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59481 | |
005 | 20181105094727 | |
007 | ta | |
008 | 181105s2017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30304502 ▼g 0335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51 ▼2 23 |
085 | ▼a 351 ▼2 DDCK | |
090 | ▼a 351 ▼b 2017z5 | |
100 | 1 | ▼a 김정렬 ▼g 金正烈 ▼0 AUTH(211009)62283 |
245 | 1 0 | ▼a 공공파이 만들기 = ▼x Making a public pie : ▼b 굿 거버넌스를 찾아 세계를 누비다 / ▼d 김정렬 |
250 | ▼a 제2판 | |
260 | ▼a 서울 : ▼b 박영사, ▼c 2017 | |
300 | ▼a xix, 330 p. ; ▼c 23 cm | |
500 | ▼a 신정부의 철학과 비전 및 전략을 제시한 최신작 | |
500 | ▼a 부록: 파이레시피 보관창고 | |
504 | ▼a 참고문헌: p. 326-330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1 2017z5 | 등록번호 11179893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대중적인 교양서를 표방하면서 중고생이나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특히 여행기와 칼럼의 형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흥미의 유발은 물론 최신 정보의 습득에 유리하다.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의 경우 한국사는 물론 광의의 사회탐구를 구성하는 사회문화, 한국지리, 세계지리, 윤리, 정치경제, 법, 세계사 등 다양한 과목들을 부분적으로 선택해 학습하는 한계를 노정해 왔다.
이에 본서는 과목별로 세분화된 사회탐구의 통합적 이해를 추구하는 방식으로 실체적 이해를 도모하였다. 더불어 대학생들의 경우에는 현장지향의 실용교육을 위한 교양교재나 보조교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여행을 통해 포착한 세계 각국의 굿 거버넌스 사례들은 우리나라의 국정운영 개혁을 위한 유용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머리말
공공파이만들기의 출간동기는 2014년 초판의 머리말에 제시한 것처럼 홍콩, 싱가포르, 랑카위, 쿠알라룸푸르, 푸트라자야로 이어진 동남아시아 세계도시기행에서 경험한 강렬한 자극에 기인한다. 이후 필자는 지금까지 계속 ‘여행으로 배우는 신나는 사회탐구’를 표방하면서 여행이 주는 자극을 전공인 발전전략이나 정부혁신과 접맥시키려는 시도를 계속해 왔다.
자칭 여행작가 또는 여행컨설턴트를 인생 2모작을 준비하는 새로운 비전으로 설정한 필자는 지난 10년간 틈나는 대로 국내외 여행을 계획하고 실행에 옮겨 왔다. 특히 국제학술대회 발표나 지방공기업 경영평가를 활용해 ‘가성비’를 중시하는 자신만의 여행스타일을 고수하고 있다.
발전전략과 행정개혁을 포괄하는 차세대 정부의 미래상을 담아내기 위해 굿 거버넌스(Good Governance)를 찾아 세계를 누비면서 작성한 글들은 언론기고나 대학강의에도 적극 활용하였다. 우선 지난 3년 동안 여행기 스타일로 작성한 칼럼을 경향신문에 20여회 정도 기고하였다. 그리고 게재완료한 칼럼들은 이번에 출간하는 개정증보판의 주요한 기반으로 재활용하였다.
또한 ‘세계화와 국가경쟁력’, ‘국민국가와 제국 그리고 민주주의’, ‘도시와 행정’ 등 필자가 개발한 교양과목들은 대형강좌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여행을 통해 확보한 사진과 동영상, 시사적인 칼럼 읽기와 토론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학생들의 호응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필자는 2016년 대구대학교가 선정한 베스트 티칭 프로페서에 선정되는 영광을 누리기도 했다.
여행을 활용한 글쓰기는 저자가 전공한 사회과학보다 인문학이나 예술학에서 활성화되어 있다. 그리스 철학기행, 중국 한시기행, 북인도 종교기행, 동유럽 음악기행 등이 대표적 사례이다. 또한 여행하며 체험 소설을 출간한 무라카미 하루키나 어니스트 헤밍웨이 및 ‘객주’를 집필한 김주영도 유사한 경우이다. 하지만 자신이 정립한 굿거버넌스를 전파하기 위해 천하를 주유한 공자는 사회과학자의 전형이다.
대다수가 좋아하는 여행은 때와 장소를 불문하고 사람들을 몰입시키는 묘한 매력이 있다. 여행은 단조로운 일상에서 탈피해 새로운 만남과 자극을 선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행이 제공하는 창의적 발상의 강도는 여행자의 역량이나 준비에 따라 달라진다. 예술가나 공학자들이 여행을 통해 독특한 작품이나 제품을 창출하듯이 사회과학자도 국가의 미래에 대한 유용한 통찰을 제시할 수 있다.
