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행정학 총론 25
1. 행정과 경영 27
2. 입법부와 행정부의 본인-대리인 관계 37
3. 생태론적 접근방법 44
4. 행정이념 48
5. 행정이념의 진화 56
6. 행정의 능률성과 형평성 62
7. 행정이념간 갈등과 우선순위 69
8. 정부실패의 해결기제 77
9. 신공공관리론과 고객지향적 정부 84
10. 뉴거버넌스(민영화, 시장주의) 88
11. 시장주의적 행정개혁 95
12. 공공서비스 민간위탁 추진 시 고려사항 101
13. 공공서비스 공급과 바우처제도 108
14. 행정문화 116
15. 정부 신뢰성 120
16. 관료제가 정부신뢰에 미치는 효과 127
17. 행정환경의 변화(세계화, 지방화)와 대응 134
18. 큰 정부와 작은 정부 142
19. 한국의 행정윤리 150
20. 행정 부패 157
21. 행정의 투명성 162
22. 정보의 비대칭과 행정부패 168
23. 행정개혁의 성패 172
24. 행정개혁과 NGO 178
25. 행정개혁의 특성과 과제 187
26. 행정개혁과 신공공관리 195
27. 행정개혁과 성과관리 203
28. SWOT기법에 기초한 성공적인 행정개혁을 위한 진단과 대응전략 210
29. 행정과 시민참여 216
30. 지식관리 225
제2장 행정조직론 231
1. 관료제와 민주주의 233
2. 관료제의 병리현상과 처방 245
3. 관료제 조직의 개혁 252
4. 정부기관간의 갈등 260
5. 한국 행정에 필요한 새로운 리더십 유형 268
6. 조직리더십 274
7. 핵심행정부 282
8. 위원회 조직의 한계와 극복방안 286
9. 정보화사회와 그 영향 292
10. 전자정부와 NPM 299
11. 이명박 정부 조직개혁에 대한 평가 302
12. NGO의 행정참여 및 정부와의 관계 312
13. 공기업 민영화 320
제3장 인사행정론 327
1. 직업공무원제도 329
2. 대표관료제 334
3. 개방형 임용제 340
4. 보수(급여) 346
5. 공직운영체제-순환보직제 352
6. 직무성과계약제의 개선 357
7. 근무성적평정 362
8. 공무원노조 367
9. 고위공무원단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73
10.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382
제4장 재무행정론 387
1. 일반회계?특별회계?기금의 비교 389
2. 성과중심 재정운영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94
3. 예산결정이론과 Top-Down 예산제도 400
4. 예산개혁 408
5. 프로그램 예산제도 414
6. 정부회계, 재정개혁 418
7. 총액인건비제도 423
8. 재정민주주의, 예산개혁 430
제5장 정 책 론 435
1. 정책과 행정이념 437
2. 규제의 정치경제에 대한 사례 443
3. 규제 행정의 개혁 451
4. 정책불응 458
5. 갈등관리와 정부의 역할 464
6. 갈등관리, 정책과정, 정책과정의 참여자 471
7. 정책 실패와 뉴거버넌스 479
행정학 사례답안의 실제 485
1. 서울대 행정대학원 석사과정 입시문제 답안 486
(1) 2009학년도 전기 486
(2) 2009학년도 후기 498
2. 행정고등고시 최고득점 답안(2010년) 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