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61775 | |
005 | 20181117140518 | |
007 | ta | |
008 | 181116s2018 ulka b 000c kor | |
020 | ▼a 9791128840524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4783097 | |
040 | ▼a 247009 ▼c 247009 ▼d 211009 | |
082 | 0 4 | ▼a 378.519 ▼a 379.158 ▼2 23 |
085 | ▼a 378.53 ▼2 DDCK | |
090 | ▼a 378.53 ▼b 2018z2 | |
245 | 0 0 | ▼a 대학 평가의 정치학 / ▼d 김용 [외] |
260 | ▼a 서울 : ▼b 학이시습, ▼c 2018 | |
300 | ▼a vi, 212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공저자: 김민희, 반상진, 송경오, 이차영, 정바울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김용, ▼e 저 ▼0 AUTH(211009)93541 |
700 | 1 | ▼a 김민희, ▼e 저 ▼0 AUTH(211009)97031 |
700 | 1 | ▼a 반상진, ▼e 저 ▼0 AUTH(211009)66254 |
700 | 1 | ▼a 송경오, ▼e 저 ▼0 AUTH(211009)10075 |
700 | 1 | ▼a 이차영, ▼e 저 ▼0 AUTH(211009)19376 |
700 | 1 | ▼a 정바울, ▼e 저 ▼0 AUTH(211009)1779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8.53 2018z2 | 등록번호 11179939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대학 평가의 정치적 성격을 여러 각도에서 조명했다. 국가와 대학 사이에 평가를 둘러싸고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평가를 맞이한 대학 내부에서는 어떤 정치 행위가 일어나는가, 평가자와 평가를 받는 사람들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형성되는가, 대학의 구성원들은 각종 평가 과정에서 어떤 정서적 경험을 하는가, 대안적인 대학 평가는 존재할 수 없는가와 같은 질문으로 대학 평가의 정치적 성격에 접근한다. 한국 대학 평가의 실제를 검토하고 비판했다.
2018년 세종학술도서 선정
평가의 출발점이 되는 ‘기준’은 누군가가 만든 것이다. 기실 ‘사람의 손을 떠난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평가에 관여하는 어떤 사람이든 그 기준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만들고자 노력하기 마련이다. 기준을 만드는 과정뿐만 아니라 그 기준으로 재는 활동, 나아가 잰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에도 사람들의 이해가 개입할 수밖에 없다. 평가는 본질적으로 정치적 활동이다.
근래 대학에는 각종 평가가 도입,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 평가는 정치적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책은 우리나라 대학 평가의 정치적 성격을 여러 각도에서 조명했다. 국가와 대학 사이에 평가를 둘러싸고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평가를 맞이한 대학 내부에서는 어떤 정치 행위가 일어나는가, 평가자와 평가를 받는 사람들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형성되는가, 대학의 구성원들은 각종 평가 과정에서 어떤 정서적 경험을 하는가, 대안적인 대학 평가는 존재할 수 없는가와 같은 질문으로 대학 평가의 정치적 성격에 접근한다. 한국 대학 평가의 실제를 검토하고 비판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대학 평가가 매우 공정하고 객관적이며 기술적이기만 한 활동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평가 과정 전반에 정치적 성격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송경오(지은이)
조선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졸업 후 서울대학교 교육행정 전공에서 석사를, 그리고 미시간주립대학 교육정책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교육정책과 조직이론을 강의한다. 근래에는 초·중등 책무성 정책, 대학 평가정책, 교육 행정에서의 자기소외 현상 등의 주제를 연구한다. 공저로서는 『교육정책론』(2015), 『한국교육책무성 탐구』(2014), 『한국교육 행정론』(2013), 『일제고사를 넘어서』(2010) 등이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학교 혁신을 위한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의 의미와 중요성 탐색 : 자유학기제와 혁신학교 사례를 중심으로”(2015), “교육 행정구현과정에서 자기소외 현상 탐구”(2017), “Does high quality professional development make a difference? Evidence from TIMSS”(2017) 등이 있다.
