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60796 | |
005 | 20181115100622 | |
007 | ta | |
008 | 181114s2017 ulkaj r 001c jpn | |
020 | ▼a 9791159170812 (上) ▼g 94910 | |
020 | ▼a 9791159170829 (中) ▼g 94910 | |
020 | ▼a 9791159170836 (下) ▼g 94910 | |
020 | 1 | ▼a 9791159170805 (전3권) |
035 | ▼a (KERIS)BIB000014637778 | |
040 | ▼a 211052 ▼c 211052 ▼d 211009 | |
082 | 0 4 | ▼a 372.89 ▼2 23 |
085 | ▼a 372.89 ▼2 DDCK | |
090 | ▼a 372.89 ▼b 2017z2 | |
245 | 0 0 | ▼a 초등학교 <歷史>교과서 : ▼b 原文 / ▼d 朝鮮總督府 編纂 ; ▼e 김순전 [외]編 |
246 | 1 | ▼i 版權記表題: ▼a 朝鮮總督府 編纂 初等學校歷史교과서 |
260 | ▼a 서울 : ▼b 제이앤씨, ▼c 2017 | |
300 | ▼a 3冊 : ▼b 揷畵, 年表 ; ▼c 23 cm | |
500 | ▼a 影印本 | |
500 | ▼a 編者: 사희영, 박경수, 장미경, 김서은, 차유미, 여성경 | |
500 | ▼a 索引收錄 | |
505 | 0 0 | ▼n 上. ▼t 普通學校國史 : 兒童用. 上, 下 卷 ; ▼t 普通學校國史. 卷一-卷二 ▼g (509 p.) -- ▼n 中. ▼t 初等國史. 第五學年-六學年 ▼g (365 p.) -- ▼n 下. ▼t 初等國史. 第五學年-六學年 ▼g (468 p.) |
534 | ▼p 原本出版事項: ▼c [京城]: 朝鮮總督府, 大正12-13[1923-1924] | |
534 | ▼p 原本: ▼t 普通學校國史 : 兒童用 (上, 下). ▼c [京城]: 朝鮮總督府, 大正11[1922] | |
534 | ▼p 原本: ▼t 普通學校國史 (1-2). ▼c [京城]: 朝鮮總督府, 昭和7-昭和8[1932-1933] | |
534 | ▼p 原本: ▼t 初等國史 (5-6). ▼c [京城]: 朝鮮總督府, 昭和15-昭和17[1940-1942] | |
534 | ▼p 原本: ▼t 初等國史 (5-6). ▼c [京城]: 朝鮮總督府, 昭和19[1944] | |
700 | 1 | ▼a 김순전 ▼g 金順槇, ▼e 編 ▼0 AUTH(211009)107866 |
700 | 1 | ▼a 사희영 ▼g 史希英, ▼e 編 ▼0 AUTH(211009)95223 |
700 | 1 | ▼a 박경수 ▼g 朴京洙, ▼e 編 ▼0 AUTH(211009)131289 |
700 | 1 | ▼a 장미경 ▼g 張味京, ▼e 編 ▼0 AUTH(211009)131288 |
700 | 1 | ▼a 김서은 ▼g 金瑞恩, ▼e 編 ▼0 AUTH(211009)82443 |
700 | 1 | ▼a 차유미 ▼g 車兪美, ▼e 編 |
700 | 1 | ▼a 여성경 ▼g 呂娍景, ▼e 編 |
710 | ▼a 조선총독부, ▼e 편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89 2017z2 1 | 등록번호 1117993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89 2017z2 2 | 등록번호 1117993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89 2017z2 3 | 등록번호 1117993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 의해 편찬된 관공립 초등학교용<歷史>교과서 『普通學校國史』上ㆍ下卷(1922, 2권), 『普通學校國史』卷一ㆍ二(1932-33, 2권), 『初等國史』第五ㆍ六學年(1940-41, 2권), 『初等國史』第五ㆍ六學年(1944, 2권) 등 총8권에 대한 원문서이다.
