교 ………………………… 10 4. 인사행정의 체제론적 접근 ……………………………………… D2><113 4.1 체제모형에 의한 구성 ………………………………………… 13 4.2 인사행정의 주요 기능 ………………………………………… 15 제 2 장·인사행정의 외부환경요소 1. 법적 환경 ……………………………………………………………… 21 1.1 헌··법 ……………………………………………………… 22 1.2 법··률 ……………………………………………………… 24 1.3 명령 및 예규 …………………………………………………… 26 2. 정치적 환경…………………………………………………………… 27 3. 경제적 환경…………………………………………………………… 28 4. 사회·문화적 환경 ………………………………………………… 29 5. 기술적 환경…………………………………………………………… 31 6. 민간부문의 인사관리 ……………………………………………… 32 제3장·인사행정의 이념 1. 인사행정이 추구하는 이념 ……………………………………… 36 1.1 민 주 성 ……………………………………………………… 36 1.2 효 율 성 ……………………………………………………… 37 1.3 형 평 성 ……………………………………………………… 39 1.4 공무원의 권익보호 …………………………………………… 40 2. 인사행정의 이념과 목표의 연결………………………………… 42 제2 편·인사행정의 내부환경요소 제4장·실적주의제와 직업공무원제 1. 실적주의제 …………………………………………………………… 53 1.1 의··의 ……………………………………………………… 53 1.2 우리나라의 제도와 실태………………………………………… 59 1.3 발전방향 ……………………………………………………… 64 2. 직업공무원제 ………………………………………………………… 66 2.1 개··념 ……………………………………………………… 66 2.2 서구의 경험 …………………………………………………… 67 2.3 직업공무원제의 기능 …………………………………………… 69 2.4 직업공무원제 수립을 위한 조건 ………………………………… 71 2.5 직업공무원제의 적용방법 ……………………………………… 74 2.6 우리나라의 실태와 발전방향 …………………………………… 77 제5장·공직의 분류제도: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1. 계 급 제 ……………………………………………………………… 82 1.1 의··의 ……………………………………………………… 82 1.2 특··성 ……………………………………………………… 82 1.3 장점과 단점 …………………………………………………… 87 2. 직위분류제 …………………………………………………………… 89 2.1 의··의 ……………………………………………………… 89 2.2 계급제와의 비교를 통한 이해…………………………………… 91 2.3 직위분류제의 수립 및 관리 …………………………………… 94 3. 공직분류제도의 발전방향 ……………………………………… 100 3.1 외국의 경험…………………………………………………… 100 3.2 우리나라의 실태와 발전방향 ………………………………… 106 제6장·인사기관 1. 의··의 ……………………………………………………………… 117 2. 조직상의 특성 ……………………………………………………… 118 2.1 정치적 독립성 ………………………………………………… 119 2.2 공 평 성 ……………………………………………………… 121 2.3 집 권 성 ……………………………………………………… 122 3. 조직의 유형 ………………………………………………………… 123 3.1 위원회형 ……………………………………………………… 124 3.2 부처조직형 …………………………………………………… 125 3.3 중앙인사위원회의 사례 ……………………………………… 125 4. 중앙인사기관의 유형결정시 고려할 요소…………………… 127 제3 편·직무와 개인의 이해 제7장·직무의 이해 1. 직무분석 ……………………………………………………………… 137 1.1 직무분석의 용도 ……………………………………………… 137 1.2 자료수집 ……………………………………………………… 139 1.3 직무기술서 작성 ……………………………………………… 142 1.4 직무분류 ……………………………………………………… 142 2. 직무평가 ……………………………………………………………… 145 2.1 의··의 ……………………………………………………… 145 2.2 서 열 법 ……………………………………………………… 146 2.3 분 류 법 ……………………………………………………… 147 2.4 점 수 법 ……………………………………………………… 148 2.5 요소비교법 …………………………………………………… 151 3. 한국정부의 직무분석 도입사례………………………………… 154 3.1 의··의 ……………………………………………………… 154 3.2 직무분석의 절차 ……………………………………………… 155 제8장·개인의 이해 1. 