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바로크 시대의 시민 미술 : 네덜란드 황금기의 회화

바로크 시대의 시민 미술 : 네덜란드 황금기의 회화 (Loan 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한순, 李漢順, 1955-
Title Statement
바로크 시대의 시민 미술 : 네덜란드 황금기의 회화 / 이한순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세창출판사,   2018  
Physical Medium
335 p. : 천연색삽화 ; 23 cm
Series Statement
석학 人文 강좌 ;84
ISBN
9788984117655 9788984113503 (세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97-320)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회화(그림)[繪畵].
Subject Added Entry-Geographic Name
네덜란드(국명)[Netherland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63416
005 20220113154804
007 ta
008 181206s2018 ulka b 001c kor
020 ▼a 9788984117655 ▼g 04600
020 1 ▼a 9788984113503 (세트)
035 ▼a (KERIS)BIB000014930673
040 ▼a 222003 ▼c 222003 ▼d 211009
082 0 4 ▼a 001.3 ▼a 951.017 ▼2 23
085 ▼a 001.3 ▼2 DDCK
090 ▼a 001.3 ▼b 2009z1 ▼c 84
100 1 ▼a 이한순, ▼g 李漢順, ▼d 1955- ▼0 AUTH(211009)107674
245 1 0 ▼a 바로크 시대의 시민 미술 : ▼b 네덜란드 황금기의 회화 / ▼d 이한순 지음
260 ▼a 서울 : ▼b 세창출판사, ▼c 2018
300 ▼a 335 p. : ▼b 천연색삽화 ; ▼c 23 cm
490 1 0 ▼a 석학 人文 강좌 ; ▼v 84
504 ▼a 참고문헌(p. 297-320)과 색인수록
650 8 ▼a 회화(그림)[繪畵].
651 8 ▼a 네덜란드(국명)[Netherlands]
830 0 ▼a 석학 人文 강좌 ; ▼v 84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001.3 2009z1 84 Accession No. 15134318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석학인문강좌 시리즈 84권. 17세기 바로크 시대는 네덜란드 고유의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낸다는 이유에서도 흥미롭지만, 단순히 감상하기에도 재미있고 감동을 주는 수준 높은 작품들이 많다. 서구의 미술사학계나 문화계에서 항상 주된 관심의 대상으로서 고정된 자리를 차지해 왔기에 이 시기의 시민 미술을 살펴보는 것은 네덜란드라는 강소국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이다.

17세기 바로크 시대는 ‘네덜란드의 황금시대(Dutch Golden Age)’라 불린다. 그만큼 정치·경제·사회·종교·학문·예술의 제 분야에 걸쳐 화려한 꽃을 피웠고 근현대를 위한 기반을 구축한 시대이다. 작은 땅에 비해 사람은 많고 천연자원이 그리 풍부하지 않음에도 유럽의 경제국가 대열에서 선두자리를 거의 놓치지 않는 강소국 네덜란드. 그 비결은 무엇일까?
이 시기의 미술은 네덜란드 고유의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낸다는 이유에서도 흥미롭지만, 단순히 감상하기에도 재미있고 감동을 주는 수준 높은 작품들이 많다. 서구의 미술사학계나 문화계에서 항상 주된 관심의 대상으로서 고정된 자리를 차지해 왔기에 이 시기의 시민 미술을 살펴보는 것은 네덜란드라는 강소국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이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시각 문화에 관한 글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한순(지은이)

암스테르담 시립대학 미술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 미술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와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 교수로서 홍익대학교 박물관장, 문화예술평생교육원장,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장, 홍익대학교 대학원장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근세 유럽의 미술사 1』(서울하우스, 2010), 『근세 유럽의 미술사 2』(미진사, 2015), 『바로크 시대의 시민 미술』(세창출판사, 2018)이 있으며 역서로는 『도상학과 도상해석학』(사계절, 1997), 『도상해석학연구』(시공사, 2002)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차 례

_ 머리글·4

I. 역사적 문맥·11

II. 직업과 신분의식: 렘브란트의 그룹초상화·41

III. 프로테스탄트 배우자관과 이미지 메이킹: 렘브란트의 부부 초상화·69

IV. 가족의 이상과 자부심: 메이튼스의 가족 초상화·95

V. 연극의 가르침과 즐거움: 스테인의 장르화·131

VI. 식물학과 꽃 수집 문화: 초기의 꽃정물화·169

VII. 문화적 헤게모니와 다원성: 판 호연의 사실주의 풍경화·197

VIII. 전통과 재창조: 밤보찬티의 이탈리아풍 풍경화·227

IX. 네덜란드 개혁교회와 시각예술: 드 비터의 교회 실내 회화·261

_ 참고 문헌·297
_ 도판 목록·321
_ 찾아보기·331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