사회과학의 일 분과로서 행정학은 특유의 학제적 성격으로 인해 통합적 사회탐구에 유리하다. 사회학과 심리학, 정치학과 경영학, 철학과 법학 등의 이론과 방법을 망라해 체계적으로 재구성한 행정학은 ‘사회과학의 종합 선물세트’로 지칭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만약 여행으로 배우는 신나는 공부가 가능하다면 이는 ‘놀이’라는 의미가 내재된 교육학(pedagogy)의 본질에 부응하는 학습방법이다.
이 책은 대중적인 교양서를 표방하면서 중고생이나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특히 여행기와 칼럼의 형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흥미의 유발은 물론 최신 정보의 습득에 유리하다.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의 경우 한국사는 물론 광의의 사회탐구를 구성하는 사회문화, 한국지리, 세계지리, 윤리, 정치경제, 법, 세계사 등 다양한 과목들을 부분적으로 선택해 학습하는 한계를 노정해 왔다. 이에 본서는 과목별로 세분화된 사회탐구의 통합적 이해를 추구하는 방식으로 실체적 이해를 도모하였다. 더불어 대학생들의 경우에는 현장지향의 실용교육을 위한 교양교재나 보조교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여행을 통해 포착한 세계 각국의 굿 거버넌스 사례들은 우리나라의 국정운영 개혁을 위한 유용한 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정책을 다루는 공무원이나 실무관계자들이 일독하기를 권유하고자 한다.
2017년 6월
김정렬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정렬(지은이)
김정렬(金正烈)은 2001년 9월부터 대구대학교 법·행정대학 자치경찰학 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동안 「세계일주로 배우는 사회탐구」, 「공공파이만들기」, 「비교발전행정론」, 「행정개혁론」 등의 책과 더불어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대구대학교에서 ‘세계일주로 배우는 국가와 도시(K-MOOC)’, ‘국민국가와 제국 그리고 민주주의’, ‘도시와 행정’ 등의 과목을 강의한다. 필자의 강의는 국내외 일주에서 확보한 사진과 동영상 감상, 여행칼럼 읽기와 토론 등을 병행한다. 이러한 노력으로 대구대학교가 선정한 베스트 티칭 프로페서를 수상하기도 했다. 주요 경력으로는 규제개혁위원회 전문위원, 지방공기업평가원 책임전문위원, 5급과 7급 및 9급 시험위원, 평생학습도시 재지정평가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최근에는 자치분권대학과 경북도민행복대학에 출강하는 한편 일간지에 여행기 형식의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굿 거버넌스의 구현과 공공파이만들기 비법 굿 거버넌스를 만들어야 한다 _1 차세대 정부가 추구해야 할 5가지 혁신 _4 발전전략의 다양성과 국가경쟁력의 강화 _7 공공마인드 강화가 국가발전의 지름길 _12 공직의 의미와 가치를 재정립하자 _16 정부의 미래와 국민의 결단 _18 누가 공공성을 주도해야 하는가 _21 PART 01 세계 각국의 굿 거버넌스 구현사례 Chapter 01 영미 국가의 굿 거버넌스 구현사례 한국인이 느끼는 하와이의 매력 _27 미서부 일주의 시발점 시애틀과 세도나 _30 라스베가스의 재도약을 선도한 복합리조트 _33 뉴올리언스가 미남부 여행의 거점으로 부상한 이유 _35 플로리다의 활력을 충전하는 도시들 _38 아메리카의 고립주의과 팽창주의 _39 캐나다 방문시 경험하는 선택의 애로 _42 미국이 창조한 시장주도 발전 _44 영국의 부활을 선도한 신성장동력 _46 부패와의 전쟁이 영국을 살리다 _49 미국 국민은 왜 정부를 믿지 않는가 _51 대처와 블레어의 공공개혁 비교하기 _54 세계를 평정한 클린턴의 점진적 신공공관리 _57 영국과 미국의 규제관리체계 비교 _59 영미 경쟁국가의 발전전략: 기술혁신의 중시와 재규제의 활용 _61 Chapter 02 유럽 국가의 굿 거버넌스 구현사례 _65 세 번의 유럽 방문에서 배운 노하우 _65 서유럽 강대국의 발전이념인 대리석과 적벽돌 문화 _68 서유럽 강소국에서 배우는 재도약의 조건 _71 오스트리아의 부침이 주는 교훈 _73 남유럽 부활의 길을 찾다 _76 그리스와 로마의 문명사적 가치 _78 북유럽 스타일 행복국가의 원천 _81 