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삐딱할 용기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하승수, 저 채효정, 저 진냥 정용주, 저 이용석, 저 이상대, 저 배이상헌, 저 박형일, 저 김성애, 저 공현, 저
Title Statement
삐딱할 용기 / 하승수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교육공동체 벗,   2018  
Physical Medium
327 p. ; 23 cm
Series Statement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3
ISBN
9788968801099
General Note
공저자: 채효정, 진냥, 정용주, 이용석, 이상대, 배이상헌, 박형일, 김성애, 공현  
부록: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AS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71408
005 20190218172636
007 ta
008 190218s2018 ulk 000c kor
020 ▼a 9788968801099 ▼g 0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1.1 ▼2 23
085 ▼a 371.1 ▼2 DDCK
090 ▼a 371.1 ▼b 2012z8 ▼c 3
245 0 0 ▼a 삐딱할 용기 / ▼d 하승수 [외]
260 ▼a 서울 : ▼b 교육공동체 벗, ▼c 2018
300 ▼a 327 p. ; ▼c 23 cm
440 0 0 ▼a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 ▼v 3
500 ▼a 공저자: 채효정, 진냥, 정용주, 이용석, 이상대, 배이상헌, 박형일, 김성애, 공현
500 ▼a 부록: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AS
700 1 ▼a 하승수, ▼e
700 1 ▼a 채효정, ▼e▼0 AUTH(211009)137462
700 0 ▼a 진냥
700 1 ▼a 정용주, ▼e
700 1 ▼a 이용석, ▼e
700 1 ▼a 이상대, ▼e
700 1 ▼a 배이상헌, ▼e
700 0 ▼a 박형일, ▼e
700 1 ▼a 김성애, ▼e
700 1 ▼a 공현, ▼e▼0 AUTH(211009)91930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1 2012z8 3 Accession No. 1118050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많은 사람들이 “이제 세상이 좋아졌다”고 말한다. 이른바 촛불 혁명으로 탄생한 현 정권에서 진보 매체와 시민사회운동 진영은 오히려 역량이 쇠퇴하는 ‘정권 교체의 역설’을 경험하고 있다. 교육의 영역도 마찬가지이다. 진보 교육감들이 전국에 포진해 있고, 많은 교육운동가들이 교육부와 교육청에 진출해 있는 상황에서 교육 개혁은 이제 시간문제인 것만 같다. ‘학교 혁신’과 ‘교육 공공성’, ‘교육 자치’ 등 교육운동 진영에서 주장해 오던 가치들이 정부의 국정 과제로 채택되는 지금, 더 이상 진보적 운동과 담론에 대한 갈증은 존재하지 않아 보인다.

그런데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우리가 바라던 사회와 얼마나 닮아 있는가. 인권운동 활동가 박래군은 2018년 12월, 세계인권선언 70주년을 맞아 쓴 글에서 지금 시대가 과거보다 불평등과 혐오, 차별이 넘쳐나고 있음을 역설한다. 차별과 불평등에 대한 감각을 벼리고 자신의 기득권을 성찰할 줄 아는 불온의 가치는 시대와 무관하게, 아니 오히려 지금처럼 ‘세상이 조금 좋아졌다’고 느끼는 때 더욱 필요하다. 그래서 불온한 교사는 필연적으로 지배적 담론에 저항하는 삐딱한 시선을 가질 수밖에 없다. 지금,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이 3권으로 다시 돌아온 이유이다. 다시, 불온해질 시간이다.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한껏 불온 게이지가 높아진 3권으로 다시 돌아오다

