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59448 | |
005 | 20220531144527 | |
007 | ta | |
008 | 181102s2018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85853550 ▼g 03320 | |
035 | ▼a (KERIS)BIB000014943265 | |
040 | ▼a 241019 ▼c 24101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8.7 ▼2 23 |
085 | ▼a 158.7 ▼2 DDCK | |
090 | ▼a 158.7 ▼b 2018z1 | |
100 | 1 | ▼a Kets de Vries, Manfred F. R. |
245 | 1 0 | ▼a 삶의 진정성 : ▼b 리더의 성, 돈, 행복 그리고 죽음에 관한 인생 탐구 / ▼d 맨프레드 케츠 드 브리스 지음; ▼e 김현정, ▼e 김문주 옮김 |
246 | 1 9 | ▼a Sex, money, happiness, and death : ▼b the quest for authenticity |
260 | ▼a 서울 : ▼b 더블북, ▼c 2018 | |
300 | ▼a 435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431-435 | |
650 | 0 | ▼a Quality of life |
650 | 0 | ▼a Psychology, Industrial |
650 | 0 | ▼a Work and family |
650 | 0 | ▼a Executives ▼x Conduct of life |
700 | 1 | ▼a 김현정, ▼e 역 ▼0 AUTH(211009)132403 |
700 | 1 | ▼a 김문주, ▼e 역 |
900 | 1 0 | ▼a 케츠 드 브리스, 맨프레드,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158.7 2018z1 | Accession No. 12124645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맨프레드 교수는 유럽 최고의 명문 경영대학원인 인시아드(INSEAD)에서 리더십 개발 분야의 교수로 수천 명을 가르치고 코칭하고 상담했으며, 미국·캐나다·유럽·아프리카·오스트레일리아·아시아 등 40개 이상 국가의 주요 기업에서 조직설계/변화 및 전략적 인적개발경영 컨설턴트로 활약했다.
이 책은 임상학자이자 국제공인 정신분석가, 컨설턴트, 리더십을 학문 분야로 세운 경영 구루로서의 경험을 토대로 일과 인생에 성, 돈, 행복, 죽음이라는 이슈가 경영자 또는 리더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반적으로 다뤘다. 또한, 이러한 도전 과제들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를 조언한다.
미국/캐나다/유럽
전 세계 40개국 리더들의 교과서!
2017년에 번역 출간되어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하이닉스 등 기업교육 현장에서 리더십 필독서로 읽혀지고 있는《리더는 어떻게 성장하는가》의 저자 맨프레드 케츠 드 브리스 교수의《삶의 진정성 : 리더의 성, 돈, 행복 그리고 죽음에 관한 인생 탐구》(원제 ; sex, money, happiness and death)이 출간되었다.
맨프레드 교수는 유럽 최고의 명문 경영대학원인 인시아드(INSEAD)에서 리더십 개발 분야의 교수로 수천 명을 가르치고 코칭하고 상담했으며, 미국·캐나다·유럽·아프리카·오스트레일리아·아시아 등 40개 이상 국가의 주요 기업에서 조직설계/변화 및 전략적 인적개발경영 컨설턴트로 활약했다.
이 책은 임상학자이자 국제공인 정신분석가, 컨설턴트, 리더십을 학문 분야로 세운 경영 구루로서의 경험을 토대로 일과 인생에 성, 돈, 행복, 죽음이라는 이슈가 경영자 또는 리더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반적으로 다뤘다. 또한, 이러한 도전 과제들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를 조언한다.
심리학과 경영학을 아우르는 통찰 통해
일과 인생의 균형을 위한 진정성 리더십 제시!
《삶의 진정성》은 40개국의 리더들과 경영자들이 저자에게 털어놓은 이야기 중에 울림을 주었던 것들로 구성되었다. 경영적인 문제보다 그 뒤에 숨은 이야기이며 대부분은 인간의 조건에 관한 것들이다. 어떻게 해야 개인적이고 자기애적인 욕구와 사회적 선善 사이에서 올바른 균형을 이룰 것인가에 대한 저자의 성찰과 경영자들이 직면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했던 질문들이 이 책의 주요한 내용이다.