반상진(지은이)
•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학사) • 동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학석사) •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대학원 교육행정학과 (MS) •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대학원 교육행정학과 (Ph.D.) •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現 교수) • 한국교육학회 (現 부회장) • 상지대학교 (現 개방이사) • 한국교육개발원 (前 원장) • OECD CERI (교육연구혁신센터) 운영위원회 (前 이사)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분과위원회 (前 위원장) • 한국교육행정학회 (前 회장)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前 회장) • 한국교육정치학회 (前 회장) • (사)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前 소장) • 교육부 교육정책자문위원회 (前 위원) • 교육부 대학구조개혁위원회 (前 위원) • 조선대학교 (前 임시이사) • 대통령자문 교육인적자원정책위원회 (前 상임전문위원) •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교직과 (前 부교수)
김민희(지은이)
현 직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교직부 교수 학 력 한양대학교 교육학과(문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전공(교육학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전공(교육학박사) 주요 경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상임이사 교육부 갈등관리심의위원회 한국대학평가원 대학기관평가인증운영위원회 주요 저서 4차 산업혁명과 고등교육 개혁(공저, 집문당, 2019) 한국의 지방교육자치(공저, 학지사, 2018) 지방, 학교가 변하고 있다(공저, 교육과학사, 2016) 연구 분야 교육재정, 교육복지, 교육정책 등
김용(지은이)
청주교육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박사학위를, 충북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신자유주의 교육 개혁과 교육정책 수립과 집행의 법적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근래에는 신자유주의 통치성과 교육정책, 담론과 상징으로서의 교육정책, 교육행정에서의 법화, 지방 교육 자치 제도의 실증 분석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와 역서로 『교육 개혁의 논리와 현실』(2012), 『한국교육행정론』(공저, 2012), 『교육의 사사화와 공교육의 해체』(역서, 2013), 『신자유주의 교육정책, 계보와 그 너머』(역서, 2015) 등이 있다.
이차영(지은이)
한서대학교 융합교양학부의 교수이다. 이 책을 쓰기 전에는 『한국교육행정론』(2012, 공저), 『교육정책론』(2015, 공저) 등을 쓴 바 있고, 한서대학교에서 교양학부장, 기획처장, 교무처장, 부총장 등을 경험하였다. 저자는 교육행정 연구자답게 학교의 운영에 영향을 주는 국가의 교육제도와 교육정책에 관심이 많았다. 그러다 요즘에는 학교교육에 실제로 힘을 가하는 교사와 학생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들여다보는 일에 관심이 더해지고 있다.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을 받는 교사와 학생이 만나 어떻게 어우러지는지에 따라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교육의 실제 모습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이 화두가 되는 요즘에도 교사와 학생이 진솔하게 만나 서로 상대방의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교육의 본질이라는 다소 진부한 생각을 바탕으로 교육 현상을 폭넓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소재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전에는 흘려보냈던 익숙한 소재들 속에서 교육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나 감춰진 지혜를 새롭게 발견하는 재미를 느껴 가고 있다.
정바울(지은이)
보스턴 칼리지에서 학교혁신을 주제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울교대 교육정책 및 리더십 전공, 인공지능교육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관심 주제는 교육과 테크놀로지, 학교 혁신, 교직의 변화와 교사교육이다. 『Covid-19에 따른 디지털 기술의 부상과 교사 직무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2020), 『코로나 시대 학교의 재탄생』(2020)의 공저자, 『교사교육의 딜레마』(2021), 『잠자는 교사를 깨워라』(에듀니티, 2020)의 공번역자이다.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에서 인공지능 교육을 공부하는 교사들과 함께 이 책을 번역했다.

목차
머리말 01. 대학 평가의 현황과 이 책의 구조-김용(청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수) 02. 평가의 정치적 성격 분석의 대상과 방법-김용(청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수) 03. 정부와 대학 간 관계의 정치학 : 교원 양성기관 평가 사례를 중심으로-송경오(조선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04. 대학 평가와 대학 내부의 정치적 역동 : 대학 구조 개혁 평가를 중심으로-반상진(전북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05. 대학 평가와 구성원의 정치 행태-김민희(대구대학교 사범대학 교직부 교수) 06. 대학 평가와 교수의 정체성 위기-정바울(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수) 07. 대학 평가의 정치학 : 대안적 평가 논의-이차영(한서대학교 교직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