‘범생이’ 교사 집단에 ‘시대를 성찰하는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불온해져야 한다’고 선동해서 많은 교사들에게 문화적 충격과 지적 자극을 선사한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이 다시 돌아왔다.
1권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이 ‘왜 불온한 교사가 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2권 《상상하라 다른 교육》에서 지금과 다른 교사상, 교육의 형상을 이야기했다면 3권 《삐딱할 용기》는 훨씬 더 급진적인 실천을 주문한다. 청소년운동을 하는 교사, 페미니스트 교사, 학생의 정치적 권리를 위해 싸우는 교사 등 흔치 않은 이력을 가진 교사들의 이야기는 전통적 교사상을 해체하고 재구성하게 한다. 학생과의 관계에서 위계를 해체하기 위해 이름 대신 별명을 사용하는 소소한 시도부터 민주주의를 실천하기 위해 교사들이 정치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글까지 크고 작은 실천들을 독려하기도 한다. 생태 위기 시대 교육은 무엇을 해야 하고, 미래 교육 담론이라는 허위에 맞서 교사들은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지에 대한 묵직한 시대적 의제도 담았다. 전작들보다 한껏 불온 게이지가 높아져서 돌아온 3권을 통해 그동안 무뎌진 불온한 교사로서 정체성을 다시 벼릴 수 있기를 바란다.
교육공동체 벗에서 지난 2018년 1월부터 2월까지 동일한 제목으로 진행한 강의를 엮어 만들었다.

1부 - 교육과 삶의 전환

‘1부 - 교육과 삶의 전환’에서는 다른 교육, 다른 삶에 대한 사유를 담았다. 세 명의 저자의 서사에는 교사로서 기득권을 내려놓은 자리에 새로 움튼 교육에 대한 상상력과 성찰이 가득하다.
〈불온함은 ‘밖’을 상상하는 힘〉에서 박형일은 ‘좋은 삶’에 대한 고민이 결국 교사를 그만두는 선택을 하게 만들었다고 고백한다. ‘유치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교 - (학교를 닮은) 군대’를 지나 교직으로서 학교까지, 한 번도 학교 밖을 살아 본 적이 없다는 자각이 충격이자 큰 질문으로 다가왔다는 것이다. 충남 홍성에서 농사를 지으며 ‘교육농’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농을 교육의 눈으로 새로 쓰는 일을 하고 있는 박형일은 불온한 교사는 ‘밖을 상상하고 밖을 만드는 사람’이라고 강조한다. 좋은 교육은 곧 좋은 삶을 위한 것이라는 교사로서 깨달음은 곧 새로운 진로로 이어졌고, 이제 그는 다시 자기 자리에서 교육과의 접점을 만들어 가고 있다. 학교 밖을 살아갈 아이들을 학교 외에는 다른 경험이 없는 교사들이 가르치고 있다는 역설에 대해서 참가자들과 나눈 대화도 생생하게 담겨 있다.
진냥은 교사이자 청소년운동 활동가로서 자신을 정체화한다. 〈일탈과 퇴폐 그리고 해방〉에서 진냥은 청소년운동을 하고 그들과 부대끼면서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권위나 위계를 빼고 소통하는 감각들을 배울 수 있었다고 ‘간증’한다. 기득권을 내려놓고 해방의 언어들을 얻었다는 진냥이 교사들의 기득권 중에서 가장 먼저 해체시켰으면 좋겠다고 제안하는 것은 ‘교사의 징계권’이다. 도발적이면서도 설득력 있는 그의 주장에 귀를 기울여 보자.
1부 마지막 글, 〈페미니스트 교사가 불온한 교사다〉에서 김성애는 교육의 페미니즘적 전환을 이야기한다. 남성 중심적 운동권에서 자신 또한 남성적 문화와 언어로 무장한 활동가로 성장한 김성애는, 페미니즘을 만나면서 교육과 운동을 다시 바라보게 되었다고 말한다. 학교가 성차별을 재생산하고 있음을 성찰하고 교사로서 무엇을 할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고 말하는 저자는 이 시대 최고 불온한 교사는 수천 년에 걸친 거대한 차별과 폭력을 뒤집어엎으려고 하는 페미니스트 교사라고 역설한다.