개인특성: KSA …………………………………………………… 164 1.1 의··의 …………………………………………………… 164 1.2 지··식 ……………………………………………………… 165 1.3 기··술 ……………………………………………………… 165 1.4 능··력 ……………………………………………………… 166 1.5 개인별 차이와 관리적 의미 …………………………………… 168 2. 직무만족 ……………………………………………………………… 169 2.1 의··의 ……………………………………………………… 169 2.2 직무만족의 결정요인 ………………………………………… 170 2.3 직무만족과 근무실적 ………………………………………… 173 3. 한국 인사행정의 유사제도 ……………………………………… 175 제4 편·인적자원의 충원 제9장·모··집 1. 의··의 ……………………………………………………………… 185 2. 적극적 모집 ………………………………………………………… 186 2.1 모집공고의 개선 ……………………………………………… 187 2.2 인력형성에의 직접참여 ……………………………………… 189 2.3 수험부담의 경감 ……………………………………………… 190 3. 지원자격의 제한과 우대 ………………………………………… 191 3.1 의··의……………………………………………………… 191 3.2 쟁··점……………………………………………………… 192 제10장·선··발 1. 선발의 중요성 ……………………………………………………… 199 2. 선발과정: 선발도구 ……………………………………………… 200 2.1 서류전형: 지원서……………………………………………… 201 2.2 선발시험 ……………………………………………………… 202 2.3 면··접 ……………………………………………………… 204 2.4 신원조사 및 신체검사 ………………………………………… 205 2.5 시보임용 ……………………………………………………… 206 2.6 선발방식의 다양화 …………………………………………… 207 3. 선발시험의 효용성 ………………………………………………… 209 3.1 신 뢰 성 ……………………………………………………… 209 3.2 타 당 성 ……………………………………………………… 211 3.3 부수적 요건들 ………………………………………………… 219 4. 우리나라 국가시험의 문제점 …………………………………… 222 제5 편·인적자원의 계발 제11장 ·교육훈련 1. 개··념 ……………………………………………………………… 239 2. 교육훈련의 수요조사……………………………………………… 242 2.1 수요의 종류…………………………………………………… 242 2.2 자료수집 및 범위 ……………………………………………… 243 2.3 교육훈련의 용도 ……………………………………………… 244 3. 교육훈련의 집행 …………………………………………………… 245 3.1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 245 3.2 교육훈련의 실시 ……………………………………………… 249 4. 효과성평가…………………………………………………………… 255 4.1 피교육자의 만족도평가 ……………………………………… 255 4.2 교육훈련의 효과성평가 ……………………………………… 256 5. 우리나라 공무원 교육훈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259 5.1 교육훈련 예산 ………………………………………………… 259 5.2 교육훈련의 수요조사 ………………………………………… 260 5.3 교육훈련 프로그램 …………………………………………… 261 5.4 교육훈련의 평가 ……………………………………………… 265 5.5 효과성 원인분석: 종합대책 …………………………………… 267 제12장·인사이동 1. 승··진 ……………………………………………………………… 271 1.1 의··의……………………………………………………… 271 1.2 승진의 허용범위: 경계의 개방과 폐쇄 ………………………… 272 1.3 승진의 기준: 연공서열 대 실적………………………………… 277 1.4 승진에 관한 종합적 논의 ……………………………………… 281 2. 배치전환 ……………………………………………………………… 284 2.1 의··의……………………………………………………… 284 2.2 용··도……………………………………………………… 285 2.3 우리나라의 배치전환제도의 실제 …………………………… 287 3. 경력개발계획………………………………………………………… 290 3.1 의··의……………………………………………………… 290 3.2 경력개발계획의 과정 ………………………………………… 292 3.3 개인의 경력발전노력 ………………………………………… 293 3.4 조직의 경력발전활동 ………………………………………… 294 제6 편·인적자원의 동기관리 제13장·동기부여 1. 