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71426 | |
005 | 20190219133830 | |
007 | ta | |
008 | 190219s2019 ulka b 000c ckor | |
020 | ▼a 9791159300882 ▼g 039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951.9030922 ▼2 23 |
085 | ▼a 953.060922 ▼2 DDCK | |
090 | ▼a 953.060922 ▼b 2019z1 | |
100 | 1 | ▼a 하성환, ▼d 1959- |
245 | 2 0 | ▼a (우리 역사에서 사라진) 근현대 인물 한국사 / ▼d 하성환 지음 |
260 | ▼a 서울 : ▼b 살림터, ▼c 2019 | |
300 | ▼a 289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역사의 재발견 |
504 | ▼a 참고문헌: p. 279-289 | |
536 | ▼a 이 도서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출판콘텐츠 창작 자금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국민체육진흥기금을 지원받아 제작됨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953.060922 2019z1 | 등록번호 12124797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그들은 왜 우리 역사에서 다시 쓰어져야 하는가? 한국사 교과서에 언급되지 않은 인물들의 치열한 삶. 오늘, 왜곡과 망각의 역사를 복원한다.
한국사 교과서에 언급되지 않은 인물들의 치열한 삶,
오늘, 왜곡과 망각의 역사를 복원하다!
한반도에 평화가 오고 있습니다. 냉전의 마지막 고도(孤島)인 한반도에 따뜻한 봄바람이 붑니다. 그동안 냉전체제 아래 분단의 질곡 속에서 우리 역사는 왜곡과 비극의 연속이었습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사회주의 항일독립지사들과 전 생애에 걸쳐 치열하게 독립운동을 위해 목숨까지 바친 역사적 인물을 대중의 기억 속에서 지워 버린 사실입니다. 한때 친일 인사가 독립운동가로 둔갑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한국사 교과서 본문에 한 줄 기록조차 없거나 아예 망각으로 점철된 인물들을 대중의 기억 속으로 끄집어내어 오고자 합니다. 김립, 박차정, 황상규, 윤세주, 이만규, 김찬, 전덕기, 나혜석. 한반도에 평화가 깃들고 망각된 역사적 인물들이 하나둘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 인물로 제자리를 찾아 가길 소망합니다. 그분들이 올바르게 자리매김됨으로써 우리 역사가 온전히 복원되고 더욱 풍부한 내용으로 채워지길 바랍니다. _「머리글」에서
*인문학의 둥지, 살림터는
삶을 사랑하는 마음이 강물처럼 흐르는 좋은 책을 만듭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하성환(지은이)
대학을 입학한 1979년부터 1990년까지 중앙사회복지관, 용산 제일교회, 구파발 천주교회, 구로 3공단, 서초동 꽃동네 철거민 지역에서 검정고시 야학, 생활야학, 노동야학, 도시빈민야학교사 생활을 통해 민중교육을 실천하고자 힘썼다. 1989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결성 관련하여 구로고등학교에서 해직되고 국가공무원법 위반 혐의로 집행유예 1년을 선고받았다. 이후 1990년-2000년대 시민운동에 관심을 갖고 참여연대, 미군범죄근절운동, 일본군 수요시위(정대협), 앰네스티, 나눔의 집, 월드비전, 인권연대, 여성의 전화,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나눔문화를 아이들에게 소개하며 NGO 동아리 지도교사로 활동했다. 2013년 진보정당 당우와 후원 관련하여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현재 고등학교 교사로서 학교현장에 민주시민교육을 뿌리내리기 위해 고민 중이며, 한국사회가 무상교육, 무상의료, 교사의 정치기본권이 실현되는 복지선진국을 꿈꾸며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진실과 거짓, 인물 한국사』, 『우리 역사에서 사라진 근현대 인물 한국사』, 『사회철학 에스프레소』, 『우리 역사 바로 읽기(상, 하)』, 『학생자치활동(1, 2)』(공저)가 있으며, 논문으로 「이오덕 연구」,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에 대한 신화, 그 왜곡된 집단 기억」, 「비극적으로 생을 마감한 코뮤니스트 항일혁명가 김명시」, 「독립운동가 백민 황상규에 대한 일 고찰」 들이 있다.

목차
머리글 1. 비극적인 항일혁명지사, 코뮤니스트 김립 1. 미화되고 감춰진 『백범일지』 2. 항일애국지사 ‘김립’을 죽인 항일애국지사 ‘김구’ 3. ‘김립’의 애국계몽운동과 망명지 만주, 연해주에서의 항일운동 4. 김립의 비극적 죽음 이후 ‘개조파-창조파’ 독립운동전선의 분열 2. 들꽃이 되어 불꽃처럼 살다 간 조선의용대 항일 여전사, 박차정 1. 문재인 대통령이 호명한 항일 여전사 2. 광주학생운동 서울 학생시위를 주도한 박차정 3. 한 손엔 총, 다른 한 손엔 확성기를 든 항일 여전사 4. 해방 후 50년 만에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은 박차정 3. 밀양 독립운동의 정신적 대부, 백민 황상규 1. 밀양 출신 독립운동가의 정신적 멘토 2. 대한광복회, 북로군정서 활동과 초대 의열단장(?) 황상규 3. 신간회 활동과 황상규의 죽음 4. 의열단 단장 김원봉의 스승, 백민 황상규 4. 항일전선의 고결한 영혼, 석정 윤세주 1. 「청포도」의 항일 혁명시인이 바라던 손님, 윤세주 2. 19살 최연소 의열단원 윤세주 3. 조선민족혁명당, 조선의용대의 영혼, 윤세주 4. 독립운동전선의 변화와 석정 윤세주의 위상 5. 조선의 페스탈로치 이만규 1. 대한민국이 망각한 교육자, 이만규 2. 일제강점기 항일의식을 고취한 민족주의 교육자 3. 진보적 교육을 실천한 비타협적 교육자 4. 해방공간 진보적 민주주의 교육정책을 지향한 중도좌파 정치인 5. 조선 교육자의 사표師表, 이만규 6. 혁명적 노동운동의 빛나는 별, 코뮤니스트 혁명가 김찬 1. 코민테른 12월 테제와 혁명적 노동조합운동 2. 혁명적 노동운동가 김찬과 조선공산당 창당 핵심 김찬(김낙준) 3. 잔혹한 고문을 45일 동안 버텨 내다 4. 비극적으로 처형당한 항일혁명가 김찬-도개손 부부 7. 민중목회를 실천한 항일독립지사, 전덕기 목사 1. 민중목회를 실천한 전덕기 목사 2. 전덕기 목사와 항일민족운동 1) 1900년대 항일민족운동의 요람, 상동교회 2) 상동청년회, 상동청년학원의 항일운동 3) 헤이그 특사, 이준 열사를 축도祝禱하다 4) 전덕기의 절친, 주시경의 한글운동 3. 한국 교회 초기 기독교의 상징적 인물 전덕기 목사 4. 한국 교회의 귀감이 된 전덕기 목사 8. 불꽃의 여자, 나혜석 다시 보기 1. 내 몸이 불꽃으로 타올라 한 줌의 재가 될지언정… 최초의 여성해방론자, 나혜석 2. 영화 [밀정]이 놓친 ‘독립운동가 나혜석’ 3. 최초의 페미니스트 나혜석, 3ㆍ1운동 당시 서울 여학생 시위를 지도하다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