2부 - 학생과 교사 관계를 전복하다

‘2부 - 학생과 교사 관계를 전복하다’에는 학생의 시민으로서 신분을 복원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청소년활동가와 교사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청소년운동이 바라는 학교는…〉에서 공현은 학교나 교사들이 청소년 인권이나 청소년운동을 부정적으로 보거나 완강하고 거부하고 있는 현실에 대해 아쉬움을 토로한다. 공현은 1980년대 전교조가 태동할 당시,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사제라기보다는 동지나 벗에 가까웠음을 환기한다. 그리고 교실 속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가 아니라 학교 안에서든 밖에서든 다양한 정치적 실천을 하는 관계가 되는 게 불온한 교사가 아닐까 제언한다.
〈모든 억압에 저항하라〉의 이용석은, 2006년 국기에 대한 경례 거부로 징계를 받으면서 사회의 권력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밀려나게 되면서 나와 내 주변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고 풀어놓는다. 교사는 말이 아니라 실천으로 가르친다고 생각하는 이용석은, 학교 안에서는 학생 자치와 학생 생활에 대해 끊임없이 성찰하고 새로운 실천을 하고, 학교 밖에서는 청소년 노동 인권 관련한 활동을 지속한다. 남성, 정규직, 성인, 교사로서 가지고 있는 권력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학생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기 위한 실험과 실패의 기록이다.
배이상헌은 사범대 학생 시절 전교조의 출범, 그리고 그와 함께 태동한 중·고등학생운동을 목격하고 함께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이제 교사가 된 그는 학생들의 정치력이 커 나가도록 뒷받침하는 교사가 되기 위해 애쓴다. 학생들의 성장을 위해 배이상헌이 주목하는 것은 학생 사회이다. 〈학생 사회의 상상과 기획〉에서 배이상헌은 학생 집단과 학생 조직은 있지만, 학생 사회는 없음을 다시 확인시켜 준다. 학생 사회를 겨냥하지 않는 학교 혁신이란 교사의 눈높이에서 설계된 학교 혁신일 뿐이라고 말하는 배이상헌은, 학생의 눈높이에서 학교 제도가 바뀌고 학교 생태계가 뒤집어질 때 비로소 시민교육이 가능해지고, 진정한 학생 사회를 설계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3부 - 미래는 오는 게 아니라 만들어 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3부 - 미래는 오는 게 아니라 만들어 가는 것이다’에서는 교사의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실천을 주문한다.
정용주는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의 모든 시즌에 함께한 저자이다. 그가 이번 시즌에 가지고 돌아온 주제는 ‘혁신적 경영인을 요구받는 교사’에 대한 성찰이다. 〈‘교사 되기’를 다시 묻다〉에서 정용주는 과거의 교사들이 국가로부터 교육에 대한 전권을 위임받은 ‘위임 독재’였다면 이제는 ‘혁신적 경영인’이 되기를 요구받고 있다고 해석한다. 교사가 위임 독재자의 역할에서 혁신적 경영인으로 역할이 변화되었다는 것은 무엇일까. 정용주는 한편으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잘 이행하면서도 적극적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야 하고, 혁신적이고 전문적 경영인으로서 역할을 가지고 학교 운영에도 참여하면서, 학부모와의 문제도 합리적으로 해결하며 헌신하는 ‘슈퍼맨적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한다. 정용주는 학교교육의 여러 문제는 교사가 더 전문적이 되고 교수-학습이 발달한다고 해서 극복되는 것이 아니라며 교사에 대한 철학, 교사의 성장 철학에 대해서도 다른 고민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촛불 광장을 통해 새로운 정권이 탄생하고, 정치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가 이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바뀌지 않는 것들이 있다. 만 19세 선거권에 의해 청소년들의 정치 참여는 가로막혀 있고, 교사들은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이유로 정당 가입도 하지 못한다. 민주주의는 “광장에는 있지만 학교에는 없다”. 〈교사, 정치하라!〉에서 하승수는 교사와 학생들이야말로 정치적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학교는 민주 시민을 양성하는 곳이고, 민주 시민은 정치를 통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변호사와 대학 교수로 일했던 하승수는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삶이 그다지 행복하지 못한 이유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문제라는 것을 알게 된 후 정치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말한다. 하승수는 1987년 민주화 당시만 해도 교사들이 정치적 권리를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는데, 오히려 지금은 시스템에 익숙해져 버려서 자신의 권리를 찾으려고 하지 않는 모습에 안타까워한다. 교사이기 전에 시민으로서 자신의 정치적 권리를 찾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말 것. 유권자들의 의사가 공정하게 반영되는 선거 제도를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는 하승수가 교사들에게 갖는 간절함이다.
〈기술이 교육을 대체할 수 있을까〉에서 채효정은 한국 사회에 광풍처럼 몰아치는 ‘4차 산업혁명’, ‘교육 혁신’, ‘미래 교육’에 대해 성찰한다. 기술이 미래를 결정하는 것도 아니고 미래의 경로도 미래학이 예측하는 대로 정해져 있지 않다고 말하는 채효정은 우리가 어떤 미래를 원하고 어떤 세상을 만들려고 하는지에 따라 기술의 결과도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한다. 채효정이 교육에서 진짜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미래 산업에 필요한 인력 양성이 아니라 공동체에서 함께 살아갈 미래의 시민, 비판할 수 있고 저항할 수 있는 미래의 시민을 기르는 것이다.