한국의 길, 노르웨이에 묻다 _83 아일랜드 영광과 시련의 교훈 _85 네덜란드의 기적에서 배우는 교훈 _88 창업국가 이스라엘의 명암 _90 독일에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_92 제조업 강국 독일의 차세대 발전전략 _95 신중도를 표방한 슈뢰더의 공공개혁 _97 쇠퇴하는 서유럽의 맹주 프랑스의 미래 _99 관료제의 이상을 실현한 프랑스의 행정제도 _102 신공공관리의 무풍지대 북유럽의 공공개혁 _105 유럽 합의국가의 발전전략: 경제민주화의 강화와 거버넌스의 구현 _108 Chapter 03 동아시아 국가의 굿 거버넌스 구현사례 일본에서 배운 다섯 가지 교훈 _111 하나의 중국이 추구한 패권의 기원 _114 중국의 역사가 농축된 고도방문기 _116 싱가포르의 명암에서 배우는 교훈 _119 인도차이나의 발전에서 배우자 _121 연변조선족자치주의 가치를 재발견하기 _123 세계도시 홍콩의 빛과 그늘 _125 연성국가 인도의 시행착오 학습하기 _128 경성국가 중국의 점진적 체제전환 _131 과거사를 망각한 일본의 모험을 우려한다 _133 일본의 발전을 선도한 정부관료제의 미래 _136 일본의 관료망국론은 진실인가 _138 동아시아 발전국가의 고도성장원인 _140 동아시아 경제위기와 정부기업관계의 다양성: 발전국가와 지대국가 _144 Chapter 04 중남미 국가의 굿 거버넌스 구현사례 쿠바식 발전의 새로운 진로 _150 중남미 스타일 행복국가의 비결 _153 아르헨티나의 비극이 주는 교훈 _155 아메리카 3대 문명이 남긴 흔적 _158 중남미 해방국가의 발전전략: 서민생활의 안정과 지속가능발전의 지향 _160 Chapter 05 기타 국가의 굿 거버넌스 구현사례 몽골식 체제전환의 성과와 과제 _164 중동의 강소국 아랍에미리트와 카타르 _166 세계화의 태동이 말레이와 카리브에 남긴 흔적 _169 공산주의 맹주 소련의 몰락원인 _171 남반부 스타일 줄이는 발전 _174 제3세계 국가의 저발전 원인: 구조와 행위 그리고 제도 _176 PART 02 한국적 발전의 새로운 경로 Chapter 06 우리스타일 파이나누기 수도권 신도시의 부침과 협치 _183 ‘민영화’보다 ‘정상화’가 먼저 _186 민간위탁의 위험한 유혹 _188 지방공기업 민영화 담론의 문제점 _191 ‘규제개혁’이 불러오는 것들 _193 규제의 본질과 규제개혁의 전략 _195 경매와 단전의 추억 _198 시민만족을 위한 행정서비스의 강화 _200 거버넌스의 확산과 대응전략의 모색 _203 Chapter 07 우리스타일 파이다듬기 거버넌스의 ‘한류’를 창조하기 _206 다시 국민행복을 생각한다 _209 애국에서 애민으로 _211 원자력 안전과 정치적 소통 _214 공적개발원조의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_216 시민단체에 대한 기대와 우려 _219 시민사회가 주도하는 거버넌스의 활성화 _221 정부관료제 잔혹사 _224 Chapter 08 우리스타일 파이키우기 ‘블루골드’ 물 산업화 전략 있나 _227 산업단지의 조성과 국가경쟁력의 강화 _230 서비스산업의 육성과 도시마케팅의 활용 _232 지역개발에서 지역경영으로 _234 녹색성장의 구현과 자치단체장의 리더십 _237 작은 정부론의 오해와 진실 _241 선진적 관리기술의 적극적 벤치마킹 _244 자치경영을 통한 실질적 지방분권의 강화 _246 Chapter 09 우리스타일 공공개혁 진짜 ‘정무직’ 관료, 그들의 트라우마는? _248 성과평가는 공공개혁의 진정한 출발점이다 _251 한국식 신공공관리의 형성과 진화 _253 변화관리의 선도자인 공무원의 역량개발 _255 성과지향적 조직관리 기풍의 강화 _257 정부구조의 적정화를 통한 대응성 제고 _258 전자정부를 활용한 파급효과의 극대화 _259 공공기관 개혁의 논리와 방향 _261 공공성 위기의 실상과 대책 _263 정부는 예산을 어떻게 다루어 왔는가 _267 에필로그 외국의 경험을 학습한 한국식 파이만들기 한국식 권위주의의 종말을 보며 _271 범죄와의 전쟁 vs 가난과의 전쟁 _273 미래지향적 국민통합과 국가혁신을 기대하며 _276 한국적 발전의 단계와 참발전의 지향 _278 굿 거버넌스의 새로운 동향과 전략 _281 일선 대민행정의 지속적 혁신 _283 행정제도의 우수성이 국가경쟁력의 원동력 _286 외국의 발전경험을 학습한 한국의 발전전략 _289 부록 파이레시피 보관창고 1. 정치경제학의 계보 _301 2. 발전이론의 유형화 _308 3. 행정이 추구하는 가치 _312 4. 공공개혁이란 무엇인가 _318 참고문헌 _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