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63843 | |
005 | 20181210100005 | |
007 | ta | |
008 | 181210s2014 ulka 000c kor | |
020 | ▼a 9791185992044 ▼g 1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375 ▼2 23 |
085 | ▼a 375 ▼2 DDCK | |
090 | ▼a 375 ▼b 2014z1 | |
100 | 1 | ▼a 佐藤学, ▼d 1951- ▼0 AUTH(211009)27097 |
245 | 1 0 | ▼a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 ▼d 사토 마나부 지음 ; ▼e 손우정 옮김 |
246 | 1 9 | ▼a 授業を変える学校が変わる : ▼b 総合学習からカリキュラムの創造へ |
246 | 3 | ▼a Jugyō o kaeru gakkō ga kawaru : ▼b sōgō gakushū kara karikyuramu no sōzō e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에듀니티, ▼c [2014] ▼g (2017 17쇄) | |
300 | ▼a 251 p. : ▼b 삽화 ; ▼c 21 cm | |
500 | ▼a 배움이 있는 수업만들기 | |
700 | 1 | ▼a 손우정, ▼e 역 ▼0 AUTH(211009)76045 |
900 | 1 0 | ▼a Satō, Manabu, ▼e 저 |
900 | 1 0 | ▼a 사토 마나부,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5 2014z1 | Accession No. 1118004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06년 첫 번역출판 이래 지금까지 우리나라 대형서점에서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고 있으며 교육학 전문서적으로 오랫동안 독자를 확보하고 읽히고 있는 책이다. 우리나라에서 실제 학교 수업사례 연구를 통한 구체적인 학교혁신의 토대가 마련되고 있는 가치와 보람에서 비롯되었다.
이 책에 등장하는 교실풍경, 수업이야기 그리고 교육과정은 단순히 이론을 소개해 놓은 것이 아니라 저자가 수업개혁과 학교개혁 과정에 직접 참가하여 수십 년간 관찰하고 분석한 교실 속 ‘실천의지’ 로부터 나온 이야기이다. 가르치는 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고민했던 일들을 공감할 수 있는 언어로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매력이다.
교사에게 ‘수업’이란 무엇인가? 수업혁신을 향한 교사들의 열기가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이 열기를 더 해 주고 있는 한권의 책이 바로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이다.
이 책은 2006년 첫 번역출판 이래 지금까지 우리나라 대형서점에서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고 있으며 교육학 전문서적으로 오랫동안 독자를 확보하고 읽히고 있는 책이다. 판형 변경과 교정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독자가 읽을 수 있도록 금번 개정판이 나오게 된 것도 그간 이 책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실제 학교 수업사례 연구를 통한 구체적인 학교혁신의 토대가 마련되고 있는 가치와 보람에서 비롯되었다.
그렇다면 과연 무엇이 이 조그만 한 권의 책에 열광하게 하는 것일까? 그것은 다름 아닌 살아있는 교사와 살아있는 아이들이 만들어가는 살아있는 수업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의 저자인 사토 마나부는 역자의 박사과정 지도교수로 현재 일본 도쿄대학교 교육학연구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팬클럽이 생겨날 만큼 교사들이 만나고 싶어 하는 존경받는 연구자이다. 그가 유명한 이유는 아마도 세계에서 수업을 가장 많이 관찰하고 정확하게 분석해 내는 행동하는 연구자라는 점에 있다.
이 책에 등장하는 교실풍경, 수업이야기 그리고 교육과정은 단순히 이론을 소개해 놓은 것이 아니라 저자가 수업개혁과 학교개혁 과정에 직접 참가하여 수십 년간 관찰하고 분석한 교실 속 ‘실천의지’ 로부터 나온 이야기이다.
가르치는 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고민했던 일들을 공감할 수 있는 언어로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매력이다.
이 책의 매력은 이 뿐만이 아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수업과 교실의 현상만을 열거하는데 그치지 않고 수업혁신, 학교혁신을 위한 구체적인 실현 방안을 ‘배움의 공동체’라는 비전과 철학으로 함께 제시하고 있다.
