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최신) 임상심리학

(최신) 임상심리학 (2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민섭, 저 권석만, 저 민병배, 저 이용승, 저 박중규, 저 정승아, 저 김영아, 저 박기환, 저 송현주, 저 장은진, 저 조현주, 저 고영건, 저 송원영, 저 진주희, 저 이지영, 저 최기홍, 저
서명 / 저자사항
(최신) 임상심리학 / 신민섭 [외]지음
발행사항
서울 :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형태사항
740 p. : 천연색삽화, 도표 ; 26 cm
ISBN
9791189946012
일반주기
공저자: 권석만, 민병배, 이용승, 박중규, 정승아, 김영아, 박기환, 송현주, 장은진, 조현주, 고영건, 송원영, 진주희, 이지영, 최기홍  
서지주기
참고문헌(p. 701-723)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76633
005 20190320111532
007 ta
008 190318s2019 ulkad b 001c kor
020 ▼a 9791189946012 ▼g 9318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616.89 ▼2 23
085 ▼a 616.89 ▼2 DDCK
090 ▼a 616.89 ▼b 2019z1
245 2 0 ▼a (최신) 임상심리학 / ▼d 신민섭 [외]지음
246 1 4 ▼a 한국 임상심리 연구와 현장의 전문가 열여섯 명이 쓴 최신 임상심리학
260 ▼a 서울 : ▼b 사회평론아카데미, ▼c 2019
300 ▼a 740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6 cm
500 ▼a 공저자: 권석만, 민병배, 이용승, 박중규, 정승아, 김영아, 박기환, 송현주, 장은진, 조현주, 고영건, 송원영, 진주희, 이지영, 최기홍
504 ▼a 참고문헌(p. 701-723)과 색인수록
700 1 ▼a 신민섭, ▼e▼0 AUTH(211009)88934
700 1 ▼a 권석만, ▼e▼0 AUTH(211009)144188
700 1 ▼a 민병배, ▼e▼0 AUTH(211009)49213
700 1 ▼a 이용승, ▼e▼0 AUTH(211009)89263
700 1 ▼a 박중규, ▼e▼0 AUTH(211009)66131
700 1 ▼a 정승아, ▼e▼0 AUTH(211009)57132
700 1 ▼a 김영아, ▼e▼0 AUTH(211009)18586
700 1 ▼a 박기환, ▼e▼0 AUTH(211009)49179
700 1 ▼a 송현주, ▼e▼0 AUTH(211009)59767
700 1 ▼a 장은진, ▼e▼0 AUTH(211009)91464
700 1 ▼a 조현주, ▼e▼0 AUTH(211009)24915
700 1 ▼a 고영건, ▼e▼0 AUTH(211009)62656
700 1 ▼a 송원영, ▼e▼0 AUTH(211009)131931
700 1 ▼a 진주희, ▼e▼0 AUTH(211009)37681
700 1 ▼a 이지영, ▼e▼0 AUTH(211009)59469
700 1 ▼a 최기홍, ▼e▼0 AUTH(211009)60436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6.89 2019z1 등록번호 1118065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내 임상심리학 전문가들이 각 장의 저자로 참여하였고, 이제까지 주로 다뤄왔던 주제뿐만 아니라 앞으로 국내외에서 중요하게 대두될 주제들까지 고려해서 책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1부 임상심리학의 개관, 2부 임상진단과 평가, 3부 심리치료, 4부 전문영역으로 구성되었다.

50년 한국 임상심리학의 연구 성과와
현장의 경험을 총망라한 최초의 교과서


이제까지 국내에 소개된 훌륭한 임상심리학 관련 서적들이 많이 있지만, 한국 임상심리학의 역사, 한국 임상심리학자 수련제도 및 임상심리학자의 역할 등 모든 자료를 총망라하여 저술된 교재는 별로 없는 실정이다. 이 책은 국내 임상심리학분야에서 후학 양성과 심리치료 영역에서 뚜렷한 업적을 남기고 현재도 활발히 연구 및 임상 활동을 하고 있는 전문가들이 각 장의 저자로 참여하였고, 이제까지 임상심리학 교재에서 주로 다뤄왔던 주제뿐만 아니라 앞으로 국내외에서 중요하게 대두될 주제들까지 고려해서 이 책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이 총 4부 16장으로 구성되었다.