의··의 ……………………………………………………………… 303 1.1 중 요 성 ……………………………………………………… 303 1.2유 형 ……………………………………………………… 304 2. 내 용 론 ……………………………………………………………… 307 2.1 인간의 욕구계층 ……………………………………………… 308 2.2 동기·위생요인 ……………………………………………… 311 3. 과 정 론 ……………………………………………………………… 311 3.1 기대이론 ……………………………………………………… 312 3.2 형평성이론 …………………………………………………… 317 4. 공공봉사동기………………………………………………………… 320 4.1 PSM의 3차원 ………………………………………………… 321 4.2 PSM의 효용성 ………………………………………………… 322 5. 동기의 자기결정이론……………………………………………… 323 5.1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의 관계 …………………………… 324 5.2 시사점………………………………………………………… 327 6. 한국적 동기이론 …………………………………………………… 327 6.1 기존 이론의 한계……………………………………………… 328 6.2 집단주의와 동기 ……………………………………………… 329 6.3 개인수준의 동기 ……………………………………………… 331 6.4 시간의 특성…………………………………………………… 331 6.5 한국인 동기의 한계: 확장기와 수축기 ………………………… 332 제14장·공무원의 행동: 가치기준과 행동규범 1. 공무원행동의 가치기준: 공익 ………………………………… 339 1.1 의··의 …………………………………………………… 339 1.2 공익실체설 …………………………………………………… 340 1.3 공익과정설 …………………………………………………… 341 1.4 종합적 논의: 공공성…………………………………………… 342 2. 공무원의 행동규범 ………………………………………………… 343 2.1 의··의 ……………………………………………………… 343 2.2 윤리관련 법규 ………………………………………………… 344 2.3 윤리강령 채택 ………………………………………………… 347 3. 행동규범 위반과 제재 …………………………………………… 349 3.1 유··형 ……………………………………………………… 349 3.2 부정·부패의 요인 …………………………………………… 351 3.3 제재의 방법…………………………………………………… 354 4. 징··계 ……………………………………………………………… 359 4.1 의··의 ……………………………………………………… 359 4.2 징계사유와 절차 ……………………………………………… 360 4.3 관리적 접근…………………………………………………… 362 제15장·공무원의 권리: 제한과 보호 1. 기본권의 제한 ……………………………………………………… 368 1.1 제한의 의의 ………………………………………………… 368 1.2 정치적 중립성: 정치활동의 제한 ……………………………… 370 1.3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 ……………………………………… 373 1.4 사생활자유권의 제한 ………………………………………… 375 2. 공무원의 보호: 노조활동 ……………………………………… 378 2.1 노사관계의 의의 ……………………………………………… 378 2.2 공무원 노동조합의 필요성 …………………………………… 380 2.3 공무원 노동조합의 결성 ……………………………………… 381 2.4 공무원노조의 활동 …………………………………………… 385 2.5 우리나라 공무원노조의 발전방향 ……………………………… 389 3. 신분보장 ……………………………………………………………… 397 3.1 의··의 ……………………………………………………… 397 3.2 법적인 보호…………………………………………………… 398 3.3 신분보장에 대한 쟁점 ………………………………………… 400 4. 소청 및 고충의 심사……………………………………………… 402 4.1 소청심사청구 ………………………………………………… 402 4.2 고충심사청구 ………………………………………………… 405 제7 편·인적자원의 평가 제16장·근무성과평가 1. 개··념 ……………………………………………………………… 417 1.1 목··적……………………………………………………… 417 1.2 체제모형 구성 ………………………………………………… 419 2. 근무성과평가의 조건 ……………………………………………… 420 2.1 타 당 성 ……………………………………………………… 420 2.2 신 뢰 성 ……………………………………………………… 420 2.3 변 별 력 ……………………………………………………… 421 2.4 수 용 성 ……………………………………………………… 421 2.5 실 용 성 ……………………………………………………… 422 3. 