저자는 21세기 학교를 ‘배움의 공동체’로 정의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제 학교를 아이들만이 배우는 곳이 아니라 교사들도 동료와 함께 배우면서 전문가로 거듭나고 지역주민, 학부모 나아가서는 교육행정가와 교육연구자들도 함께 배우면서 서로 성장하는 장소로 재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일로 교실을 배움의 공동체로 재구축하는 일을 들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배움공동체로서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한 교내연수’의 정착이 시급하다고 한다. 교내연수의 목적이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있다면 그 전문성은 다름 아닌 ‘수업 전문성’으로 결집되어야 하며 수업전문성은 이론이 아닌 전문가 교사들이 매일 실천하고 있는, 즉 수업사례로부터 쌓아가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교사는 혼자 성장할 수 없는 직업이다. 교사의 수업전문성이란 혼자서 열심히 수업을 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동료 교사와 함께 전문가로서 서로의 수업을 공개하고 함께 배워가는 관계를 만드는 일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는 이 조그만 이 한권의 책자가 수업을 고민하는 우리 40만 교사들에게 희망의 바이러스가 되었으면 좋겠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사토 마나부(지은이)
1951년 일본에서 태어나 1989년 도쿄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에(三重)대학교 교육학과 조교수, 도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연구과 교수, 가쿠슈인(?習院)대학 교수를 지냈고, 현재 가쿠슈인 대학 특임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도쿄대학교 교육학연구과 과장과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 뉴욕대학교 객원교수, 베를린자유대학교 초빙교수, 일본교육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미국교육학회AERA 명예회원이기도 하다. 일본 내 수천 개의 학교, 해외 수백 개의 학교를 방문하여 배움의 공동체 학교개혁의 연구와 실천을 쌓고 있다. 저서로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교사의 배움』,『사토 마나부, 학교개혁을 말하다』,『교사교육 개혁의 그랜드 디자인』,『학교개혁의 철학』,『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아이들』,『교육방법학』,『수업연구입문』,『교사의 도전』,『학교의 도전』등이 있다. 일본의 교육학자 사토 마나부 교수는 오랜 세월 동안 미국의 진보주의교육에 있어 단원학습의 역사 및 일본의 학교 커리큘럼 개혁에 관한 연구, 배움에 관한 연구, 교사의 동료성에 관한 연구 등을 해왔다. 1980년대에 일본을 대표하는 교육학자 이나가키 타다히코와 함께 ‘수업연구’와 ‘교사연구’를 진행했으며 1990년대에는 심리학자 사에키 유타카와 ‘배움?び’이라는 단어를 교육연구 및 교육론에 도입할 것을 제창했다. 사토는 ‘배움’을 사물(대상세계)과의 만남과 대화에 따른 활동(action), 타자와의 만남과 대화에 따른 협동(collaboration), 자기 자신과의 만남과 대화에 따른 반성(reflection)이 삼위일체가 되어 수행되는 ‘의미와 관계의 재구성(re-contextualization)’의 영속적인 과정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는 ‘배움’을 핵심으로 하는 학교개혁의 이념으로 ‘배움의 공동체’를 제창하고 ‘배움의 공동체 만들기를 통한 학교개혁’을 일본 국내뿐 아니라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 전파했다. 사토에게 ‘배움의 공동체’는 학교의 사명과 책임 및 교실의 공개를 요청하는 공공철학(公共哲?), 다양한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주의 철학, 수업과 배움은 끊이지 않고 최상의 것을 추구해야 한다는 탁월성의 철학이라는 세 가지를 철학을 근본으로 정의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수업개혁, 수업검토회, 보호자 및 시민의 학습참가를 ‘배움’의 정의에 따라 전개할 것을 주장한다. 사토가 주장하는 ‘배움’과 ‘배움의 공동체’는 존 듀이(John Dewey)의 사상에 기반을 둔 공공성과 공화제 민주주의의 이론, 레프 비고츠키(Lev Semenovich Vygotsky)의 사상에 기반을 둔 사회적 구성주의의 학습론, 넬 라딩스(Nel Noddings)의 케어링에서 영감을 얻은 수용적 대화 개념을 주요배경으로 삼고 있다.
손우정(옮긴이)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사토 마나부 교수의 지도 아래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배움의공동체연구회’ 대표를 맡고 있다. 2000년부터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 교실의 수업을 관찰하며 교사들과 함께 수업을 배우고, 아이들을 배우는 일을 해오고 있다. 저서로 〈배움의 공동체〉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교육개혁을 디자인한다〉 〈사토 마나부, 학교개혁을 말하다〉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한글판 서문 : 프롤로그 1.교실풍경-배움의 창조로 (1)풍경으로서의 교실 (2)거짓 주체성이 만들어내느 것 (3)''대응''을 중심으로 한 배움과 수업 (4)''대응''하는 교사의 신체와 말 (5)배움을 중심으로 한 수업 (6)개와 개의 조정 (7)서로 배우는 교실의 창조 2.수업이 바뀐다-학교가 바뀐다 (1)학교를 안에서부터 바꾸기 (2)교실을 서로 열기 (3)교내연수의 세 가지 원칙 (4)학교조직을 단순화 하기 (5)공개연구회를 개최하기 (6)학교를 지역에 개방하기 3.교육과정을 디자인한다 (1)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2)''배움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3)''총합학습''은 왜 혼란스러운가? (4)총합학습과 교과학습 (5)총합학습의 탄생 (6)총합학습의 즐거움 (7)총합학습을 창조하는 교사 (8)시민성 교육과 배우는 방식을 배운다 (9)정답이 없는 배움 (10)현실로부터 배운다 (11)''자주성,주체성''이라는 기만 (12)''공부''로부터 ''배움''으로의 전환 (13)활동적이고 협동적인 배움 (14)협동적 탐구를 조직한다 (15)대화를 통해 깊어지느 배움 (16)학교를 기초로 한 교육과정 만들기 (17)총합학습으로부터 교육과정 창조로 (18)''배움의 공동체''로서의 학교 4.학교개혁의 도전-소,중학교의 실천 (1)코오리야마시 긴토소학교 (2)오지야시 오지야소학교 (3)후쿠이대학 부속중학교 (4)나가오카시 미나미중학교 (5)치가사키시 하마노고소학교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