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73111 | |
005 | 20190919154746 | |
007 | ta | |
008 | 190228s2018 ulk 000c kor | |
020 | ▼a 9788963395999 ▼g 038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895.745 ▼2 23 |
085 | ▼a 897.47 ▼2 DDCK | |
090 | ▼a 897.47 ▼b 강병민 나 | |
100 | 1 | ▼a 강병민 |
245 | 1 0 | ▼a 나는 썼고, 너는 못 썼다 / ▼d 강병민 지음 |
246 | 0 3 | ▼a 강병민의 인생 이야기 |
260 | ▼a 서울 : ▼b 책나무출판사, ▼c 2018 | |
300 | ▼a 244 p. ; ▼c 21 cm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97.47 강병민 나 | Accession No. 15134457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부유한 환경 속에서 호의호식하며 살던 저자가 죽음의 고비를 넘어, 불편한 장애를 가지고 살기까지 '이제야 보이는 것'에 대해서 허심탄회하게 써 내려간 에세이다. 저자는 과거, 치열한 하루하루 속에서 의미 없이 흘러가던 순간들을 뒤돌아보지 않은 것을 후회하며, 더 나은 행복을 위한 세 가지 갈등 해소를 제시한다. 욕심, 자존감, 양심이 그것인데, 이 책에선 이 3가지를 각 장으로 나누어 저자가 느끼고 경험하고, 듣고, 읽은 여러 사례들을 견주어 서술하고 고찰한다.
죽음의 고비를 지나 새롭게 얻은 삶의 시선.
“돌아보면 무엇이 보이는지 말해주고 싶었다.”
『나는 썼고, 너는 못 썼다』는 부유한 환경 속에서 호의호식하며 살던 저자가 죽음의 고비를 넘어, 불편한 장애를 가지고 살기까지 ‘이제야 보이는 것’에 대해서 허심탄회하게 써 내려간 에세이다. 저자는 과거, 치열한 하루하루 속에서 의미 없이 흘러가던 순간들을 뒤돌아보지 않은 것을 후회하며, 더 나은 행복을 위한 세 가지 갈등 해소를 제시한다. 욕심, 자존감, 양심이 그것인데, 이 책에선 이 3가지를 각 장으로 나누어 저자가 느끼고 경험하고, 듣고, 읽은 여러 사례들을 견주어 서술하고 고찰한다. 죽음의 문턱에서 느꼈던 그의 여러 진솔한 이야기를 통해 ‘행복하게 살 권리’를 위한 인간다움에 대해 한 번 돌아보는 것은 어떨까?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강병민(지은이)
수술 후 예전과는 전혀 다른 삶을 살게 됐다. 예전에는 ‘태어났으면 언젠간 죽겠지’라고 삶과 죽음을 가볍게 생각했지만, 이제는 아침에 눈을 떠 하루라도 더 살 수 있음에 감사하며 산다. 그러는 속에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알고 싶어졌다. 내 결론은 ‘우리 모두는 행복하게 살고자 한다.’이다. 사람에 따라 ‘돈이 좋다.’, ‘먹는 것이 좋다.’, ‘편안함이 좋다.’고 말하여 추구하는 삶이 다른 듯하지만 근본적인 목표는 모두 행복을 위한 길이다. 행복이란 무엇이고, 행복하게 사는 방법은 무엇이며, 행복하게 살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양한 삶이 모여 사는 세상 속에서 모두가 행복하게 사는 길을 찾고 싶다. 저서 『나는 썼고, 너는 못 썼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이 책을 선택한 이에게 = 4 죽음을 지나 생각한 것 = 7 Chapter 1. 자존감 자존감 = 14 SNS 중독 = 16 명품 = 19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 = 21 나의 행동 = 24 행동하지 않는 것 = 27 나밖에 못 하는 것을 하자 = 30 사과나무 = 33 나는 썼고, 너는 못 썼다 = 36 전문가 = 39 美와 好 = 42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 46 느낌의 무상함 = 49 문제 해결 프로세스 = 51 이상과 현실(기준, 함수) = 54 매개변수 방정식 = 57 역사 = 60 지록위마(指鹿爲馬) = 63 아니 = 66 핑계 = 69 밥 먹는 이유 = 72 철학이 없는 사람 = 75 급하게 생각하지 마라 = 77 듣고 싶은 말을 한다 = 79 식후 30분 = 82 나는 해탈했구나 = 85 인생의 경계 = 88 복수심 = 91 Chapter 2. 욕심 욕심 = 96 과유불급 = 99 필요한 것이 있으면 버리는 것이 있어야 한다 = 102 모두에게 사랑받을 필요 없다 = 105 공(空) = 107 욕심을 버리는 법 = 110 차려진 반찬을 가지고 먹자 = 114 이분법적 사고 = 117 언제부터 다른 것이 틀린 것이냐 = 119 집착 = 121 강요하지 않는 기준 = 124 이미 끝난 일에 미련을 두지 마라 = 127 사는 것이 괴롭다 = 130 +1, -1 = 133 선택과 집중 = 136 이상과 현실(균형, 시소) = 139 자격증 시험과 인생 = 143 가위ㆍ바위ㆍ보 = 146 인내 = 149 서로 같은 것을 주고받는다 = 152 이면 = 155 공과(功過) = 157 부익부 빈익빈 = 159 사는 것은 힘들다 = 163 승리하는 방법 = 166 금요일이 되면 = 169 화, 화병(홧병, 火病) = 172 악당은 나쁜 놈인가 좋은 놈인가? = 175 강한 자 = 178 인간관계 = 180 가족도 남이다 = 183 어린애도 인격체이다 = 186 Chapter 3. 양심 양심(良心) = 190 종심(從心) = 193 선등대장, 톱쟁이 = 196 배려 = 199 역주행 = 203 힘들다고 하지 마세요 = 205 유익한 사람 = 208 착하게 살아라 = 210 연륜과 지혜 = 213 윤회 = 217 벌은 빨리 받는 게 낫다 = 220 내 탓이오, 네 덕이다 = 222 대화를 하자 = 225 고통 = 228 죄책감 = 231 모자 쓰지 마라 = 234 마무리와 디테일 = 237 짜증 = 240 맺음말 =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