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70739 | |
005 | 20190214114959 | |
007 | ta | |
008 | 190213s2013 tgkaj SC 001c kor | |
020 | ▼a 9788971803752 ▼g 93920 | |
035 | ▼a (KERIS)BIB000013229905 | |
040 | ▼d 211032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82 | 0 4 | ▼a 325.344 ▼2 23 |
085 | ▼a 325.344 ▼2 DDCK | |
090 | ▼a 325.344 ▼b 2013 | |
100 | 1 | ▼a Manceron, Gilles ▼0 AUTH(211009)27372 |
245 | 1 0 | ▼a 프랑스 공화국 식민사 입문 : ▼b 인권을 유린한 식민침탈 / ▼d 질 망스롱 지음 ; ▼e 우무상 옮김 |
246 | 1 9 | ▼a Marianne et les colonies : ▼b une introduction à l'histoire coloniale de la France : texte inedit |
260 | ▼a 대구 : ▼b 경북대학교출판부, ▼c 2013 | |
300 | ▼a 452 p. : ▼b 삽화(일부천연색), 연표 ; ▼c 24 cm | |
500 | ▼a 색인수록 | |
651 | 0 | ▼a France ▼x Colonies ▼x History |
700 | 1 | ▼a 우무상, ▼e 역 ▼0 AUTH(211009)86139 |
900 | 1 0 | ▼a 망스롱, 질,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5.344 2013 | Accession No. 111804765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19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5.344 2013 | Accession No. 111886506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07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학교교과과정은 프랑스가 해외, 특히 북아프리카에 진출하여 수행한 긍정적인 역할을 특별히 인정하도록》 강제하려는 법(2005년 2월 23일자 법)이 제정되면서, 역사학자들, 교사들, 프랑스 사회의 일각으로부터, 그리고 알제리처럼 한때 프랑스 식민지였던 나라들과 서인도와 인도양에 있는 프랑스의 해외 도(道)로부터 항의가 쏟아지기에 이르렀다. 너무나 격렬한 항의에 직면한 프랑스 대통령 쟈크 시락은 문제의 구절을 삭제하도록 해야만 했다. 그러나 논쟁은 그치지 않고 계속되었다.
프랑스의 여론과 정치세력들을 계속해서 갈라놓으면서 계속되고 있는 논란은 자체의 과거사와 관련하여 프랑스가 직면한 난관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역사의 페이지는 여러 점에서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받은 침략·지배의 역사와 비교해 볼 수 있다.
이 책은 2003년에 초판이 발행되었는데, 당시는 프랑스에서 식민지배 과거사를 두고 큰 논쟁이 벌어지기 시작한 때였다. 그로부터 얼마 뒤에 《학교교과과정은 프랑스가 해외, 특히 북아프리카에 진출하여 수행한 긍정적인 역할을 특별히 인정하도록》 강제하려는 법(2005년 2월 23일자 법)이 제정되면서, 역사학자들, 교사들, 프랑스 사회의 일각으로부터, 그리고 알제리처럼 한때 프랑스 식민지였던 나라들과 서인도와 인도양에 있는 프랑스의 해외 도(道)로부터 항의가 쏟아지기에 이르렀다. 너무나 격렬한 항의에 직면한 프랑스 대통령 쟈크 시락은 문제의 구절을 삭제하도록 해야만 했다. 그러나 논쟁은 그치지 않고 계속되었다.
프랑스의 여론과 정치세력들을 계속해서 갈라놓으면서 계속되고 있는 논란은 자체의 과거사와 관련하여 프랑스가 직면한 난관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역사의 페이지는 여러 점에서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받은 침략·지배의 역사와 비교해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책의 한국어 번역본은 더욱 적절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서론-프랑스 공화국과 식민지배 과거사 019 제1부-인권에서 무가치한 목숨으로 제1장 초기 식민화 사업과 인권개념의 출현 제2장 《원리보다는 우리의 식민지가 없어지는 편이 낫다….》그렇지 않으면 식민지에도 인권을 적용해야 한다. 제3장 노예제도 복원과 첫 식민지 전쟁 제4장 노예제도 폐지운동, 토크빌 그리고 제2공화국 제5장 《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나며 항상 그러하다…》라는 것인가, 아니면 몇몇 사람들만 그러하다는 것인가? 제6장 미개인 이미지 구축 제2부-거짓말로 덮어 가린 범죄들 제1장 무력으로 정복할 것인가, 아니면 평화적으로 식민화할 것인가? 제2장 특이한 경우 ― 알제리 제3장 대중여론과 식민지배 행위 ― 이상과 이익 제4장 식민지배의 비인간성을 택할 것인가, 아니면 《민주적 식민화 사업》을 택할 것인가 제5장 반식민주의 운동의 존속과 그 기한 ― 1914년까지 제6장 반식민주의자들 그리고 ‘인권연맹’의 경우 제7장 ‘리프 전쟁’ 또는 자체의 함정에 빠진 식민주의 담론 제3부-정의를 바로 세우고 진실을 밝혀달라는 요구 제1장 넘쳐나는 선전전술에서 식민지배에 대한 《기억 상실》로 제2장 알제리에서 자행된 고문을 둘러싼 논쟁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제3장 식민지배 과정에서 자행된 폭력은 《반인륜범죄》에 해당하는가? 결론-정신의 탈식민화 연표: 프랑스 공화국과 식민지 관련 주요 사건(1792~196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