성에 대한 고찰
저자는 경영자들이 비밀스럽게 들려주는 이야기들에 귀를 기울이면서 욕망에 대처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알게 됐다고 말한다. 욕망이 우리가 다른 경우에는 하지 못했을 종류의 일을 저지르게 만드는 촉매가 된다는 것이다.
욕망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왜 욕망하는가? 우리는 왜 우리가 하는 일을 욕망하는가? 욕망의 결과는 무엇인가? 그리고 우리는 어떻게 욕망에 대처하는가? 간단한 질문이지만 이에 대답하는 것은 모두 또 다른 문제다. 욕망은 손에서 빠져나가는 모래와 같다. 어느 곳에나 존재하지만 이를 단단히 쥐고 있기란 쉽지 않다.
이 장에서 저자는 인간의 가장 중요한 욕망에 집중한다. 바로 ‘성적 욕망’이다. 성욕은 인간의 성기를 흥분시키는 본질적인 발화장치다. 저자는 여러 경영적 결단을 포함해 모든 인간의 행동이 이러한 욕망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한 치 앞도 볼 수 없는 인간의 세계에서 단 하나 변함없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성욕이다. 비존재(非存在)를 존재(存在)로 만들어주는 것이 바로 인간의 성적으로 동기화된 욕구 체계다. 그리고 세상이 굴러가도록 만드는 것이 바로 성욕이다.
돈에 대한 고찰
우리는 끊임없이 돈에 대해 생각한다. 물론 돈을 진심으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이들도 존재하겠지만, 대부분 돈에 지나치게 반기를 드는 사람들을 의심하고 부를 경멸한다는 말은 반만 진실이라고 생각한다. 즉, 이러한 사람들이 경멸하는 것은 다른 사람이 누리는 부이며 이들은 단지 가까스로 질투를 숨길 뿐이라는 것이다.
진화심리학자들은 자연 선택이 우리를 새로운 상황에 신속히 적응하고 조금이라도 더 얻으려 노력하도록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르면 인간은 평생 긴장을 늦출 수 없다. 이러한 추론에 따르면 우리 일부는 결국 쾌락의 쳇바퀴에 빠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쾌락을 채우거나 고통을 회피하기 위해 끊임없이 동기를 부여받는다. 이러한 쳇바퀴는 영원히 멈추지 않는다. 인간의 욕망은 채워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도 어느 정도 수준에서 그 정도면 충분하다고 받아들일 수는 없는 것일까? 왜 ‘충분하다’는 개념은 그토록 이해하기 어려운가? 우리는 언제 충분히 부자가 되는가? 안락함과 만족의 순간을 정하고 그냥 쳇바퀴에서 내려오기로 마음먹을 수는 없는 걸까?
저자는 단순히 재산의 많고 적음이 아닌, 재산으로 무엇을 했는가 즉, 다른 이들에게 얼마나 선한 영향력을 미쳤는가로 사람을 판단해야 한다고 말한다. 부는 마음의 상태다. 그 누구라도 풍요로운 생각을 하면서 정신적인 부를 얻을 수 있다. 우리가 스스로 번창할 것이라고 생각하면 그렇게 될 것이다. 우리가 스스로를 계속 돈에 쪼들린다고 생각한다면 분명 그렇게 될 것이다.
행복에 대한 고찰
가장 높은 곳에 있는 경영자부터 생산직 노동자까지 사람들은 모두 묻는다. 더 행복해지려면 무엇을 해야 하지? 인생의 질을 높이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내 일과 인간관계에서 무엇이 잘못됐는가? 내 안의 갈등들을 ‘고칠 수 있는’ 방법이 있는가? 정답이 없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저자는 상상력을 발휘한다.