1부 임상심리학의 개관

1장 “임상심리학이란 어떤 학문인가”에서는 임상심리학의 정의와 임상심리학자의 전문적 활동 영역뿐만 아니라 미국과 영국 임상심리학자 수련 모델, 그리고 한국의 수련 모델과 자격제도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서 명확하게 소개하였다.
2장 “임상심리학의 역사”는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임상심리학이 발전해온 역사를 개관한 후, 한국에서 어떻게 임상심리학이 뿌리내리고 꽃피어왔는지를 임상심리학회 발전사와 회원들의 다양한 활동, 자격 제도, 향후 과제 등을 소개함으로써 알기 쉽게 기술하였다.
3장 “임상심리학의 연구방법”에서는 과학적 연구가 갖춰야 할 기본 개념을 제시한 후 임상심리학 연구에서 사용하는 실험법과 비실험법, 평가도구에 설명 및 최근 점점 강조되고 있는 연구윤리를 살펴보았다.

2부 임상진단과 평가
4장 “진단”은 정신장애 진단분류체계의 정의 및 진단분류체계의 역사를 살펴보고, 대표적인 진단분류체계인 DSM과 ICD의 구성과 진단을 내리는 과정을 사례를 통해 설명하였다. 또한 정신장애 진단분류체계가 갖추어야할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고, 정신장애의 원인에 대한 서로 다른 이론적 접근법들도 간략히 제시하였다.
5장 “임상면접”에서는 임상면접을 준비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들, 내담자와 라포 형성을 위한 기술, 임상면접의 진행 및 면접 유형에 대해서 사례 예를 들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였다.
6장 “지능평가”에서는 지능의 정의와 지능검사 개발의 역사, 지능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소개하고 웩슬러 지능검사를 비롯해서 다양한 지능검사의 구성요소와 실시 방법, 활용 등에 대해 다루었다.
7장 “성격평가”에서는 성격평가를 크게 객관형 성격검사와 투사형 성격검사로 구분하여 살펴본 후에, MMPI와 로르샤하 검사를 비롯하여 다양한 성격 검사들을 소개하고 성격검사의 장단점과 미래에 대한 고찰로 마무리하였다.
8장 “행동평가 및 자기보고”에서는 다양한 행동평가 방법과 자기-보고척도 및 체크리스트를 소개하고 행동평가와 자기보고가 임상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9장 “신경심리평가”는 임상신경심리학과 신경심리평가의 정의를 살펴본 후에 대뇌 피질의 구조와 기능 및 인지기능장애와 관련된 신경학적 질환들에 대해 설명하고, 임상현장에서 사용되는 신경심리검사를 인지기능 영역별로 구분하여 소개하였다.

3부 심리치료
10장 “정신역동 심리치료”는 프로이트를 시초로 하여 자아심리학, 대상관계 이론, 자기심리학 등으로 변화, 발전해 온 정신역동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정신역동 치료 기법들을 소개한 후에 최근 들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정신역동 이론과 신경과학의 학제 간 연구와 정신역동 심리치료 효과를 증명하기 위한 치료성과 연구도 살펴보았다.
11장 “인지행동치료”에서는 인지행동치료의 발전 과정을 먼저 소개한 후에, 인지치료와 수용전념치료를 중심으로 치료의 기본 가설과 개념들, 치료과정 등을 소개하였다.
12장 “현상학적 치료”에서는 현상학적 치료의 철학적 배경과 기본전제 및 실존치료, 게슈탈트 치료, 내담자중심치료 등 현상학적 심리치료들의 기본 전제와 공통점을 살펴본 후에 실존치료, 게슈탈트 치료, 내담자중심치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13장 “집단치료”에서는 개인 심리치료가 아닌 집단치료의 특징 및 장단점을 소개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서 집단치료의 윤리적 쟁점, 집단치료자의 자질, 집단치료의 구성 및 과정 그리고 집단치료의 치료적 요인을 살펴보았다.