부록 -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A/S

2012년,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1권에서 〈무관의 평교사에겐 팔지 않은 영혼의 힘이 있다네〉라는 글로 승진의 길로 가지 않고 당당하게 살아가는 이야기를 전했던 이상대. 그랬던 그가 2016년 교장이 되었다. 승진은 ‘아이들로부터 도피하는 것’이라고 일갈했던 저자는 어쩌다 교장이 되었는가. 교육공동체 벗 최초로 단행했던 ‘강의 리콜 서비스’. 어떻게 하면 관리자가 되어서도 영혼을 팔지 않고 살 수 있을 것인가. 그의 ‘항변’에 귀를 기울여 보자.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하승수(지은이)

14년째 휴업 중인 변호사이고, 전직 대학교수다. 20대 국회 4년 동안 원내외 정당들과 시민사회단체들을 연결하여 선거제도 개혁을 성사시키려고 노력했다. 전 비례민주주의연대 공동대표, 전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전 국회 정치개혁특위 자문위원, 전 국민헌법자문특별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했고, 지금은 녹색전환연구소 기획이사, 세금도둑잡아라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여전히 한국정치의 변화를 위해서는 선거제도 개혁이 가장 중요하다고 믿고 있다. 저서로 『지역, 지방자치, 그리고 민주주의』, 『청소년을 위한 세계인권사』, 『착한 전기는 가능하다』, 『나는 국가로부터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 『삶을 위한 정치혁명』, 『배를 돌려라 : 대한민국 대전환』, 함께 쓴 책으로 『행복하려면 녹색』, 『세상을 바꾸는 힘』, 『껍데기 민주주의』, 『삐딱할 용기』 등이 있다.

이상대(지은이)

서울 삼정중 교장 applebighead@hanmail.net 58년 개띠. 전교조 활동 관련으로 해직. 월간 《우리교육》에서 일하다가 1994년 교단으로 복귀하였다. 이후 평교사로 중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다 2016년 내부형 공모 교장으로 임용되어 혁신학교인 서울 삼정중에서 3년째 교장으로 일하고 있다. ‘희망에 대하여 과장하지 않았지만 절망을 만나서도 작아지지 않았다’는 시구를 새기며, 입시 행정의 끄트머리쯤에 있는 학교를 다시 교육의 자리로 돌려놓는 일에 고심하고 있다. 저서로 《이상대의 4050 학급살림 이야기》, 《로그인하시겠습니까?》가 있고, 공저로는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거꾸로 생각해 봐!》 등이 있다.

