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광주의 문학정신과 그 뿌리를 찾아서

광주의 문학정신과 그 뿌리를 찾아서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승철, 1958-
Title Statement
광주의 문학정신과 그 뿌리를 찾아서 / 이승철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광주 :   문학들,   2019  
Physical Medium
572 p. : 삽화 ; 23 cm
ISBN
9791186530665
General Note
부록: 광주전남 문인들과의 서면 인터뷰 : 나의 삶, 나의 문학을 말한다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71819
005 20190226112343
007 ta
008 190226s2019 kjka 000c kor
020 ▼a 9791186530665 ▼g 038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895.70995195 ▼2 23
085 ▼a 897.0995366 ▼2 DDCK
090 ▼a 897.0995366 ▼b 2019
100 1 ▼a 이승철, ▼d 1958- ▼0 AUTH(211009)62166
245 1 0 ▼a 광주의 문학정신과 그 뿌리를 찾아서 / ▼d 이승철 지음
260 ▼a 광주 : ▼b 문학들, ▼c 2019
300 ▼a 572 p. : ▼b 삽화 ; ▼c 23 cm
500 ▼a 부록: 광주전남 문인들과의 서면 인터뷰 : 나의 삶, 나의 문학을 말한다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97.0995366 2019 Accession No. 11180528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승철 시인이 광주전남 근현대문학사를 한권의 책으로 집대성했다. 지난 1982년 12월 광주에서 '광주젊은벗들'을 결성해 시낭송운동과 벽시운동을 전개하고, 1984년부터 서울에서 '자유실천문인협의회'와 '민족문학작가회의', '한국작가회의'를 통해 35년 동안 활발한 문학운동을 펼친 그가 1920년대 조운 시인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광주전남의 문학사를 정리한 것이다.

이 책은 1부 '한국 근현대문학을 개척한 광주전남의 선각자들', 2부 '참여문학의 등장과 민족문학운동의 출발', 3부 '1970년대 반독재 민족문학을 선도한 광주의 문인들', 4부 '5.17쿠데타와 광주 문인들의 진실투쟁', 5부 '「5월시」 동인과 「광주젊은벗들」의 문학운동'으로 나누어져 한국문학의 결정적 순간과 주목해야 할 장면들을 압축해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광주전남 문인들과 한국문단사에 얽힌 갖가지 문학적 비화와 에피소드를 발굴함은 물론 주요 사진자료를 찾아내어 '사실'과 부합되지 않은 내용들에 대해 팩트 체크를 했다.

‘광주전남문학’을 ‘한국문학운동사’로 끌어올리다.
한국문학의 ‘결정적 순간’과 ‘주목해야 할 장면들’을 보여주다.
<5월시>동인과 <광주젊은벗들>의 문학운동을 집중 조명하다.


이승철 시인이 광주전남 근현대문학사를 한권의 책으로 집대성한 『광주의 문학정신과 그 뿌리를 찾아서』(문학들 간)를 출간했다. 지난 1982년 12월 광주에서 <광주젊은벗들>을 결성해 시낭송운동과 벽시운동을 전개하고, 1984년부터 서울에서 <자유실천문인협의회>(자실)와 <민족문학작가회의>, <한국작가회의>(작가회의)를 통해 35년 동안 활발한 문학운동을 펼친 그가 1920년대 조운 시인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광주전남의 문학사를 정리한 것이다.

이 책은 1부 <한국 근현대문학을 개척한 광주전남의 선각자들>, 2부 <참여문학의 등장과 민족문학운동의 출발>, 3부 <1970년대 반독재 민족문학을 선도한 광주의 문인들>, 4부 <5.17쿠데타와 광주 문인들의 진실투쟁>, 5부 <「5월시」 동인과 「광주젊은벗들」의 문학운동>으로 나누어져 한국문학의 '결정적 순간'과 '주목해야 할 장면들'을 압축해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광주전남 문인들과 한국문단사에 얽힌 갖가지 문학적 비화와 에피소드를 발굴함은 물론 주요 사진자료를 찾아내어 '사실'과 부합되지 않은 내용들에 대해 팩트 체크를 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광주전남의 진정한 문학정신은 무엇인지, 그 영혼과 모럴을 찾고자 했다. 1920년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100년이라는 시대적 공간 속에서 광주전남에서 출현한 근현대문학의 실체를 살펴보되, '광주전남문학'이라는 지역적 공간에 한정하지 않고, '한국문학' 전체의 차원으로 확장시켜 조명했다. 또한 작품과 텍스트 위주의 문학사 접근이 아닌, 한 시대의 문학적 출현을 가능케 한 정치사회적 배경과 원인을 추적했다. 그 때문에 이 책은 당대의 문학적 '시대정신'에 방점을 두고, 이를 실천한 '광주전남 문인들'의 이야기를 담은 '문학운동사'라고 할 수 있다.