근무성과평가의 방법 ……………………………………………… 422 3.1 평정방법 ……………………………………………………… 422 3.2 목표관리제 평정법 …………………………………………… 427 3.3 대안으로서의 평정방법 ……………………………………… 432 3.4 평정방법의 비교 ……………………………………………… 437 4. 근무성과 평정체제의 개발과 관리 …………………………… 438 4.1 평 정 자 ……………………………………………………… 439 4.2 평정요소 ……………………………………………………… 441 4.3 평정오류 ……………………………………………………… 445 4.4 평정결과 ……………………………………………………… 449 4.5 근무평가와 역량평가의 문제점 ……………………………… 454 제17장·정부경쟁력과 생산성 1. 필 요 성 ……………………………………………………………… 458 2. 의··의 ……………………………………………………………… 459 2.1 투입-산출로서의 생산성 ……………………………………… -459 2.2 효과성으로서의 생산성 ……………………………………… 460 2.3 체제모형으로서의 생산성 …………………………………… 461 3. 정부경쟁력과 생산성의 적용 …………………………………… 462 3.1 측정의 문제…………………………………………………… 462 3.2 한국정부의 경쟁력 …………………………………………… 463 3.3 경쟁력의 저해요인 …………………………………………… 465 4. 정부경쟁력과 생산성의 제고방안……………………………… 471 4.1 신바람 인센티브제 …………………………………………… 472 4.2 양적 근무에서 질적 근무로 ……………………………………473 4.3 직무충실화 …………………………………………………… 479 4.4 제안제도 ……………………………………………………… 483 제18장·보··수 1. 의··의 ……………………………………………………………… 493 1.1 보상체계의 개념 ……………………………………………… 493 1.2 보수의 특성…………………………………………………… 494 1.3 보수의 중요성 ………………………………………………… 496 2. 보수관리 ……………………………………………………………… 497 2.1 보수관리의 규범적 기준 ……………………………………… 497 2.2 보수관리의 체계 ……………………………………………… 498 3. 보수수준의 관리: 보수수준 결정 ……………………………… 500 3.1 보수의 일반수준 결정시 고려사항 …………………………… 501 3.2 보수수준 결정의 국가간 비교 ………………………………… 503 3.3 생계비조사와 임금조사 ……………………………………… 505 4. 보수체계의 관리 …………………………………………………… 511 4.1 개별 공무원의 보수수준 결정: 보수표개발 …………………… 511 4.2 보수의 구성…………………………………………………… 517 5. 보수형태의 관리 …………………………………………………… 525 5.1 시간급과 월급 ………………………………………………… 525 5.2 시간기준의 보수관리 ………………………………………… 525 5.3 성 과 급 ……………………………………………………… 526 제19장·간접보상: 연금 및 후생복지 1. 공무원 신분의 소멸 ……………………………………………… 535 2. 정년관리 ……………………………………………………………… 537 2.1 정년퇴직관리 ………………………………………………… 537 2.2 공로연수 ……………………………………………………… 538 3. 연··금 ……………………………………………………………… 538 3.1 이론적 쟁점 ………………………………………………… 539 3.2 연금의 관리체계 ……………………………………………… f1545 3.3 연금제도 개혁 ………………………………………………… 550 4. 후생복지 ……………………………………………………………… 554 4.1 후생복지 종류 ……………………………………………… 555 4.2 선택형 복지제도 ……………………………………………… 557 4.3 퇴직공무원의 복지 …………………………………………… 559 찾아보기 …………………………………………………………………………… 563 그림 표 차례 [그림 1-1 ] 개방체제 …………………………………………………………………… 13 [그림 1-2] 인사행정의 체제 모형 …………………………………………………… 15 [그림 3-1] 직무-개인 통합모형 ……………………………………………………… 44 [그림 4-1] 공공기관 직업의 다양성 ………………………………………………… 69 [그림 4-2] 직업공무원제의 범위와 정도에 관한 주요 쟁점 …………………… 75 [그림 5-1] 직위분류 관련용어의 도식적 이해 …………………………………… 91 [그림 5-2] 직위분류제 수립절차 …………………………………………………… 95 [그림 6-1] 중앙인사기관의 조직구조적 관계 …………………………………… 118 [그림 6-2] 행정수반·가치·인사기관의 관계…………………………………… 128 [그림 