공현(지은이)

어릴 때부터 정주하는 고향 없이 여기저기 이사 다니는 삶을 살았다. 그래서인지, 아니면 물려받은 기질인지, 조금 삐딱하게 사는 것이 습관이다. 2005년 고등학교 때 두발 자유 운동부터 시작하여 청소년운동을 계속하고 있다. 살아생전 두발 자유화 정도는 꼭 이루고 싶다는 작은 꿈이 있다.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대학입시거부로 삶을 바꾸는 투명가방끈,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등에서 활동해 왔으며, 병역거부와 대학거부를 하기도 했다. 왜 청소년운동을 계속하는지 질문을 받으면, 이제는 그냥 그 운동이 내 삶이라고 대답한다. 《유예된 존재들》을 썼고, 《능력주의와 불평등》, 《가장 민주적인, 가장 교육적인》, 《우리는 현재다 - 청소년이 만들어온 한국 현대사》, 《인물로 만나는 청소년운동사》, 《우리는 대학을 거부한다》, 《인권, 교문을 넘다》, 《머리에 피도 안 마른 것들 인권을 넘보다 ㅋㅋ》 등을 함께 썼다.

채효정(지은이)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해직 강사. 2011년부터 경희대에서 ‘대안 사회 구상하기’, ‘예술과 정치’ 등 인문 사회 과목을 강의해 오다 2016년 해고되었다. 이후 부당 해고와 차별적 강사 제도의 시정을 요구하고, 대학의 기업화와 비민주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수요 집회와 잔디밭 강의 등으로 학내 투쟁을 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서양 정치사상을 전공했다. 하이데거의 ‘테크네techne’와 포이에시스poiesis’ 개념을 토대로 기술·예술론에 대한 석사 논문을 쓴 것이 계기가 되어 이후 몸의 정치, 생명정치, 정치미학 등 정치에서 생명과 감각과 감정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 왔다. 박사 수료를 마치고 고대 ‘오이코노미아oikonomia’ 개념을 재해석함으로써, 여성과 노동을 중심으로 고대 민주주의와 생명정치론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1999년 교육 운동 단체인 ‘학벌없는사회’의 창립 멤버로 참여하여 활동했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학교 밖 청소년과 함께 하는 인문학 교실 - 삶은 달걀?’, ‘거리의 청소년들과 함께 하는 떡볶이 교실’이란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진행했는데 이것이 인생의 큰 전환점이 되었다. 이때 만난 선생님들과 청소년들에게서 배운 것이 큰 힘으로 남아 있다. 정치, 인문·예술, 교육 분야에서 이론과 현실, 사유와 실천을 잇는 ‘현장 연구자’가 되고 싶다. 지배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지배당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지식인이 되고 싶고, 함께 싸우는 사람으로 살고 싶다. 고통에 대해 공명하는 존재인 인간과 민주주의가 희망이다. 함께 쓴 책으로 《학교를 버리고 시장을 떠나라》, 《상상하라 다른 교육》, 《교육 불가능의 시대》 등이 있다.

정용주(지은이)

초등 교사이며 교육학을 전공했다. 교육공동체 벗에서 발행하는 격월간지 《오늘의 교육》 편집위원 겸 편집위원장을 맡아 다양한 주제로 교육을 비평하는 글을 써 왔다. 저서로 《교육학의 가장자리》가 있으며, 공저로는 《재난은 평등하지 않다》, 《능력주의와 불평등》,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가장 인권적인, 가장 교육적인》, 《교육 불가능의 시대》 등이 있다.

배이상헌(지은이)

중등 교사 chamtear@hanmail.net 어눌하지만 진실한 교육 해방의 방랑자, 성평등의 미래를 꿈꾸는 원시인, ‘차이’를 하나님으로 섬기며 나누기를 갈망하는 도덕윤리 교사. 학급과 학교에 걸쳐 학생 사회를 회복해 내는 것이 교사상과 교육의 제자리 찾기를 위한 알파와 오메가라고 생각한다. 자치공동체교육을 교육의 지향으로 꿈꾼다. 함께 쓴 책으로 《가장 민주적인, 가장 교육적인》이 있다.