이승철은 이 책을 통해 광주전남 근현대문학의 효시, 조운 시인이 동아일보에 발표한 최초의 시 「불살러주오」의 발표 시기(1921. 4. 5)를 밝혀냈고, 한국최초의 여류 소설가 박화성의 등단 과정, 희곡작가 김우진과 소프라노 윤심덕의 현해탄에서의 동반자살 배경, 박용철 김영랑 김현구 시인 등 <시문학파> 결성 과정과 박용철 김영랑 시인과 관련한 문학적 비화, 『영랑시선』 출간에 따른 미당 서정주의 문학적 오류(영랑의 시 「북」의 편집과정에서 작품 훼손), 친일문학 대열에 동참하지 않은 광주전남의 문학정신의 거대한 뿌리를 찾아냈다. 광주전남 현대문학의 아버지, 다형 김현승 시인의 가계사와 동아일보 등단작인 「쓸쓸한 겨울 저녁이 올 때 당신들은」과 「어린 새벽은 우리를 찾아온다 합니다」 (1935. 2.27)의 발표지면과 그 발표 시기(1935년 3월 25일과 3월 27일)를 처음으로 밝혀냈다.
또한 다형 김현승 시인의 ‘수색사단’ 문인들의 면모와 에피소드, 다형이 타계하기 6개월 전 광주에서 제자들과 함께 찍은 기념사진, 1975년 4월 14일, 동아일보에 발표된 다형의 유고시에 얽힌 비화 등이 수록돼 있으며, 박봉우 시인이 신동엽 시인을 발굴해낸 비화, 김준태 김지하 양성우 시인을 발굴한 조태일 시인의 생애와 문학적 헌신을 추적해 냈고, 1970년 5월 김지하 「오적」 창작배경과 『사상계』 발표 과정의 비화, 「오적」 필화사건과 『사상계』 발행인이자 광복군 출신의 장준하 선생의 생애와 타살 의혹, 1974년 11월 자유실천문인협의회의 출범에 따른 비화와 그 당시 광주전남 문단의 풍경을 담아냈다. 그밖에도 김지하의 「고행… 1974」 필화사건의 전말, 1970년대 반독재 민족문학을 선도한 문병란 시인의 행적과 양성우의 「겨울공화국」 낭송사건의 전말, 시집 『겨울공화국』 출판사건에 얽힌 비화와 장시 「노예수첩」 필화사건의 전말, <남민전>의 전사로서 가장 강력한 반독재 민주화투쟁에 헌신한 김남주의 문학적 성과 그리고 해남 출신 여성해방 시인, 고정희의 문학적 생애와 업적을 사진자료와 함께 밝혀내고 있다.
그뿐 아니라 현기영 작가의 소설집 『순이삼촌』 필화사건의 전말, 1980년 5월을 전후로 광주지역 학생운동과 윤재걸 문병란 송기숙 이명한 작가 등의 문학적 성과, 황지우 김현장 이영진 김진경 윤재철 김건남 조진태 등 문인들이 광주와 서울에서 전개한 ‘광주 진실 알리기 투쟁’의 전말과 5월항쟁 당시 <투사회보> 제작 및 배포과정, 1980년대 최초의 필화사건인 김준태의 시 「아아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 창작 및 발표 과정의 비화를 집중 조명했다. 아울러 저자는 1980년대 중반 한국 문화운동을 주도한 광주 <민문연>의 활동 내역과 김종률 김원중 정세현 김경주 고규태 등의 노래운동, 전용호 고규태 정진백 등의 지역출판운동, 임동확 정철훈의 5월항쟁의 문학적 성과를 살펴보고, 김하늬 김해화 오봉옥 김기홍 박영희 정안면 등 < 해방시> 동인의 결성과정과 요절한 김하늬 시인의 문학적 성과를 재조명했다.

저자는 1980년대 <시의 시대> <동인지운동>의 서막을 열어젖힌 <5월시>와 <광주젊은벗들>의 문학운동을 한국문학운동사 차원에서 집중 조명했다. 즉, 1981년 7월 광주에서 발간된 <5월시> 동인 1집의 출간에 얽힌 비화와 동인 6인(박몽구 나종영 이영진 박주관 곽재구 김진경)의 등단과정, 2집부터 참여한 나해철 윤재철 최두석 고광헌 강형철 동인의 참여 배경과 <5월시> 동인이 한국문학사와 교육운동사에 남긴 주요 업적을 세밀하게 추적했다.
특히 1982년 12월, 박선욱 이승철 조진태 정삼수 장주섭 박정열 박정모 김형수 정봉희 이형권 등 젊은 시인들(문청들)의 5월항쟁 체험과 그들이 광주에서 전개한 <광주젊은벗들>의 시낭송운동과 시화전, 벽시―노래마당 등 문학운동의 과정과 성과를 정밀하게 추적했다.

