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의 노동조합과 노동운동의 역사 (Loan 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임송자 任松子
Title Statement
한국의 노동조합과 노동운동의 역사 / 임송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선인,   2016  
Physical Medium
428 p. ; 23 cm
ISBN
9788959336203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04-412)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Labor movement --Korea (South) --History Labor unions --Korea (South) --Histor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68824
005 20190124102151
007 ta
008 190123s2016 ulk b 001c kor
020 ▼a 9788959336203 ▼g 93300
035 ▼a (KERIS)BIB000014230281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31.809519 ▼2 23
085 ▼a 331.80953 ▼2 DDCK
090 ▼a 331.80953 ▼b 2016z1
100 1 ▼a 임송자 ▼g 任松子 ▼0 AUTH(211009)24143
245 1 0 ▼a 한국의 노동조합과 노동운동의 역사 / ▼d 임송자
260 ▼a 서울 : ▼b 선인, ▼c 2016
300 ▼a 428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404-412)과 색인수록
650 0 ▼a Labor movement ▼z Korea (South) ▼x History
650 0 ▼a Labor unions ▼z Korea (South) ▼x History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1.80953 2016z1 Accession No. 1118032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그동안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을 수정·보완하여 하나로 묶은 것이다. 총 3부 9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제1부 노동운동의 보수와 진보, 그리고 민주노조운동의 가능성, 제2부 한국노총 산별조직의 활동과 리더십 변화과정, 제3부 1970년대의 한국노총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 책은 그동안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을 수정·보완하여 하나로 묶은 것이다. 학술지에 게재된 각각의 독립적인 논문을 하나의 단행본으로 엮는 것은 결코 단순하거나 쉬운 작업이 아니다. 일관된 흐름과 논지에 따라 장과 절을 만들어내야 하며, 서장부터 종장까지 짜임새 있는 내용을 유지하도록 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며 중복된 내용을 깎고 다듬는 과정이 필요한 것이다. 그럼에도 편의적으로 약간의 수정과 보완작업만을 할 수밖에 없었다. 보다 치밀하고 짜임새 있는 단행본으로 출간하기 위해서는 더욱더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한데, 이러자면 무한정 세월을 보낼 것 같다는 생각이 퍼뜩 들었다. 그래서 일단 부족하나마 책으로 펴내어 비판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필자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스스로 위안 삼으면서 감히 출간하겠다는 결정을 내리기에 이르렀다. (책머리에 中)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임송자(지은이)

순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 한국현대사 전공, 성균관대학교 사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연구교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순천대 HK연구교수를 지냈다. 지은 책으로 《대한민국 노동운동의 보수적 기원》, 《한국의 노동조합과 노동운동의 역사》, 논문으로 〈민주당 정권기 국토건설사업의 추진 과정〉, 〈1961년 5·16 이후 국토건설사업과 국토건설단 운영 실태〉, 〈미군정기 우익 정치 세력과 우익 학생 단체의 문해·계몽운동〉, 〈1950년대와 1960년대 전반기 노동운동의 좌절과 도전〉 등 다수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제1부 노동운동의 보수와 진보, 그리고 민주노조운동의 가능성 

제1장 한국 노동운동의 보수와 진보 
1. 들어가며 
2. 대한노총의 이념과 보수성 
3. 전국노동조합협의회 결성과 진보적 노동운동의 가능성 
4. 나오며 

제2장 노동조직과 이승만·자유당 권력과의 관계 
1. 들어가며 
2. 대한노총 중앙조직과 이승만·자유당 권력 
3. 전국노동조합협의회와 이승만·자유당 권력과의 관계 
4. 나오며 

제3장 한국노총의 분열·갈등과 민주노조 운동의 가능성 
1. 들어가며 
2. 노조 민주화 운동의 좌절과 한국노총에 대한 반대(운동) 
3. 한국노총 내부 분열과 갈등 
4. 민주노조운동의 가능성 
5. 나오며 


제2부 한국노총 산별조직의 활동과 리더십 변화과정 

제4장 전국외국기관노조와 한미행정협정 체결 촉구 운동 
1. 들어가며 
2. 전국외국기관노조의 결성 
3. 전국외국기관노조의 조직현황과 구조 
4. 임금·노동조건 개선과 한미행정협정 체결 촉구 운동 
5. 나오며 

제5장 한미행정협정 체결 이후 전국외국기관노동조합의 감원반대와 퇴직금개선 운동 
1. 들어가며 
2. 한미행정협정 개정 건의활동 
3. 외기노조의 감원반대 운동 
4. 외기노조의 퇴직금개선 투쟁 
5. 나오며 
[부록] 한미행정협정 중 노무 관련 조항 

제6장 4월혁명기와 5·16 이후 부두노동조합 재편 과정과 노동조합 지도자들의 동향 
1. 들어가며 
2. 십장제 부두노동조직과 이에 대한 비판운동 
3. 4월혁명기 부산부두노동조합과 노동세력의 교체 
4. 5·16 이후 전국부두노동조합 재편과 조직 운영 
5. 나오며 

제7장 광산노동조합의 리더십 변화과정과 조직활동 
1. 들어가며 
2. 전국광산노동조합연맹과 새로운 노동조합운동 
3. 전국광산노동조합 조직체계 변화와 리더십 변화 
4. 덕대제 폐지와 연료정책 반대 활동 
5. 나오며 


제3부 1970년대의 한국노총 

제8장 도시산업선교회와 한국노총의 갈등·대립 
1. 들어가며 
2. 도시산업선교회의 노동운동 지원활동과 한국노총의 조직행동대 
3. 도시산업선교회와 한국노총의 갈등·대립 
4. 나오며 

제9장 공장새마을운동의 전개와 한국노총의 활동 
1. 들어가며 
2. 공장새마을운동의 전개과정 
3. 한국노총의 공장새마을운동 전개 
4. 나오며 

보론 1987년 노동자대투쟁 시기 강원도 탄광노동자들의 노동쟁의 양상과 특징 
1. 들어가며 
2. 노동쟁의의 전개 양상 
3. 노동쟁의의 특징 
4. 나오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노동인권 실현을 위한 노무사모임. 20주년 기념 출간위원회 (2022)
김의환 (2022)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