행복은 다루기 까다로운 주제다. 고통과 같은 부정적인 기분은 긍정적인 기분보다 다루기가 훨씬 쉽다. 훨씬 더 명확하고 구체적이기 때문이다. 냉철한 사업가들에겐 안타까운 일이지만 행복은 주식처럼 가치를 매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구체적인 가치를 덧붙일 수 있는 대상도 아니다. 행복은 손에 잡히지 않으며 매우 파악하기 어렵다. 행복은 우리에게 살그머니 찾아오지만 손아귀에서 재빨리 빠져나간다.
가끔은 전혀 기대치 못한 상황에서 선물처럼 오기도 한다. 잡기 어렵기 때문에 인간은 행복을 추구하는 것에 더욱 집착한다. 저자는 이 장에서 다양한 각도에서 행복에 대해 살피고 있다.
죽음에 대한 고찰
죽음은 인생에서 벌어지는 일 가운데 가장 대처하기 힘든 사건이지만, 사람들이 가장 적게 대비하는 사건이다. 우리는 상실과 비탄이 자연스러운 인생의 일부라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
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성과 감성은 죽음에 대해 밀접하게 작동하지 않는다.
죽음에 대한 부정은 인간 행동의 흔한 패턴이며 인간의 생애 주기 전반을 지배한다. 다행히 억압과 억제, 그리고 정신을 멍하게 만드는 연습은 죽음에 대한 집착을 감소시켜주고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능력을 개발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우리가 어떻게 하든 슬픔의 감정은 언제까지나 남아 있다.
우리가 죽음의 문턱에 도달했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은 후회가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하고 싶은 일을 해야 하고, 지금 해야 한다. 죽음의 문턱에서 사람은 자신이 해본 일에 대해서는 거의 후회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보다는 하지 않은 일, 하지 못한 일들을 후회한다. 아마도 인간이 죽음을 두려워하는 이유는 그런 후회들을 바로잡을 기회를 영원히 잃기 때문일 것이다.
진정성의 추구
저자는 끝으로 진정성과 이타주의, 지혜, 인간의 의미 탐구에 대해 기술했다. 진정성 있는 삶을 살지 못한다면 무슨 일을 하든지 의미 없게 느껴질 것이고 불안과 지루함, 절망에 빠지게 될 것이라고 충고한다. 저자는 인생에서 중요한 것은 권력과 지위의 상징이 아니라고 강조한다. 지위는 손에 쥐기 어려운 존재이며, 인기는 우연이고 부는 매우 변덕스럽다는 것이다.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의미 있는 관계를 통해 변화를 이끌어내고 가치 있는 의미를 창조하는 것이다.
심리학과 경영학을 아우르는 이 독특한 책을 통해 우리는 인생의 네 가지 교리인 성, 돈, 행복, 죽음을 탐구하게 된다. 맨프레드 케츠 드 브리스는 우리의 삶을 짓누르는 주요 이슈들을 깊은 통찰과 위트로 압축적으로 전달하여, 리더들이 리더십의 정수를 발견하고 성찰을 통해 활력있는 삶을 살아가도록 새로운 로드맵을 제시한다. ‘경영학계의 프로이트’로 불리는 저자의 통찰을 통해 독자들은 비즈니스의 숨겨진 진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맨프레드 F.R. 케츠 드 브리스(지은이)
유럽 최고의 명문 경영대학원인 인시아드(INSEAD)에서 리더십 개발 분야의 교수로 수천 명을 가르치고 코칭하며 상담했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영사상가 50인, 리더십을 학문 분야로 세운 8인, 인사 분야(HR)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8인에 이름을 올렸다. 기업가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가족을 돕기 위해 경제학(암스테르 담대학), 경영학(MBA, DBA 하버드 경영대학)을 수학하였다. 