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64909 | |
005 | 20190715163945 | |
007 | ta | |
008 | 181218s2018 ggka 001c kor | |
020 | ▼a 9791159553776 ▼g 93510 | |
035 | ▼a (KERIS)BIB000014984856 | |
040 | ▼a 011001 ▼c 011001 ▼d 221016 ▼d 211092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6.028 ▼2 23 |
085 | ▼a 616.028 ▼2 DDCK | |
090 | ▼a 616.028 ▼b 2018 | |
100 | 1 | ▼a Carmody, Kristin A. |
245 | 1 0 | ▼a 중환자 및 응급 환자 초음파 핸드북 / ▼d Kristin A. Carmody, ▼e Christopher L. Moore, ▼e David Feller-Kopman ; ▼e 문재영 [외]옮김 |
246 | 1 9 | ▼a Handbook of critical care and emergency ultrasound |
246 | 3 | ▼a Handbook of critical care & emergency ultrasound |
260 | ▼a 파주 : ▼b 군자출판사, ▼c 2018 | |
300 | ▼a xi, 420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1 cm | |
500 | ▼a 공역자: 박명린, 박재석, 하상욱 | |
500 | ▼a 감수: 하영록, 김지박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Critical care medicine |
650 | 0 | ▼a Ultrasonic imaging |
650 | 1 2 | ▼a Ultrasonography ▼x methods |
650 | 2 2 | ▼a Critical Care |
650 | 2 2 | ▼a Emergency Medical Services ▼x methods |
650 | 2 2 | ▼a Emergency Treatment ▼x methods |
653 | ▼a 중환자 ▼a 응급환자 ▼a 초음파 | |
700 | 1 | ▼a Moore, Christopher L., ▼e 저 |
700 | 1 | ▼a Feller-Kopman, David, ▼e 저 |
700 | 1 | ▼a 문재영, ▼e 역 |
700 | 1 | ▼a 박명린, ▼e 역 |
700 | 1 | ▼a 박재석, ▼e 역 |
700 | 1 | ▼a 하상욱, ▼e 역 |
700 | 1 | ▼a 하영록, ▼e 감수 |
700 | 1 | ▼a 김지박, ▼e 감수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 청구기호 안암호흡기내과 616.028 2018 | 등록번호 931002157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의학도서관/실험실습자료/ | 청구기호 구로응급의학 616.028 2018 | 등록번호 931001954 |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초음파 사용에 있어 중환자의학 및 응급의학 영역에서 공통점이 있다. 두 영역 모두 치명적인 중증 환자 치료를 담당하며, 의료진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 및 초음파 유도 시술과 같은 응급치료를 한다는 것이다. 중환자실과 응급실 환경에서 현장 진단(point-of-care) 초음파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안내자 역할을 하는 설명서다.
의학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학문이다. 새로운 연구와 임상 경험으로 지식은 끊임없이 축적되므로, 치료법 또한 변화하기 마련이다. 저자들은 집필 당시 표준으로 인정되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고, 신뢰할 수 있는 근거자료들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오류의 가능성 및 의학은 계속 진보한다는 점 때문에 이 책의 출판에 연관된 모든 당사자 역시 여기에 담긴 정보가 정확하고 완벽하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 또한, 이 책에 제시된 오류가 있거나 생략된 정보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에 무한한 책임이 있다고도 볼 수 없을 것이다. 독자분들께 본 책에 포함된 근거 자료 외에도 다른 정보를 확인해보기를 당부드린다. 예를 들어, 이 책에 소개된 약물의 일반적 정보나 금기증, 권고용량 변동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약물의 상품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이는 신제품 또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약물일 경우 특히 중요하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의료용 초음파 기술은 진일보하였다. 경제적이고 안전한 검사법으로서, 이동식 초음파는 이제 다양한 전공분야에 걸쳐 진단과 시술에 필요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초음파는 사용자의 능력에 좌우되는 기술이므로, 그 한계와 가능성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의료인이 사용하여야 유용하고 효과적이다. 초음파 사용에 있어 중환자의학 및 응급의학 영역에서 공통점이 있다. 두 영역 모두 치명적인 중증 환자 치료를 담당하며, 의료진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 및 초음파 유도 시술과 같은 응급치료를 한다는 것이다. 이 설명서는 중환자실과 응급실 환경에서 현장 진단(point-of-care) 초음파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안내자 역할을 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응급실과 중환자실 의료진이 초음파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습득하고, 환자 치료에 초음파를 보다 잘 활용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정보제공 :

목차
PART 1 기본 이론편
CHAPTER 01_ 응급 및 중환자 초음파
CHAPTER 02_ 초음파의 기초
CHAPTER 03_ 초음파의 방향성
CHAPTER 04_ 탐색자 선택, 기계 조작, 장비
PART 2 응용편
CHAPTER 05_ 대동맥
CHAPTER 06_ 심장
CHAPTER 07_ 흉부
CHAPTER 08_ 하대정맥
CHAPTER 09_ 복강내 체액
CHAPTER 10_ 신장 및 비뇨기계
CHAPTER 11_ 간담도
CHAPTER 12_ 골반
CHAPTER 13_ 고환
CHAPTER 14_ 안구
CHAPTER 15_ 심부 정맥 혈전증
CHAPTER 16_ 연부조직 및 사지
PART 3 술기편
CHAPTER 17_ 정맥 확보
CHAPTER 18_ 흉강천자
CHAPTER 19_ 복부천자
CHAPTER 20_ 심막천자
CHAPTER 21_ 관절천자
CHAPTER 22_ 기관내삽관
CHAPTER 23_ 신경 차단술
CHAPTER 24_ 급성기 외상
PART 4 요약 및 실전편
CHAPTER 25_ 저혈압 환자에 대한 접근
CHAPTER 26_ 흉통과 호흡곤란 환자에 대한 접근
CHAPTER 27_ 복통 환자에 대한 접근
찾아보기 INDEX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