진냥(이희진)(지은이)

초등 교사. 2017년부터 《오늘의 교육》 편집위원을 맡아 다양한 교육 문제를 다루는 글을 써 왔다. 인권, 나이주의, 반폭력을 주제로 가지고 있고 특히 권위주의·통제에서의 탈출과 어린이·청소년을 비롯한 소수자의 섹슈얼리티 문제에 관심이 많다. 언젠가 마녀가 되고 말겠다는 장래 희망을 간직한 채 머리카락을 기르고 있다.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와 ‘평등한연대’, 인권교육센터 ‘오리알’에서 활동했고 지금은 전교조 여성위원회와 ‘연대하는교사잡것들’,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에서 활동하고 있다. 공저로 《체벌 거부 선언》, 《세월호라는 기표》, 《삐딱할 용기》, 《연애와 사랑에 대한 십대들의 이야기》, 《광장에는 있고 학교에는 없다》, 《그리고 학교는 무사했다》 등이 있다.

이용석(지은이)

경기 중등 교사. 학생들과 함께 잘 살아 보겠다고 애쓰고 있는 교사. 경계와 중심의 이분법을 부정하며, 모든 억압에 저항하려고 발버둥치고 있는, 뭔가 어설픈 인간 동물.

박형일(지은이)

교육농연구소, 농부. 아주 잠시, 5년 남짓 학교 선생을 한 적이 있습니다. 풀무학교 전공부를 창업(졸업)하고, 작고 서툴게 농사를 지으며 교육농연구소라는 곳에서 살며 일하며 놀고 있습니다. 《삐딱할 용기》 등을 함께 썼습니다. kdp7910@gmail.com

김성애(지은이)

중등 교사, 전교조 여성위원회 ksa3414@hanmail.net 페미니즘을 늦게 알게 된 것이 인생의 큰 아쉬움인 페미니스트 교사이다. 페미니즘교육의 전면화와 교육노동운동의 페미니즘적 전환을 위해 노력하는 전교조 조합원이기도 하다. 여성의 일상 활동 모두가 노동이며 생산이라 생각하여 임신, 출산, 양육, 돌봄, 가사 노동을 가치화하는 활동을 하고 있는 지구지역행동네트워크 활동가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책을 펴내며 5 

1부 | 교육과 삶의 전환 
불온함은 ‘밖’을 상상하고 질문하는 힘 12 
삶과 교육의 농적 전환 | 박형일 | 

일탈과 퇴폐 그리고 해방 38 
기득권을 내려놓고 얻은 해방의 언어들 | 진냥 | 

페미니스트 교사가 불온한 교사다 76 
교육의 페미니즘적 전환을 위해 | 김성애 | 


2부 | 학생과 교사 관계를 전복하다 
청소년운동이 바라는 학교는…… 104 
학생과 교사는 어떻게 만나야 할까 | 공현 | 

모든 억압에 저항하라 128 
행동하지 않으면 변하지 않는다 | 이용석 | 

학생 사회의 상상과 기획 154 | 
시민교육, 학생 사회를 상상하라 | 배이상헌 | 


3부 | 미래는 오는 게 아니라 만들어 가는 것이다 
‘교사 되기’를 다시 묻다 198 
교사, 위임 독재자에서 혁신적 경영인으로 | 정용주 | 

교사, 정치하라! 226 
선거 제도와 교사의 정치적 자유 | 하승수 | 

기술이 교육을 대체할 수 있을까 258 
‘미래 교육’의 환상과 실체 | 채효정 | 

부록 |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AS 

영혼 있는 관리자로 살아가기 296 
무관의 평교사는 왜 교장이 되었는가 | 이상대 |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민지 (202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23)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