하버드에서는 정신분석가인 아브라함 잘레즈닉(Abraham Zaleznik) 교수의 지도학생으로 공부하였으며 캐나다와 파리에서 교육과 수련을 거쳐 국제공인 정신분석가가 되었다. 이후 그는 인시아드에서 리더십 개발 교수로 재직하며 1990년대 초반 최고의 리더들을 그룹 코칭하는 ‘The Challenge of Leadership: Developing your emotional intelligence’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런칭하고 2000년대 초반에는 관리자급을 대상으로 하는 ‘Coaching and Consulting Change(CCC)’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두 프로그램은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인시아드 최고 인기 장수 경영자 교육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 맨프레드 교수는 미국·캐나다·유럽·아프리카·오스트레일리아·아시아 등 40개 이상 국가의 주요 기업에서 조직설계/변화 및 전략적 인적개발경영 컨설턴트로 활약했다. 임원 리더십 개발의 글로벌 컨설턴트로서 ABB, 액센 추어, 베인 컨설팅, 뱅앤 올롭 슨, BP, 도이치 방크, 에릭슨, GE 캐피탈, 골드만 삭스, 하이네켄, KPMG, 레고, 루프트한자, 맥킨지, 국립호주은행, 노키아, 노바티스, 러시아 스탠다드, SAB밀러, 쉘, 유니레버, 볼보자동차 등이 그의 클라이언트였다. 국제 리더십 협회 공로상, 미국 심리학회의 조직 컨설팅 분야에서 ‘미리암 레빈슨 상’, 네덜란드 정신분석학회로부터 ‘프로이트 기념상’, 하버드 코칭 연구원으로부터 비전 우수상을 받았으며, 독일에서 경영자 교육의 기여를 기리는 공로상을 받았다. 2015년에는 인시아드 도미니크 오 최우수 교육상의 첫 번째 수상자로 선정되어 수상하였다. 40여 권의 책과 400편에 이르는 학술논문을 펴냈다.
김현정(옮긴이)
국내 최초로 세계적 수준의 이론과 실전을 갖춘 리더십 코치다. 현재 비즈니스 리더들을 돕는 코치이자, 컨설턴트, 교수, 코칭 사업가로 활동중이다. 숭실대학교 혁신코칭컨설팅학과 주임교수이며 ‘Executive Coach Society’를 운영하고 있다. 20여 년간 리더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을 제공해줄 수 있는 사람이 되고자 리더십 분야 전 세계 최고들에게 배움을 얻고, 그것을 국내외 리더들에게 전파하는 일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현대・기아 자동차그룹, 한국전력공사, 라인, SK하이닉스, JB주식회사, 유모멘트, 존슨앤존슨, 현대해상, 신한생명 등의 유수 기업에서 리더들을 대상으로 상담, 코칭, 교육, 컨설팅을 해왔다. 한양대학교 교육학과 졸업 후 미네소타대학교에서 상담심리학을 공부하고, 코치 양성을 목표로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조직과 리더십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90년생이 사무실에 들어오셨습니다』 『최고의 팀을 만드는 심리적 안전감』 『이그제큐티브 코칭의 이론과 실제』가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리더는 어떻게 성장하는가』 『리더십 롤러코스터』 『삶의 진정성』 『블루오션 전략』 등이 있다.
