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72192 | |
005 | 20190513162624 | |
007 | ta | |
008 | 190227s2018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58483852 ▼g 93710 | |
035 | ▼a (KERIS)BIB000014951866 | |
040 | ▼a 222003 ▼c 222003 ▼d 211009 | |
082 | 0 4 | ▼a 495.711 ▼2 23 |
085 | ▼a 497.11 ▼2 DDCK | |
090 | ▼a 497.11 ▼b 2018z7 | |
100 | 1 | ▼a 권오휘 ▼g 權五輝 ▼0 AUTH(211009)15083 |
245 | 1 0 | ▼a 훈민정음 : ▼b 제자원리와 역리의 상관성 / ▼d 권오휘 지음 |
246 | 0 | ▼i 한자표제 : ▼a 訓民正音 |
260 | ▼a 서울 : ▼b 박이정, ▼c 2018 | |
300 | ▼a x, 227, 33 p. : ▼b 삽화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 p. 217-227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97.11 2018z7 | Accession No. 111809322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2-06-17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497.11 2018z7 | Accession No. 1513436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97.11 2018z7 | Accession No. 111809322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2-06-17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497.11 2018z7 | Accession No. 1513436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훈민정음 해례본의 제자해에 대한 연구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역리적 추론을 통해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자형 형성의 원리를 밝히고 있다. 훈민정음 제자해에 중점을 두고 제자해에 적용된 역리사상이 무엇인지, 역리사상이 훈민정음 자형 형성에 어떤 작용을 하였는지를 살펴 훈민정음과 역리사상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초성자와 중성자의 역리 속성을 살펴 훈민정은 28자 체계도를 제시하고 있다. 훈민정음이 상형과 가획, 삼재의 원리에서 자형이 형성되었다는 선행 연구결과를 수용하면서, 훈민정음의 자형 형성 원리를 역리적 관점에서 새롭게 살피고 있다.
이 책은 훈민정음 해례본의 제자해에 대한 연구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역리적 추론을 통해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자형 형성의 원리를 밝히고 있다. 훈민정음 제자해에 중점을 두고 제자해에 적용된 역리사상이 무엇인지, 역리사상이 훈민정음 자형 형성에 어떤 작용을 하였는지를 살펴 훈민정음과 역리사상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초성자와 중성자의 역리 속성을 살펴 훈민정은 28자 체계도를 제시하고 있다. 훈민정음이 상형과 가획, 삼재의 원리에서 자형이 형성되었다는 선행 연구결과를 수용하면서, 훈민정음의 자형 형성 원리를 역리적 관점에서 새롭게 살피고 있다.
이 책은 5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부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의의 등을 다루고, 제2부에서는 훈민정음 제자해에 반영된 역리이론을 정리하였다. 제3부와 제4부에서는 훈민정음의 초성자와 중성자 제자원리에 적용된 역리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제5부에서는 전체 내용을 정리하여 결론으로 삼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추천의 말씀 머리말 제1부 서 론 1.1. 연구 목적 및 의의 1.2. 연구 범위 및 방법 1.3. 선행연구 검토 제2부 『훈민정음』 제자해에 반영된 역리이론 2.1. 『훈민정음』 제자해와 역사상 2.1.1. 상(象) 2.1.2. 태극론 2.1.3. 음양론 2.1.4. 오행론과 간지론 2.1.5. 삼재론 2.2. 역리이론이 반영된 훈민정음 제자원리 2.2.1. 태극과 관련된 제자원리 2.2.2. 음양과 관련된 제자원리 2.2.3. 순환론과 관련된 제자원리 2.2.4. 간지, 율려, 성음과 관련된 제자원리 2.2.5. 괘, 상수와 관련된 제자원리 제3부 훈민정음의 초성자 제자원리에 적용된 역리 3.1. 초성자의 오음체계와 음성학적 분류 3.1.1. 초성자의 오음체계 3.1.2. 청탁에 따른 분류 3.2. 초성자 자형형성과 역리의 상관성 3.2.1. 선천 원도(先天圓圖)를 통한 자형형성 3.2.2. 선천 방도(先天方圖)를 통한 자형형성 3.2.3. 방원도(方圓圖)를 통한 초성자 자형형성 3.3. 초성자에 적용된 역리자질 3.3.1. 아음에 적용된 역리자질 3.3.2. 설음에 적용된 역리자질 3.3.3. 순음에 적용된 역리자질 3.3.4. 치음에 적용된 역리자질 3.3.5. 후음에 적용된 역리자질 제4부 훈민정음의 중성자 제자원리에 적용된 역리 4.1. 중성의 음성학적 분석과 제자원리 4.1.1. 설축, 설불축, 설소축 자질 4.1.2. 성심, 성천 자질 4.1.3. 구축, 구장 자질 4.1.4. 합벽 자질 4.2. 중성자의 제자원리와 역리의 상관성 4.2.1. 중성 기본자(? ㅡ ㅣ) 제자와 역리 4.2.2. 중성 초출자(ㅏ ㅓ ㅗ ㅜ) 및 재출자(ㅑ ㅕ ㅛ ㅠ)의 제자원리와 역리 4.2.3. 중성 11자에 결합된 역리와 그 의미 4.3. 중성자형의 역리체계와 역리자질 4.3.1. 중성자형의 역리체계 4.3.2. 중성자의 역리자질 제5부 결 론 참고문헌 ≪훈민정음≫ 해례본-한글학회(1998) 수정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