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74792 | |
005 | 20190916145825 | |
007 | ta | |
008 | 190306s2018 ulkad b 000c kor | |
020 | ▼a 9791129006936 ▼g 935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610.28 ▼2 23 |
085 | ▼a 610.28 ▼2 DDCK | |
090 | ▼a 610.28 ▼b 2018z3 | |
110 | ▼a 한국. ▼b 식품의약품안전처 | |
245 | 1 0 | ▼a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기기 기술ㆍ표준 전략 보고서 / ▼d 식품의약품안전처 |
260 | ▼a 서울 : ▼b Jinhan M&B, ▼c 2018 | |
300 | ▼a 84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부록: A. 약어, B. 국제 표준 제정 및 개발 현황 | |
504 | ▼a 참고문헌: p. 83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10.28 2018z3 | Accession No. 1212480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스마트 헬스케어란 헬스케어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나노 등의 기술들이 융합된 새로운 개념으로, 기존의 헬스케어 영역에서 더 나아가 언제 어디서나 개인이 손쉽게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어 최근 각광받는 분야이다. 최근 의료분야 밖에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기술을 의료분야에 접목하면서 더욱 광범위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정책적.기술적.사회적 대응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스마트 헬스케어란 헬스케어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나노 등의 기술들이 융합된 새로운 개념으로, 기존의 헬스케어 영역에서 더 나아가 언제 어디서나 개인이 손쉽게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어 최근 각광받는 분야이다. 헬스케어 분야는 전통적인 병원중심의 의료산업 영역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의료분야에 결합하여 다양한 수요자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형태의 건강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들로 발전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의료분야 밖에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기술을 의료분야에 접목하면서 더욱 광범위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정책적·기술적·사회적 대응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I. 개요 1. 기술 개요 2. 필요성 및 기대효과 II. 국내외 현황 1. 정책 현황 2. 기술 및 시장현황 3. 표준화 현황 III. 중점분야별 기술·표준 전략 1. 중점분야 2. 표준화 SWOT 분석 및 추진방향 3. 중점분야별 추진 전략 3.1.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 3.2.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3.3. 스마트 헬스케어 인프라 3.4.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 3.5. 의료 3D 프린팅 IV. 결론 V. 부록 A. 약어(Abbreviation) B. 국제 표준 제정 및 개발 현황 C. 참고자료(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