7-1 ] 정부 직무분석의 단계 ………………………………………………… 156 [그림 8-1 ] 직무만족의 결정요인: 상호작용모형 ………………………………… 172 [그림 8-2] 실적과 만족의 관계: Lawler - Porter 모형 ……………………… 174 [그림 10-1] 선발과정 ………………………………………………………………… 200 [그림 10-2] 타당성의 유형 및 관계 ……………………………………………… 217 [그림 10-3] 효용성에의 영향 ……………………………………………………… 218 [그림 10-4] 경쟁률이 시험의 효용성에 미치는 영향…………………………… 220 [그림 11-1 ] 직위와 개인직무능력과의 관계 ……………………………………… 240 [그림 11-2] 교육훈련 과정모형 …………………………………………………… 241 [그림 11-3] 교육훈련 프로그램 체계 ……………………………………………… 248 [그림 11-4]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 ………………………………… 257 [그림 12-1] 단계별 승진기준 ……………………………………………………… 281 [그림 13-1 ] 성과급의 유형 ………………………………………………………… 306 [그림 13-2] 내용론에서의 욕구와 보상(동기요인)과의 관계 ………………… 307 [그림 13-3] 기대이론모형…………………………………………………………… 312 [그림 13-4] 형평이론모형…………………………………………………………… 319 [그림 13-5] 자기결정과 동기의 연속성 …………………………………………… 325 [그림 13-6] 목표이론관점에서 본 시간과 효용간 관계 ………………………… 332 [그림 14-1] 공무원행동의 윤리적 규범영역 ……………………………………… 339 [그림 15-1] 노사관계의 체제모형 ………………………………………………… 378 [그림 15-2] 징계와 소청·고충심사의 대비 ……………………………………… 402 [그림 15-3] 불이익처분에 대한 소청절차 ………………………………………… 404 [그림 15-4] 고충심사청구 및 처리절차 …………………………………………… 407 [그림 16-1] 근무성적 평정체제 …………………………………………………… 419 [그림 16-2] 근무성적 평정체제 구성요소간의 관계 …………………………… 438 [그림 16-3] 근무성적 평정요소의 구조적 연관성 ……………………………… 442 [그림 16-4] 집중화·관대화·엄격화 경향 ……………………………………… 446 [그림 16-5] 단어 제시 순서………………………………………………………… 448 [그림 16-6] 근무성적 평정단계(5급 이하) ……………………………………… 450 [그림 17-1] 체제모형에 의한 생산성 개념 ……………………………………… 461 [그림 17-2] 일-가정 양립…………………………………………………………… 468 [그림 17-3] 탄력시간제를 적용한 근무스케줄 …………………………………… 475 [그림 17-4] 직무특성이론 …………………………………………………………… 482 [그림 18-1] 보상체계 ………………………………………………………………… 493 [그림 18-2] 보수의 개념 …………………………………………………………… 494 [그림 18-3] 보수의 관리체계 ……………………………………………………… 500 [그림 18-4] 보수의 일반수준 결정시 영향요인 ………………………………… 501 [그림 18-5] 공무원 보수결정의 비교……………………………………………… 504 [그림 18-6] 임금곡선과 보수정책선 ……………………………………………… 512 [그림 18-7] 보수액의 중첩 ………………………………………………………… 516 [그림 18-8] 보수체계의 구성 ……………………………………………………… 520 [그림 18-9] 공무원 보수체계 현황………………………………………………… 530 [그림 19-1] 연금제도의 다중구조 ………………………………………………… 545 [그림 19-2] 연금의 관리체계: 기금의 조성·운용·배분 ……………………… 546 <표 2-1> 헌법과 관련된 인사행정의 주요 쟁점…………………………………… 23 <표 2-2> 공무원에 대한 법적 제약 ………………………………………………… 25 <표 3-1> 인적자원관리론의 변화 …………………………………………………… 45 <표 5-1 >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특성 비교 ……………………………………… 92 <표 5-2>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장·단점 비교 ………………………………… 93 <표 5-3> 행정직군 공무원의 직급표 ……………………………………………… 107 <표 7-1> 직무분석의 용도…………………………………………………………… 138 <표 7-2> 직무평가의 방법 분류 …………………………………………………… 