김문주(옮긴이)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후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를 수료하였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민주주의의 정원》, 《디스럽터》, 《거울 앞에서 너무 많은 시간을 보냈다》, 《어떻게 이슬람은 서구의 적이 되었는가》, 《설득은 마술사처럼》, 《올 더 빌딩스 인 파리》, 《불안에 지지 않는 연습》, 《캣치》, 《삶의 진정성》, 《방탄소년단 BTS: Test Your Super-Fan Status》, 《물어봐줘서 고마워요》, 《설득은 마술사처럼》, 《담대한 목소리》, 《나는 달리기로 마음의 병을 고쳤다》, 《셰이프 오브 워터》, 《나는 남자를 잠시 쉬기로 했다》, 《굿바이 불안장애》, 《인생이 빛나는 마법》, 《펭귄을 부탁해》, 《마음챙김과 비폭력대화》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한국어판 서문 두 번째 개정판에 부쳐 프롤로그 상아탑에 갇히다 /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 또 다른 600파운드짜리 고릴라 / 리더의 마음속에는 / 실존적인 길의 선택: 로드맵 제1부 성에 대한 고찰 1장. 도덕적 죄악의 그늘 안에서 아담과 이브의 유산 / 재미를 배제한 섹스 / 인간은 유전자가 이끄는 생존 기계 2장. 욕망의 모순 성애: 카펫 아래 숨은 뱀 / 신선함의 역할: 쿨리지 효과 / 애착 행동 / 사랑이랑 무슨 상관이지? / 낭만적인 사랑 / 성적 욕구와 애착 욕구의 결합 3장. 화성과 금성이 만났을 때 진화심리학과 배우자 선택 / 위험한 동일시 / 가장인격 만들기 / “언젠가 왕자님이 나타날 거야” 4장. 성적 상상 다형도착(多形倒錯)의 탄생 / 성적 마음가짐의 차이 / 섹스와 시간의 흐름 / 얼마만큼의 섹스면 충분할까? / 욕구 부족 / 너무 많은 욕망 / 전쟁 같은 섹스 / 치료에 대한 의문 5장. ‘성’이라는 놀이 최초의 창작: 가슴에 대한 환영 / 창조적인 사람이 부르는 유혹의 노래 / 보헤미안의 삶 6장. 보노보의 교훈 두 성 간의 더 나은 평등 / 독립적이면서도 의존하는 / ‘부부생활’의 성공 / 마치며 제2부 돈에 대한 고찰 7장. 탐욕의 죄 부의 피로 증후군 8장. 돈의 내면세계 판도라의 상자 / 돈의 상징적 역할 9장. ‘퍽 유 머니’에 대한 찬사 노골적인 돈 / 돈 때문에 질투에 눈이 먼 당신 / 몬테크리스토 콤플렉스 / 너무 많은 돈을 가졌다는 것 10장. 인생인가 돈인가 돈으로는 사랑을 살 수 없네 / 빼앗긴 만족 / 빼앗긴 친밀감 / 빼앗긴 시간 / 잃어버린 진실성 / 탐욕의 퇴행 / 빼앗긴 건강 11장. 돈의 선禪 돈을 떠나보내며 제3부 행복에 대한 고찰 12장. 산딸기를 찾아서 두 번의 여정 13장. 행복이라는 모호한 개념 ‘실낙원’을 찾아서 / 긍정심리학 14장. 행복 방정식 생존을 목적으로 하는 행복 / 행복의 상관관계 15장. 우리의 세계관 내적 통제소재 대 외적 통제소재 / 낙관론 대 비관론 / 외향성 대 내향성 / 높은 자존감 대 낮은 자존감 16장. 행복의 해체 사랑할 사람 / 해야 할 일 / 희망하는 일 17장. 균형의 문제 온전한 삶을 살 것인가 유예된 삶을 살 것인가 / 외형적인 성공 대 내적인 성공 18장. 시야 넓히기 사회적 비교 19장.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은행 통장 같은 건강 20장. 호모 루덴스 놀이의 역할 / 자아를 돕기 위한 퇴행 / 패배에 대한 대처 / 광기의 중요성 / 탐색의 욕구 제4부 죽음에 대한 고찰 21장. 살아서 빠져나가지 못할 거야 비극적인 인간 22장. 죽음의 부정 비이성의 승리 / 비탄의 우여곡절 / 애도의 단계 23장. 죽음과 인간의 생애주기 자아통합성 대 절망감 / 이반 일리치의 죽음 24장. 궁극적인 자기도취적 상처를 초월하는 법 죽음의 의식 / 살아 있음을 느끼기 위해 25장. 영생의 체계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 종교적 신념 체계를 통한 영생 / 출산을 통한 영생 / 일을 통한 영생 / 자연을 통한 영생 26장. 탈산업 시대의 죽음 죽음의 처리 27장. 순순히 작별인사를 고하며 마지막 말들 / 변화의 단계 / 호스피스 케어 시스템 28장. 빛의 죽음 당신은 어떠한가? / 대단치 않은 불편한 과제 / 그 다음의 멋진 모험은? 에필로그 진정성의 추구 진정성 갖추기 / 의미를 찾아서 / 이타적 동기 / 지혜 갖추기 / 꽃향기를 맡으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