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5
제1부 유일본 작품의 성격과 미학적 세계
Ⅰ.〈원자실전〉의 전기소설적 성격과 의미
1. 머리말 = 17
2. 중국소설의 영향과〈원자실전〉의 형성배경 = 19
3.〈원자실전〉과〈삼산복지지〉의 비교 = 24
4.〈원자실전〉의 전기소설적 성격 = 28
5.〈원자실전〉의 문학적 의미 = 35
1) 조선 후기 전기소설의 전통 계승 = 35
2) 유교 윤리의 강조와 불교의 순환론적 세계관 = 38
3) 지배층의 각성과 학문 탐구의 중요성 = 43
6. 맺음말 = 46
Ⅱ.〈왕능전〉의 영웅소설적 성격과 의미
1. 머리말 = 49
2.〈왕능전〉의 창작 시기와 배경 = 51
3.〈왕능전〉의 영웅소설적 성격 = 55
4.〈왕능전〉의 갈등양상과 의미 = 62
1) 충신과 간신의 대결 = 62
2) 진가쟁주와 개과천선 = 67
3) 형제갈등과 유교적 명분론 = 72
5. 맺음말 = 76
Ⅲ.〈김태백전〉의 영웅소설적 성격과 의미
1. 머리말 = 79
2.〈김태백전〉의 형성 배경 = 82
3.〈김태백전〉의 구조적 특징 = 88
4.〈김태백전〉의 갈등양상과 의미 = 96
1) 충신과 간신의 정치적 갈등 = 96
2) 효와 애정의 갈등 = 99
3) 여성영웅을 활용한 중원과 주변의 혼사장애 갈등 = 102
5. 맺음말 = 107
제2부 가정소설의 다양성과 역동적 생명력
Ⅳ.〈유최현전〉의 구조적 특징과 가정 소설의 지평 확장
1. 머리말 = 113
2. 작품의 내용과 서지사항 = 115
1) 작품의 줄거리 = 115
2) 이본관계 및 서지사항 = 117
3. 작품의 구조적 특징 = 124
1) 계모형 구조 = 124
2) 쟁총형 구조 = 131
3) 여성 수난의 구조 = 136
4. 가정소설의 지평 확장 = 138
5. 맺음말 = 143
Ⅴ.〈김이양문록〉의 창작방법과 가정소설적 의미
1. 머리말 = 145
2.〈김이양문록〉의 창작방법 = 148
3.〈김이양문록〉의 구조와〈최호양문록〉의 대비적 위상 = 156
1)〈김이양문록〉의 구조적 특징 = 156
2)〈김이양문록〉과〈최호양문록〉의 대비적 위상 = 161
4.〈김이양문록〉의 가정소설적 의미 = 166
5. 맺음말 = 174
Ⅵ.〈최호양문록〉의 구조적 특징과 가정소설적 위상
1. 머리말 = 177
2.〈최호양문록〉의 내용과 이본관계 = 179
1)〈최호양문록〉의 줄거리 = 179
2)〈최호양문록〉의 이본관계와 서지사항 = 183
3.〈최호양문록〉의 구조적 특징 = 189
4.〈최호양문록〉의 가정소설적 위상 = 195
1) 가문소설의 교섭과 쟁총형 가정소설의 변모 = 195
2) 여성 향유층과 혼사장애담 및 애정담의 확장 = 200
3) 악인 처벌을 통한 선영관리의 사회상 반영 = 204
5. 맺음말 = 210
Ⅶ.〈정해경전〉의 구조적 특징과 여성 향유층의 욕망
1. 머리말 = 213
2.〈정해경전〉의 내용과 이본 검토 = 216
1)〈정해경전〉의 줄거리 = 216
2)〈정해경전〉의 이본 검토 = 219
3.〈정해경전〉의 구조적 특징 = 224
1) 계모형 갈등구조의 변모 = 224
2) 군담의 축소와 결혼담의 확장 = 228
4.〈정해경전〉에 나타난 여성 향유층의 욕망 = 232
1) 천상적 협조자에 의한 문제해결 = 232
2) 어머니의 인물 성격과 혈통주의 = 236
3) 다양한 결혼담의 확장 = 240
5. 맺음말 = 243
제3부 고소설의 수용과 향유층의 미학적 세계
Ⅷ.〈토끼전〉에 수용된 용궁설화의 양상과 의미
1. 머리말 = 247
2. 용궁설화의 존재 양상 = 250
1) 구비설화의 경우 = 251
2)〈구토지설〉의 경우 = 254
3) 판소리〈퇴별가〉와〈수궁가〉의 경우 = 256
4) 판소리계 소설〈토생전〉과〈토공전〉의 경우 = 258
3.〈토끼전〉에 수용된 용궁설화의 의미 = 261
1) 정치적 담론의 설정 = 261
2) 이상향에 대한 욕망 = 266
3) 충의 사회적 모범 제시 = 270
4) 공간 설정에 따른 해학과 풍자의 부각 = 273
4. 맺음말 = 275
Ⅸ.〈창선록〉의 작품세계와〈구운몽〉의 수용론적 의미
1. 머리말 = 278
2.〈창선록〉의 내용과 콘텍스트 = 280
1)〈창선록〉의 내용과 서사적 특징 = 280
2)〈창선록〉의 서지사항과 콘텍스트 = 285
3.〈창선록〉의 작품세계 = 290
1) 불교의 내세관보다 유교의 입신양명 지향 = 290
2) 혼사장애 갈등과 혼례의 강조 = 292
3) 정치적 갈등과 군담 장면의 약화 = 297
4.〈구운몽〉수용론적 의미 = 300
5. 맺음말 = 307
Ⅹ.〈강릉추월전〉의 주인공, 정체성 탐구와 가족 상봉
1. 머리말 = 311
2. 운명적 삶과 정체성 탐구 = 314
1) 기구한 운명과 서사담론 = 314
2) 이운학의 정체성 찾기와 가부장적 논리 = 319
3. 가족 상봉과 윤리적 포상 = 326
1) 가족 상봉과 가족 화합의식 = 326
2) 어소저의 윤리적 포상과 가족의 욕망 = 331
4. 맺음말 = 338
참고문헌 =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