이 책의 <부록>으로 광주전남 문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인, 작가, 동화작가 등 문인 31명의 문학적 생애를 '육성'으로 담아냈다. 즉 광주전남 문인들과의 서면인터뷰' ― <나의 삶, 나의 문학을 말한다>는 매우 진솔하게 자신의 삶과 문학관을 보여주고 있다.
문순태 허형만 김희수 박호재 이은봉 김형수 이도윤 박상률 박관서 염창권 은미희 박두규 채희윤 송은일 김선태 김경윤 김완 심영의 김여옥 최기종 조성국 이지담 서애숙 이재연 이대흠 유종화 송태웅 정윤천 이상인 장진기 이민숙 등 광주전남작가회의에서 활동 중인 문인 31명의 <서면인터뷰 답변서>는 이즈음 한국문학의 현안과 광주전남 문학의 현주소를 짚어내고 있다. 독자들은 『광주의 문학정신과 그 뿌리를 찾아서』를 통해 광주전남 문학의 새로운 일면을 한눈에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승철(지은이)

1958년 전남 함평에서 태어나 1983년 무크 『민의』 제2집('시와현실')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세월아, 삶아』, 『총알택시 안에서의 명상』, 『당산철교 위에서』, 『오월』(육필시집), 『그 남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등이 있고, 산문집으로 『이 시대의 화두 58개띠들의 이야기』(공저)가 있다. 1982년부터 문학운동에 뛰어들었고, 1984년부터 출판계에 입문하여 활동했다. '광주젊은벗들' 간사(1982~ 1983), '자유실천문인협의회' 기관지 편집간사(1985), '민족문학작가회의' 홍보선전분과 간사(1990)·사무국장(1993~1994), '(사)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1996) ·자유실천위원회 부위원장(2000), '한국문학평화포럼' 사무국장(2004), '(사)한국작가회의' 이사(2007) 등을 역임했다. '5·18민중항쟁 사적지 답사기' 편찬위원(2007)으로 『그때 그 자리 그 사람들』(5·18기념재단, 여유당 간) 집필 작업에 참여했고, '5월문학총서간행위원회' 책임편집위원장(2012)으로 『5월문학총서』(전 4권, 5·18기념재단, 문학들 간) 출간 작업과 '한국작가회의 40주년 기념사업단 편찬위원회' 편찬위원(2014)으로 『한국작가회의 40년사』(실천문학사 간) 출간과 『증언: 1970년대 문학운동』(한국작가회의 간) 집필 작업에도 참여했다. 그동안 나남, 인동, 산하출판사 편집장과 황토출판사 대표, 화남출판사 편집주간, 작가출판사 편집기획실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작가회의 회원, 한국문학평화포럼 사무총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책을 펴내며 4 

1부 한국 근현대문학을 개척한 광주전남의 선각자들 
1. 광주의 문학정신과 광주전남문학사의 뿌리 찾기	
2. 근현대문학의 거대한 뿌리, 조운 시인과 박화성 소설가	
3. 최초의 근대적 희곡작가 김우진과 <사의 찬미>의 윤심덕	
4. 한국 현대시의 선구자 <시문학파>의 박용철 김영랑 김현구 시인	
5. 친일문학의 기로에서 ''민족혼''을 지켜낸 광주전남의 문인들	
6. 해방정국과 <조선문학가동맹> 그리고 조운 시인의 월북	
7. 광주 현대문학의 아버지, 김현승 시인의 가계사와 등단 무렵	
8. 다형 김현승 시인이 한국문학사에 남긴 업적과 평가	
9. ''순수서정'' 이동주와 ''5월의 여성시인'' 고정희, 
그리고 「휴전선」 박봉우의 시정신	
10. 죽형 조태일 시인이 민족문학사에 남긴 업적	

