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71055 | |
005 | 20190216150136 | |
007 | ta | |
008 | 190214s2014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37894732 ▼g 937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2.6 ▼a 495.7 ▼2 23 |
085 | ▼a 372.6 ▼2 DDCK | |
090 | ▼a 372.6 ▼b 2014z2 | |
245 | 2 0 | ▼a (초등학교) 통합형 국어교과서 개발의 과제와 전망 / ▼d 이경화 [외] |
260 | ▼a 서울 : ▼b 미래엔, ▼c 2014 | |
300 | ▼a 231 p. : ▼b 천연색삽화 ; ▼c 26 cm | |
500 | ▼a 공저자: 최경희, 이수진, 이창근, 곽춘옥, 김혜선, 안부영 | |
504 | ▼a 참고문헌: p. 222-231 | |
700 | 1 | ▼a 이경화, ▼e 저 |
700 | 1 | ▼a 최경희, ▼e 저 |
700 | 1 | ▼a 이수진, ▼e 저 |
700 | 1 | ▼a 이창근, ▼e 저 |
700 | 1 | ▼a 곽춘옥, ▼e 저 |
700 | 1 | ▼a 김혜선, ▼e 저 |
700 | 1 | ▼a 안부영,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6 2014z2 | Accession No. 11180486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09 개정 교육과정을 계기로 통합형 교과서 개발이 긴급한 과제가 되었고 새로운 통합형 국어 교과서가 만들어졌다. 제1장에서는 교육과정별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어떤 방식의 통합이 이루어졌는지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제2장부터 제6장까지는 교육과정별로 성취 기준이 통합형 교과서에 반영된 양상과 문제점, 앞으로의 개발 과제를 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는 오랜 세월 동안 영역별 분권 체제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2009 개정 교육과정을 계기로 통합형 교과서 개발이 긴급한 과제가 되었고 새로운 통합형 국어 교과서가 만들어졌다. 제1장에서는 교육과정별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어떤 방식의 통합이 이루어졌는지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제2장부터 제6장까지는 교육과정별로 성취 기준이 통합형 교과서에 반영된 양상과 문제점, 앞으로의 개발 과제를 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수진(지은이)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에서 작문교육 전공으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교원대학교, 공주교대, 경인교대에서 강의하였으며, 초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집필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현재 대구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이다. 지은 책으로는 <과정 중심의 글쓰기 워크샵>(공저), <국어과 협동학습 방안>(공저), <국어과 창의성 신장 방안>(공저)가 있다.
곽춘옥(지은이)
서울 갈산초등학교 교사, 한국교원대 박사 주요논문 : [대위 그림책의 문학 교육적 의의와 활용 방법](2014), [초등학교 문학 수업의 유형](2008), [초등학교 동화 감상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2006)
이경화(지은이)
이창근(지은이)
전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최경희(지은이)
전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안부영(지은이)
대구교육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초등국어교육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7~2015년 개정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개발에 참여하면서 수많은 초등학생의 글을 분석하고 학생들이 글을 잘 못 쓰는 이유에 대해 고민하였다. 이 책은 초등학생이 글을 잘 쓰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방대한 데이터를 날카롭게 분석한 저자의 10여 년의 노하우를 담고 있다. 저자는 현재 초등학교 교사로 재임 중이며, 글쓰기에 관심이 있는 초등학생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저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김혜선(지은이)

Table of Contents
1. 교육과정별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통합 방향과 전망 2. 듣기 말하기 성취 기준의 통합 양상과 과제 3. 읽기 성취 기준의 통합 양상과 과제 4. 쓰기 성취 기준의 통합 양상과 과제 5. 문섭 성취 기준의 통합 양상과 과제 6. 문학 성취 기준의 통합 양상과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