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시로 만나는) 이순신 : 순국 420주년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구능회
Title Statement
(시로 만나는) 이순신 : 순국 420주년 / 구능회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동서남book,   2018  
Physical Medium
304 p. : 삽화 ; 22 cm
ISBN
978898939504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300-301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73762
005 20200403115932
007 ta
008 190228s2018 ulka b cv kor
020 ▼a 9788989395041 ▼g 038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895.715 ▼2 23
085 ▼a 897.17 ▼2 DDCK
090 ▼a 897.17 ▼b 구능회 이
100 1 ▼a 구능회
245 1 0 ▼a (시로 만나는) 이순신 : ▼b 순국 420주년 / ▼d 구능회 지음
260 ▼a 서울 : ▼b 동서남book, ▼c 2018
300 ▼a 304 p. : ▼b 삽화 ; ▼c 22 cm
504 ▼a 참고문헌: p. 300-301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97.17 구능회 이 Accession No. 15134524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구능회(지은이)

충북 보은(報恩) 출생으로 방송인, 수필가이며, 호는 도헌(陶軒), 본관은 능성(綾城)이다. 취학 전에 부친으로부터 《천자문》을 배우고, 자라면서 우리 역사와 고전과 보학(譜學) 등으로 인문학적인 소양을 익혔다. 1969년 12월에 KBS에 기술직으로 입사하여 광주, 대전, 청주 방송국에서 근무하였고, 1993년부터 본사에서 근무를 시작하며 기획 차장, 재원관리 부주간, 충주방송국장 등을 역임하고 2009년 6월에 정년으로 퇴임하였다. 퇴임 직후에 중앙대학교 언론대학원 초빙 교수로서 <디지털시대의 방송수용자론>을 강의하였으며, 인문학을 바탕으로 한 문화 콘텐츠 계발과 보급을 위해 자신의 아호를 딴 '도헌문화콘텐츠'를 만들어 인문학 강의와 함께 인문학 관련 블로그와 밴드 운영 등으로 우리 사회의 인문학적 소양 함양에 노력해왔다. 저술활동은 역(편)저[譯(編)著]로 《강신원 목사 은퇴 기념집》과, 필자의 11대조인 낙주(洛洲) 구봉서(具鳳瑞) 선생에 대한 자료집인 《낙주(洛洲) 선생 문집》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책 머리에 _4

격려의 글 _8

제1장 장군의 노래
1. 고시조古時調 - <한산도가閑山島歌> _13
가. 고시조 개요 _13
나. <한산도가> 탐구 _17
1) 언제 어디서 지은 것일까? _17
2) <한산도가> 이모저모 _18
2. 이충무공의 한시漢詩 _27
가. 한시 개요와 특성 _27
나. 이순신 한시 탐구의 전제 _29
1) 시의 형식 _29
2) 작시자作詩者의 진위眞僞 여부 _29
3) 충무공의 한시 추가 발굴 _31
4) 한시 번역 _32
5) 같은 한시漢詩지만 상이한 글자들이 들어 있는 문제 _33
다. 전란기戰亂期 이전 작품들 _33
1) 無題 Ⅰ _35
2) 無題 Ⅱ _37
3) 칠언율시 7편(회갑연 축하) _38
4) 贈金中軍士明(증김중군사명) _57
라. 전란기戰亂期의 작품 _60
1) 오언절구五言絶句 _60
2) 오언율시五言律詩 _73
3) 오언배율五言排律 _95
4) 칠언절구七言絶句 _103
마. 이충무공의 한시 세계 _107
1) 율시律詩가 많은 편이다 _108
2) 전란 전후의 시풍詩風이 다르다 _108
3) 동일한 운자 사용 사례가 많다 _110
4) 현실의 엄혹함을 극복하는 도구였다 _111
5) 수준 높은 문학성을 지닌다 _111
3. 시문으로 만나는 이순신의 내면세계 _117
1) 외경심畏敬心 _118
2) 평정심平靜心 _121
3) 충성심忠誠心 _123
4) 자애심慈愛心 _127
5) 우수심憂愁心 _130
6) 부동심不動心 _132