2부 참여문학의 등장과 민족문학운동의 출발 
1. 1970년 5월, 새로운 출발선상에 선 한국문학	
2. 민족문학의 신호탄, 김지하의 담시 「오적」 출현	
3. 담시 「오적」 필화사건과 43년 만의 재심판결	
4. 『사상계』의 폐간과 ''광복군'' 장준하의 파란만장한 생애	
5. 전태일 분신자살사건과 김지하 첫 시집 『황토』 출간	
6. 유신 악법의 등장과 문인 61명의 개헌청원 지지 선언	
7. ''민청학련사건''과 ''전남대?의 민청학련 연루자들	
8. 1974년 11월 18일, ''자유실천문인협의회''의 출범	
9. 동아일보 격려광고와 김지하의 「고행… 1974」 필화사건	
10. <자실>의 출범과 1974년 무렵의 광주전남 문단의 현황	

3부 1970년대 반독재 민족문학을 선도한 광주의 문인들 
1. 60년대 참여문학론에서 70년대 민족문학론으로	
2. 광주의 민족문학을 선도한 문병란 시인의 생애와 업적	
3. 유신체제를 강타한 양성우 시인의 「겨울공화국」 낭송사건	
4. 새로운 야성의 목소리로 한국 시단을 일깨운 김준태 시인	
5. 저항문학의 극점, 양성우의 ''장시 「노예수첩」 필화사건''	
6. 전남대 <우리의 교육지표> 선언을 주도한 송기숙 작가	
7. 가장 강력한 ''반독재 민주화투쟁?에 헌신한 김남주 시인 

4부 ''5·17쿠데타''와 광주 문인들의 ''진실 투쟁'' 
1. 박정희 유신체제의 붕괴와 1980년 ''서울의 봄''	
2. 윤재걸 양성우 문병란 시집이 몰고 온 파장	
3. 이명한 송기숙 작가의 문학적 성과와 무크 『실천문학』	
4. ''서울역 회군''과 ''5.17쿠데타'' 그리고 ''광주시민봉기''	
5. 5·18민중항쟁을 전후로 한 광주 문청들의 ''진실투쟁''	
6. <투사회보>의 제작에 참여한 ''광대?단원과 ''들불야학''	
7. 황지우 김현장, 이영진-김진경-윤재철 시인의 유인물 제작	
8. 김준태의 「아아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 필화사건	

5부 <5월시> 동인과 <광주젊은벗들>의 문학운동 
1. ''K-공작계획''과 ''삼청교육대''그리고 5공 정권의 등장	
2. 1980년 5월과 한국문학의 ''그라운드 제로''	
3. 살아남은 자의 부끄러움과 <5월시> 동인의 결성과정 
4. 1981년 여름, 5공의 폭압을 뚫고 출간된 <5월시> 1집	
5. <5월시> 2집에 참여한 동인들과 5월시 선언문, ''제3문학론''	
6. <5월시> 동인이 1980년대 한국문학사에 남긴 업적	
7. <5월시> 동인의 『민중교육』 출판과 ''전교조''의 출범	
8. 80년대 문학의 ''상징?에서 자발적 ''순명''을 선택한 <5월시>	
9. ''오월문학사''의 거대한 분수령, 임철우의 장편 『봄날』	
10. 5월의 진실을 알리기 위한 <광주젊은벗들>의 등장	
11. 김준태 시인의 학다리고 제자 이승철이 겪은 그해 5월	
12. 자작시 「일어서라 꽃들아」 살포사건으로 제적당한 조진태 
13. 『실천문학』 첫 신인 박선욱과 ''아들사건''의 정삼수 박정열 박정모	
14. 1982년 12월, 광주 시민들 앞에 나타난 <광주젊은벗들>	
15. <광주젊은벗들>의 주요 활동과 그들이 추구한 것들	
16. 광주 <민문연>의 문화운동과 고규태 전용호 정진백 등의 지역출판운동	
17. 1980년대 광주의 노래운동과 김종률 김원중 정세현 등의 활동	
18. 임동확 정철훈 시인과 5월항쟁의 문학적 심화	
19. 김해화 오봉옥 등 <해방시> 동인들과 김하늬 시인을 기억하면서	
20. ''문학의 진실''과 ''이데올로기의 종언] 사이에서	

부록 광주전남 문인들과의 서면 인터뷰/ 나의 삶, 나의 문학을 말한다 
서면 인터뷰를 게재하면서 /서면 인터뷰 답변 문인들 
문순태 | 허형만 | 김희수 | 박호재 | 이은봉 | 김형수 | 이도윤 | 박상률 
박관서 | 염창권 | 은미희 | 박두규 | 채희윤 | 송은일 | 김선태 | 김경윤 
김 완 | 심영의 | 김여옥 | 최기종 | 조성국 | 이지담 | 서애숙 | 이재연 
이대흠 | 유종화 | 송태웅 | 정윤천 | 이상인 | 장진기 | 이민숙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