4부 전문영역
14장 “건강심리학 및 긍정심리학”은 건강심리학의 정의와 관점, 건강심리학자의 훈련과정 및 활동, 일반인들과 다양한 질환을 가진 사람들을 돕기 위한 건강심리학적 개입방법을 기술할 뿐만 아니라, 긍정심리학에 대해 소개하고 긍정심리학의 주요 쟁점인 행복의 정의와 행복에서 유전과 환경의 역할, 행복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15장 “아동임상심리학”은 아동임상심리학의 역사와 주요 주제들, 최근 연구동향 및 아동임상심리학자의 역할과 자격제도, 아동기 장애의 조기 진단 및 개입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16장 “기타 전문 영역”은 임상심리학의 지식과 실무경험 등이 적용되는 법정심리학, 지역사회심리학, 기업상담, 코칭심리학을 중심으로 해당 분야의 역사와 전문가들의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하였고, 최근 들어 임상심리학 영역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상현실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심리치료프로그램의 개발 연구들을 살펴본 후에 미래 임상심리학자의 역할에 대한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권석만(지은이)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및 석사(임상심리학 전공)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연수원 과정 수료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철학박사(임상심리학 전공)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1993~현재)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장 역임 사단법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장 역임 한국임상심리학회장 역임 임상심리전문가(한국심리학회)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보건복지부)

민병배(지은이)

마음사랑인지행동치료센터 소장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석사 및 박사(임상심리학) (전) 한국임상심리학회 회장 (전)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회장 (전)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총장 임상심리전문가, 정신보건임상심리사 1급, 인지행동치료전문가

신민섭(지은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 서울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심리학과 부전공) 학사,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박사(임상심리학)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전문가 3년 수련 임상심리전문가 및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전) 미국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정신과 방문교수/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의과대학 정신과 방문교수 (전) 한국임상심리학회 회장,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회장, 한국자폐학회 회장

장은진(지은이)

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부교수, 대전스마일센터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학사 및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전) 계명의대 동산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교수 (전) 보스턴 대학교 Research Scholar (전) 한국임상심리학회 부회장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고영건(지은이)

고려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임상심리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삼성서울병원 정신과에서 임상심리레지던트로서 수련을 받았다. 세계 최초로 ‘정서지능(EQ)’의 개념을 이론화한 예일대학교 심리학과의 피터 샐로베이 교수의 지도하에 박사 후 연구원으로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교수로서 ‘학부 석탑강의상, 교육대학원 명강의상, 평생교육원 우수강의상’을 수상했으며, 학생상담센터 센터장과 한국임상심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을 비롯 주요 대기업에서 다양한 심리학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삼성서울병원과 멘탈휘트니스 연구소가 공동으로 추진한 ‘삼성-멘탈휘트니스 CEO 프로그램’의 연구개발자이기도 하다. 김진영 교수와 함께『이만하면 괜찮은 부모』『행복의 품격』『그림으로 이해하는 심리학』등을 집필했으며,『내 마음속 천국』『행복의 지도』를 번역했다.

조현주(지은이)

영남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명지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한양대학병원·삼성서울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전문가 과정 수료 (전) 순천향대학병원, 중앙대학병원 정신과 임상심리수련 감독자 (전) 가톨릭대학교 예방의학과 연구교수 (전)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cley 심리학과 방문교수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상담심리사 1급, 인지행동치료전문가

정승아(지은이)

조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조선대학교 원스톱상담센터/양성평등센터 소장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석사 및 박사 한양대학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전문가 과정 수료 (전) 대인관계연구소 부소장 (전) 한양대학병원 신경정신과 연구교수 (전) 한국임상심리학회 학술 부회장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1급

송원영(지은이)