145 <표 7-3> 상호비교방식의 서열법 ………………………………………………… 146 <표 7-4> 미국 연방정부의 직위분류제에서 사용하는 등급기준표(일부) …… 148 <표 7-5> 점수법에서의 평가요소선정과 가중치결정 예………………………… 149 <표 7-6> 직무평가표 ………………………………………………………………… 150 <표 7-7> 등 급 표 …………………………………………………………………… 151 <표 7-8> 기준직무에 대한 평가요소별 점수배분표……………………………… 152 <표 7-9> 요소비교법의 직무평가표: 요소비교표 ………………………………… 153 <표 7-10> 8가지 직무평가 요소 …………………………………………………… 158 <표 8-1> 지적 능력들………………………………………………………………… 167 <표 8-2> 신체적·생리적 능력들 ………………………………………………… 168 <표 8-3> 개인특성이 고려될 인적자원관리 방법 ……………………………… 169 <표 9-1> 공직진입 및 공직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86 <표 9-2> 대표관료제 정책적 인사평가기준 ……………………………………… 196 <표 10-1> 표준질문서………………………………………………………………… 207 <표 10-2> 선발방법의 장·단점 비교 …………………………………………… 208 <표 10-3> 5급 공채 면접위원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 ………………………… 211 <표 10-4> 신뢰성과 타당성의 관계 ……………………………………………… 218 <표 11-1> 교육훈련의 필요성 ……………………………………………………… 241 <표 11-2> OJT와 Off JT의 장·단점 비교 ……………………………………… 247 <표 11-3> 교육훈련방법의 효과성 평가…………………………………………… 251 <표 12-1> 승진제도 비교 …………………………………………………………… 279 <표 13-1> 마슬로우의 욕구계층, 앨더퍼의 ERG, 허쯔버그의 2요인이론 비교… 308 <표 13-2> Perry의 PSM 구성차원 ……………………………………………… 321 <표 14-1> 윤리관련 법규의 구조…………………………………………………… 345 <표 14-2> 징계의 종류 ……………………………………………………………… 360 <표 15-1> 노조가입방식……………………………………………………………… 382 <표 15-2> 각국의 공무원 노동권 비교 …………………………………………… 384 <표 15-3> 쟁의행위수단 …………………………………………………………… 388 <표 15-4> 노동쟁의 조정방법 ……………………………………………………… 389 <표 15-5> 주요 국가의 공무원노동조합 현황 …………………………………… 390 <표 15-6> 미국 민간분야와 정부의 노동조합활동상의 차이점 ……………… 392 <표 16-1> 공무원 성과평가서(일부) ……………………………………………… 425 <표 16-2> 성과계약서 ……………………………………………………………… 429 <표 16-3> 최종평가서(사례) ………………………………………………………… 431 <표 16-4> 근무성적 평정방법의 선택기준 ……………………………………… 437 <표 16-5> 성과면담결과 …………………………………………………………… 453 <표 17-1> 각국 행정서비스 처리기간 비교(OECD 22개국 비교) …………… 464 <표 17-2> 비정규직 근로자의 분류 및 정의……………………………………… 469 <표 17-3> 직무재설계이론의 발달과정 …………………………………………… 480 <표 18-1> 보수관리의 영역 ………………………………………………………… 499 <표 18-2> 공무원 보수결정방식의 비교 ………………………………………… 504 <표 18-3> 임금조사표 포함내용 …………………………………………………… 509 <표 18-4> 성과급 지급 ……………………………………………………………… 524 <표 19-1> 공무원신분의 변경과 소멸……………………………………………… 536 <표 19-2> 주요국의 공무원연금제도 비교 ……………………………………… 541 <표 19-3> 국가별 공무원제도와 공적연금제도의 유형구분 …………………… 542 <표 19-4>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제도의 비교 ………………………………… 544 <표 19-5> 연금급여의 종류 및 지급비율 ………………………………………… 549 <표 19-6> 외국 공무원연금제도의 개혁방향 …………………………………… 552 <표 19-7> 카페테리아플랜 수행 기업사례………………………………………… 557 <표 19-8> 행정관청 관련 전문자격인제도 ……………………………………… 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