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74786 | |
005 | 20190308113819 | |
007 | ta | |
008 | 190306s2019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28800795 ▼g 04300 | |
020 | 1 | ▼a 9791128800009 (세트) |
035 | ▼a (KERIS)BIB000015075509 | |
040 | ▼a 241002 ▼c 241002 ▼d 211009 | |
082 | 0 4 | ▼a 302.231 ▼a 794.8 ▼2 23 |
085 | ▼a 302.231 ▼2 DDCK | |
090 | ▼a 302.231 ▼b 2019 | |
100 | 1 | ▼a 권보연 |
245 | 1 0 | ▼a SNS와 게이미피케이션 / ▼d 권보연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9 | |
300 | ▼a xix, 92 p. ; ▼c 19 cm | |
440 | 0 0 | ▼a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231 2019 | 등록번호 1118058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매체 진화 과정에서 게임과 놀이가 SNS에 미친 영향을 형식, 경험, 미학의 구조에 따라 검토한다. 이 책은 SNS와 게임의 개념 역사, 원리를 소개하고 두 요소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하는지, 그 효과는 무엇인지를 설명한다. 이를 통해 게이미피케이션 매체로서 SNS의 가능성을 탐구해 본다.
SNS는 디지털 커뮤니티와 게임 요소가 결합된 게이미피케이션 매체다. 게임 요소와 결합된 SNS는 자유롭고 창의적인 표현 놀이터가 된다. 단순한 기능 사용자도 적극적이고 참여적인 플레이어로 바뀐다. 게이피미케이션은 SNS 같은 사회적 상호작용 매체에서 사람들 사이 활발한 교류와 표현을 촉진하는 혁신 기법이다. 이 책은 매체 진화 과정에서 게임과 놀이가 SNS에 미친 영향을 형식, 경험, 미학의 구조에 따라 검토한다. 이 책은 SNS와 게임의 개념 역사, 원리를 소개하고 두 요소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하는지, 그 효과는 무엇인지를 설명한다. 이를 통해 게이미피케이션 매체로서 SNS의 가능성을 탐구해 본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권보연(지은이)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겸임교수 은행권청년창업재단 대학협력 PM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놀이와 게임 연구자이며, 이야기와 놀이 전략을 활용해 제품과 서비스, 인간 경험을 설계하는 디자이너다. 1997년부터 LG전자, LG유플러스, SK커뮤니케이션즈에서 디지털 기술 기반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다수의 신규 사업을 디렉팅했다. 이화여대 디지털미디어학부에서 『SNS의 게임화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고, 같은 학교 산학교수를 거쳐 플레이어블 컨설팅을 창업해 스타트업, 혁신가와 더불어 새로운 인간 경험을 분석하고 발명하는 일을 하며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겸임교수, 은행권청년창업재단 대학협력 PM으로 융합 교육에 참여하고 있다. 『게이미피케이션』(2015), 『게임 싱킹, 게임 디자이너처럼 생각하기』(2017), 『SNS와 게이미피케이션』(2019), 『뉴스 스토리텔링』(공저, 2020)을 저술했고, TRPG 〈안녕이라 하기 전에〉, 시리아 난민 주제 인터랙티브 서사 〈햇살 아래서〉 스토리 디자이너, 〈에란겔 다크투어〉 메인 퍼포머로 활동했다. 「가상현실 시위의 사회적 미메시스 특성 연구」(2016), 「참여 연극의 놀이 전개 구성」(2016), 「게임북의 서사 기반 게임화 전략」(2017)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목차
SNS + 게임 01 SNS, 게이미피케이션 매체 02 표현과 경쟁의 놀이터 03 능력, 행운, 연기, 현기증 04 시간과 공간의 게이미피케이션 05 정체성 놀이 06 2인칭 시점 07 놀이 공동체 08 MUD의 부활 09 경험 변화와 레벨 업 10 놀이를 위한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