건양대학교 심리상담치료학과 부교수, 건양대학교 마음행복연구소장 충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및 박사 서울아산병원 임상심리 레지던트 수료 (전) 신촌 세브란스병원 임상심리실장 (전) 국가청소년위원회 선임연구원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송현주(지은이)

서울여자대학교 심리치료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석사 및 박사 상계 백병원 정신과 임상심리 인턴 과정 수료 서울아산병원 정신과 임상심리 레지던트 과정 수료 예일대 의과대학 정신과 박사후 과정(인지재활) (전) 마인드빅상담센터 공동소장 (전) 예일대 의과대학 정신과 방문조교수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박중규(지은이)

연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를 마쳤다. 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에서 임상심리학 수련을 이수했고, 한국심리학회임상심리전문가,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84호), 한국재활심리사협회 재활심리사 1급(28호) 등의 자격을 취득하였다. 제53대 한국임상심리학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대구대학교 재활심리학과 교수로 대구대학교 정신건강상담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다.

진주희(지은이)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임상심리전문가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석사 및 박사(임상심리학) 임상심리전문가 및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현)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겸임교수 (전) 성균관대학교 의학과 연구교수 (전) 미국 미시건대학교병원 정신과 방문연구원 (전) 대한치매학회 학술이사(신경심리)

이용승(지은이)

서울정신분석상담연구소 부소장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석사 및 박사(임상심리학) 서울대학교 임상심리 수련 과정 수료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김영아(지은이)

㈜휴노 공동대표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석사 및 박사 신촌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전문가 과정 수료 Harvard 대학 의과대학 정신과 박사후 과정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박기환(지은이)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한국임상심리학회 회장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석사 및 박사 (전) 인제의대 서울백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실 교수 (전) 가톨릭대 상담심리대학원장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인지행동치료전문가

이지영(지은이)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석사 및 박사 서울대학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전문가 과정 수료 (전)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 전임상담원 및 특별상담원 (전) 한국임상심리학회 학술 이사 및 편집 이사 (전) 한국상담심리학회 학술 이사, 수련 이사 및 자격관리 이사 임상심리전문가, 상담심리사 1급, 정신건강임상심리사 2급

최기홍(지은이)

현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교수. 고려대학교 부설 KU 마음건강연구소 소장을 역임하고 있다. 미국 네브래스카 주립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뉴욕 컬럼비아 대학병원에서 정신과 펠로우, 미국 예일대학교 병원에서 연구과학자, 미국 웨슬리안 대학에서 풀브라이트 방문 교수로 심리치료 효과 연구 및 중증정신질환의 재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저서로는 「아파도 아프다하지 못하면」(2018)이 있고, 역서로는 「정신장애 치료와 재활을 위한 인지재활 치료자 지침서」(2018), 「중증정신질환의 치료와 재활」(2011) 등 다수가 있다.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Psychological Medicine, Schizophrenia Research 등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60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하였고 고려대학교에서 석탑연구상과 석탑강의상을 수상하였다. 최기홍 교수는 미국 공인 심리학자(커네티컷 주)이자 한국심리학회 공인 임상심리전문가로 근거기반 심리치료, 특히 인지행동치료 서비스를 임상현장에 제공하고, 후학을 양성하며, 차세대 심리평가 및 심리치료를 개발하는 국가 연구과제를 수주하여 진행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1부 임상심리학의 개관 
1장 임상심리학은 어떤 학문인가 
2장 임상심리학의 역사 
3장 임상심리학의 연구방법 
4장 진단 

2부 임상진단과 평가 
5장 임상면접 
6장 지능평가 
7장 성격평가 
8장 행동평가 및 자기보고 
9장 신경심리평가 

3부 심리치료 
10장 정신역동 심리치료 
11장 인지행동치료 
12장 현상학적 치료 
13장 집단치료 

4부 전문 영역 
14장 건강심리학 및 긍정심리학 
15장 아동임상심리학 
16장 기타 전문 영역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관련분야 신착자료

Marks, Tracey I (2023)
이정화 (2022)
대한인터벤션영상의학회 (202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