제2장 추모의 노래
1. 추모시 1(한시) _137
1) 哀李統制 [領議政 柳成龍] _139
2) 唐浦呈李統制 [丁景達] _141
3) 弔李忠武公遺廟 [郭說] _143
4) 宣諭閑山島呈李統制 [校理 趙彭年] _144
5) 悼李將軍 [奉常正 車天輅 _146
6) 挽李統制 [判書 李睟光] _150
7) 左水營 [李睟光] _151
8) 忠愍祠 [李睟光] _153
9) 忠愍祠 [參奉 丁運熙] _154
10) 太平亭 [左參贊 李慶全] _155
11) 哀李忠武 [趙慶男] _157
12) 題露梁忠烈祠 [錦山君 誠胤] _158
13) 感李統制 [尹棨] _160
14) 伏波館 [尹棨] _161
15) 寧波堂 [尹棨] _162
16) 次尹忠簡公韻 [參判 李景義] _163
17) 統制營忠烈祠 [李基祚] _164
18) 讀忠武公行狀有感 [掌令 趙克善] _166
19) 過忠烈墓有感 [李得元] _167
20) 觀戰艦 [李世龜] _168
21) 自永登浦乘船向統營 [判書 金昌協] _170
22) 足成一絶 [李嵩鎭] _171
23) 忠武李公 [李嵩鎭] _172
24) 忠烈祠 [判書 鄭益河] _173
25) 忠烈祠 [左議政 趙顯命] _175
26) 忠烈祠 [判書 金尙星] _176
27) 贈上相仍神道碑親製下 [李敏輔] _178
28) 無題 [金履成] _179
29) 龜船頌 [李秉模] _181
30) 制勝堂 [金陽淳] _183
31) 統制營忠烈祠 [權用正] _185
32) 無題 [李元會] _186
33) 制勝堂 [鄭洛鎔] _188
34) 無題 [李晦在] _189
35) 牙山過李忠武公墓 [李建昌] _190
36) 李忠武公龜船歌 [黃玹] _192
37) 碧波津 [黃玹] _193
38) 欲往閑山島 阻雨未能 [曺兢燮] _195
39) 過統制使李公墓 [參奉 朴𥠷] _196
40) 鐵甲船頌 [申奎植] _198
41) 無題 [鄭寅普] _199
2. 차운시次韻詩 - <한산도야음閑山島夜吟> _203
1) 배흥립裵興立 _204
2) 고상안高尙顔 _205
3) 이응표李應彪 _206
4) 홍처량洪處亮 _207
5) 유혁연柳赫然 _208
6) 이유李秞 _209
7) 임규任奎 _209
8) 이인빈李寅賓 _210
9) 남용익南龍翼 _211
10) 윤증尹拯 _212
11) 이인환李寅煥 _213
12) 임홍량任弘亮 _214
13) 신익상申翼相 _216
14) 임홍망任弘望 _217
15) 조지겸趙持謙 _218
16) 이희룡李喜龍 _219
17) 조상우趙相愚 _220
18) 이유李濡 _221
19) 강세보姜世輔 _222
20) 조식趙湜 _222
21) 이가적李嘉迪 _223
22) 송징은宋徵殷 _224
23) 유도옥柳道玉 _225
24) 유집일兪集一 _225
25) 김유金楺 _226
26) 심융沈瀜 _227
27) 여필용呂必容 _228
28) 이삼석李三碩 _229
29) 홍서하洪敍夏 _230
30) 이성조李聖肇 _230
31) 오명준吳命峻 _231
32) 민진원閔鎭遠 _232
33) 조해수趙海壽 _233
34) 조태만趙泰萬 _234
35) 이숭진李嵩鎭 _234
36) 이간李柬 _235
37) 김양순金陽淳 _237
38) 백은진白殷鎭 _238
39) 채동건蔡東健 _239
40) 신헌申櫶 _240
41) 이회李會 _242
42) 이돈李墪 _243
43) 이준李畯 _243
44) 이지강李之綱 _244
45) 유화柳俰 _245
46) 이속李涑 _246
47) 홍근洪覲 _246
48) 이홍진李弘晉 _247
49) 구능회具綾會 _248
3. 추모시 3(현대시) _251
1) 우리 영웅 _252
2) 거북선 찬가 _256
3) 독임란사유감讀壬亂史有感 _257
4) 이충무공 <한산섬 노래> 화답가 _258
5) 님의 현신 _260
6) 님의 절개 _261
7) 백의종군 서시 _262
8) 마지막 그 맹세 _264
9) 무제 _265
10) 충민사忠愍祠 _266
11) 명량 바다 _267
12) 님이여, 우리 님이여! _268

제3장 다시 부르는 추모의 노래
1) 武聖(무성) _273
2) 謹賀全羅左水使任(근하전라좌수사임) _275
3) 鎭南館(진남관) _277
4) 玉浦勝捷(옥포승첩) _279
5) 次閑山島歌(차한산도가) _282
6) 閑山島(한산도) _284
7) 古下島(고하도) _287
8) 鳴梁大捷(명량대첩) _289
9) 瞻望觀音浦(첨망관음포) _292
10) 忠武路有感(충무로유감) _295
11) 謹省尊公之墓(근성존공지묘) _297

참고문헌 _300

글을 맺으며 _302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