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71999 | |
005 | 20190227112829 | |
007 | ta | |
008 | 190226s2019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26887189 ▼g 9315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52.63 ▼a 181.11 ▼2 23 |
085 | ▼a 352.63 ▼2 DDCK | |
090 | ▼a 352.63 ▼b 2019 | |
100 | 1 | ▼a 한승연 ▼g 韓承延 ▼0 AUTH(211009)125303 |
245 | 1 0 | ▼a 유능하고 책임있는 공무원 : ▼b 명상하는 공무원 / ▼d 한승연 지음 |
260 |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c 2019 | |
300 | ▼a 376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부록수록 | |
504 | ▼a 참고문헌(p. 344-361)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저서는 2016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6S1A6A4A01019432)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63 2019 | 등록번호 11180539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필자는 동양의 근대 관료제의 바탕을 이루는 동양의 전통적인 실적제 관료제, 곧 ‘유능하고 책임 있는 관리’가 어떻게 창출되는지, 그 전통이 왜 단절되었는지, 오늘에 다시 살리는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상서」와 「논어」, 「맹자」 등의 동양고전과 제자백가서들을 읽으면서 동양적 관료제 내지 유교 관료제가 형성되는 과정을 추적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막스 베버를 비롯한 서구 중심의 관료제가 아니라 3,000여 년 전에 이미 그 기초가 형성된 동양의 실적제 관료제를 법가 사상가들을 시작으로 유교, 불교 사상으로 그 범위를 넓히며, 오늘날에 요구되는 ‘유능하고 책임 있는’ 공무원상, 곧 21세기 ‘명상하는 공무원상’을 정립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한승연(지은이)
·약 력·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신문방송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행정학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박사 중앙일보 조사기자 역임 현 충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주요저서· 「한국 行政指導 연구」(박사학위 논문 출판) (공저) 「정책수단론」(2014년 세종도서 선정) (공저) 「한국행정학 60년, 1956∼2016: 제2권 접근방법과 패러다임」(201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주요논문· 「행정 관료의 변화에 관한 역사적 연구: 관료 임용시험제도를 중심으로」 「행정사의 연구방법과 연구 방향」 「일제시대 근대 ‘국가’ 개념 형성과정 연구」 「조선총독부 관료제 연구: 비상통치기구적 성격을 중심으로」 「‘문화정치기’ 조선총독부 관료제 연구: 행정의 ‘능률 증진’을 중심으로」 「갑오개혁 전후 의정부와 6조 당상관 인사이동 비교 연구」 「행정개혁기구의 성공 조건: 통리기무아문과 그 후속기구의 인사행정을 중심으로」 외 다수

목차
머리말 제1장:::::「尙書」의 道와 德 개념: 책임정치 구현의 기제 Ⅰ. 서 론 Ⅱ. 「상서」의 ‘道’ 개념 Ⅲ. 「상서」의 ‘德’ 개념 1. 「우서(虞書)」ㆍ「하서(夏書)」의 ‘덕’ 개념 2. 「상서(商書)」의 ‘덕’ 개념 3. 「주서(周書)」의 ‘덕’ 개념 Ⅳ. 책임정치의 기제로서 도와 덕 Ⅴ. 결 론 제2장:::::신도(愼到)ㆍ신불해(申不害)의 법사상과 책임정치 Ⅰ. 서 론 Ⅱ. 법가 사상의 발전 과정 1. 전국시대의 사회상 2. 법가 사상의 발전 과정 1) 형법과 법전의 형성 2) 도가와 법가의 관계 Ⅲ. 신도ㆍ신불해의 법 사상 1. 신도(愼到)의 세(勢)ㆍ법 사상 1) 신도의 사적 2) 신도의 세ㆍ법 사상과 관료제 2. 신불해(申不害)의 법ㆍ술(術) 사상 1) 신불해의 사적 2) 신불해의 법ㆍ술(術) 사상과 관료제 Ⅳ. 결 론 제3장:::::상앙(商?)의 법사상과 책임정치: 동양 관료제 성립 시론 Ⅰ. 서 론 Ⅱ. 상앙의 사적과 「상군서」 1. 상앙의 사적 2. 「상군서」 Ⅲ. 상앙의 법사상과 관료제 성립 1. 국가 주도 농전과 엄벌주의 법사상 1) 국가 주도 농전 2) 엄벌주의 법사상 2. 현제(縣制)와 관료제의 확립 1) 현제의 확립 2) 관료제의 확립 Ⅳ. 결 론 제4장:::::한비자의 법술사상과 책임정치: 관료제론을 중심으로 Ⅰ. 서 론 Ⅱ. 한비의 사적과 「한비자」 1. 한비의 사적 2. 「한비자」 Ⅲ. 한비의 법술사상과 관료제론 1. 한비의 법술론(法術論) 2. 「한비자」 ‘술’의 용례 분석 3. 형명참동과 관료제론 Ⅳ. 결 론 제5장:::::동양사의 유능하고 책임 있는 공무원:한나라 초기 관료제를 중심으로 Ⅰ. 서 론 Ⅱ. 유가와 법가의 정치적 책임론 Ⅲ. 한나라 유교관료제의 성립과 책임정치 1. 유가와 법가의 융합 관료제 2. 한나라 초기 관료제의 구성 3. 유능하고 책임 있는 관리 1) 현랑 천거 2) 동중서의 「천인삼책(天人三策)」 3) 유능하고 책임 있는 관리 Ⅳ. 결 론 제6장:::::근대 공무원像의 변화: 교양인에서 기능인으로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선행 연구의 검토 2. 시대 구분 Ⅲ. 관료 임용시험제도의 변화 분석 1. 대한제국기(태동기) 2. 일제시대(타율적 적응기) 3. 미군정기(과도기) 4. 대한민국시대(발전기) 1) 5급 공채시험 2) 7ㆍ9급 공채시험 Ⅳ. 시대별 공무원상의 변화 분석 Ⅴ. 결 론 제7장:::::명상하는 공무원: 관료제 원리로서 유교와 불교, 법가의 융합 Ⅰ. 유학과 주자학의 심법(心法) 1. 맹자의 심법 2. 주자의 심법 Ⅱ. 관료제에 불교의 원리 응용 Ⅲ. 명상의 효과와 관료제의 책임 1. 명상의 효과 2. 관료제의 책임 Ⅳ. 결 론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