일제강점기 조선인 학습자에게 시행되었던 교과서를 복원함으로써 교육에 대한 실증적 자료제시와 한국 근대초기 교육의 실상은 물론, 단절과 왜곡을 거듭하였던 한국근대사의 일부를 재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관련연구에 대한 이정표를 제시함으로써 다각적인 학제적 접근의 기반으로 삼고자 한다.
본서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 의해 편찬된 관공립 초등학교용<歷史>교과서 『普通學校國史』上ㆍ下卷(1922, 2권), 『普通學校國史』卷一ㆍ二(1932-33, 2권), 『初等國史』第五ㆍ六學年(1940-41, 2권), 『初等國史』第五ㆍ六學年(1944, 2권) 등 총8권에 대한 원문서이다. 본서의 발간은 일제강점기 조선인 학습자에게 시행되었던 <歷史>교과서를 복원함으로써 <歷史>교육에 대한 실증적 자료제시와 한국 근대초기 교육의 실상은 물론, 단절과 왜곡을 거듭하였던 한국근대사의 일부를 재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관련연구에 대한 이정표를 제시함으로써 다각적인 학제적 접근의 기반으로 삼고자 한다.
교과서는 국민교육의 정수(精髓)로, 한 나라의 역사진행과 불가분의 관계성을 지니고 있기에 그 시대 교과서 입안자의 의도는 물론이려니와 그 교과서로 교육받은 세대(世代)가 어떠한 비전을 가지고 새 역사를 만들어가려 하였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한국의 근대는 일제강점을 전후한 시기와 중첩되어 있었는데, 그 관계가 ‘국가 對 국가’이기보다는 ‘식민자 對 식민지’라는 일종의 수직적 관계였기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에 이르기까지 일제의 영향을 배제하고는 생각하기 어렵다. 이는 교육부문에서 두드러진 현상으로 나타난다. 근대교육의 여명기에서부터 일본의 간섭이 시작되었던 탓에 한국의 근대교육은 채 뿌리를 내리기도 전에 일본의 교육시스템을 받아들이게 되었고, 이후 해방을 맞기까지 모든 교육정책과 공교육을 위한 교과서까지도 일제가 주도한 교육법령에 의해 강제 시행되게 되었다. 그런 까닭에 일제강점기 공교육의 기반이 되었던 교과서를 일일이 찾아내어 새로이 원문을 구축하고 이를 출판하는 작업은 ‘敎育은 百年之大系’라는 생각으로 공교육을 계획하는 국가 교육적 측면에서도 매우 중차대한 일이라 여겨진다. 이야말로 근대 초등교과과정의 진행과 일제의 식민지교육정책에 대한 실체를 가장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이 될 뿐만 아니라, 현 시점에서 보다 나은 시각으로 역사관을 구명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순전(지은이)
전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한일비교문학·일본근대문학 전공 ①논문:「일본문학에서 보여지는 교육사」, 『일어일문학』 23집, 대한일어일문학회, 2004년 8월 외 50여 편 ②저서:『韓日 近代小設의 比較文學的 硏究』, 태학사, 1998년 10월 ③저서:『수신하는 제국』--明治·大正期 『尋常小學修身書』 연구, 제이앤씨, 2004년 11월 ④편역:『日本尋常小學修身書』上·下 2권, 제이앤씨, 2005년 9월 ⑤편역: 조선총독부 『초등학교수신서』 上·下 2권, 제이앤씨, 2006년 9월 ⑥번역:『일본 초등학교 수신서』 Ⅰ·Ⅱ·Ⅲ·Ⅳ·Ⅴ 5권, 제이앤씨, 2005년 8월 ⑦번역: 조선총독부 『초등학교수신서』 Ⅰ·Ⅱ·Ⅲ·Ⅳ·Ⅴ 5권, 제이앤씨, 2007년 7월
사희영(지은이)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2006)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2011) 현) 전남대 일어일문학과 강사
박경수(지은이)
장미경(지은이)
김서은(지은이)
차유미(지은이)
여성경(지은이)

목차
[상] 1932년 『보통학교국사』 권1 역대표(1) 1933년 『보통학교국사』 권2 역대표(2) 연표 [중] 서문 범례 1940년『초등국사』第五學年 1941년『초등국사』第六學年 [하] 서문 범례 1944년『초등국사』第五學年 1944년『초등국사』第六學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