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58168 | |
005 | 20181024113612 | |
007 | ta | |
008 | 181019s2018 ulk 000c kor | |
020 | ▼a 9788924052534 (v.1) ▼g 04680 | |
020 | ▼a 9788924052541 (v.2) ▼g 04680 | |
020 | ▼a 9788924052749 (v.3) ▼g 04680 | |
020 | ▼a 9788924052725 (v.4) ▼g 04680 | |
020 | 1 | ▼a 9788924052527 (세트) |
035 | ▼a (KERIS)BIB000014833483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82 | 0 4 | ▼a 791.43 ▼2 23 |
085 | ▼a 791.43 ▼2 DDCK | |
090 | ▼a 791.43 ▼b 2018z1 | |
100 | 1 | ▼a Bazin, André, ▼d 1918-1958 |
245 | 1 0 | ▼a 영화란 무엇인가? / ▼d 앙드레 바쟁 지음 ; ▼e 김태희 옮김 |
246 | 1 9 | ▼a Qu'est ce que le cinéma? |
260 | ▼a 서울 : ▼b 퍼플, ▼c 2018 | |
300 | ▼a 4책 ; ▼c 22 cm | |
505 | 0 0 | ▼n 1. ▼t 존재론과 언어, Ontologie et langage ▼g (250 p.) -- ▼n 2. ▼t 영화와 그 밖의 예술들, Le cinéma et les autres arts ▼g (183 p.) -- ▼n 3. ▼t 영화와 사회학, Cinéma et sociologie ▼g (237 p.) -- ▼n 4. ▼t 사실성의 미학 : 네오리얼리즘, Une esthétique de la réalité: le néo-réalisme ▼g (218 p.) |
650 | 0 | ▼a Motion pictures |
700 | 1 | ▼a 김태희, ▼e 역 |
740 | 2 | ▼a Ontologie et langage |
740 | 2 | ▼a Cinéma et les autres arts |
740 | 2 | ▼a Cinéma et sociologie |
740 | 2 | ▼a Une esthétique de la réalité: le néo-réalisme |
900 | 1 0 | ▼a 바쟁, 앙드레,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 2018z1 1 | Accession No. 111798393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15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 2018z1 2 | Accession No. 111798553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16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 2018z1 3 | Accession No. 11179855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 2018z1 4 | Accession No. 11179855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앙드레 바쟁(지은이)
1918년에 출생하여 1958년에 사망했다. 프랑스 앙제르 태생으로 생 클루드 국립고등사범학교를 나온 후, 왕성한 비평 활동으로 엄청난 양의 비평문을 발표했다. 40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나기까지 영화사상 가장 중요하고도 영향력 있는 이론가이자 비평가로 활동했다. 그의 사후에 전 4권으로 출판된 전집《영화란 무엇인가?》(1958~62)는 트뤼포, 고다르, 리베트 등의 프랑스 ‘누벨바그’ 영화감독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할리우드 영화의 재평가 및 주요 영화작가로서 장 르누아르와 오손 웰즈의 위상을 확고히 해주었다. 또한 전후 이탈리아 네오 리얼리즘의 진가를 인정하도록 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영화이론가로서의 바쟁은 장-폴 사르트르의 실존주의적 현상학 하에서 리얼리즘 영화미학의 정립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김태희(옮긴이)
프랑스 파리 1대학에서 영화학 박사학위 취득 후 현재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과 한국외국어대학에서 강의하며 번역과 집필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v.1] 서문 I.사진 이미지의 존재론 / 35 II.완전영화Cinéma total에 대한 신화 / 47 III.이중인화의 삶과 죽음 / 55 IV.우리는 왜 싸우는가?Why We Fight? 에 관하여 / 61 V.장 펭르베에 관하여 / 71 VI.파리1900,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75 VII.영화와 탐험 / 79 VIII><인간들의 천국> / 95 IX.침묵의 세계 / 99 X.매일 오후의 죽음 / 105 XI.앙드레 지드 / 115 XII..소비에트 영화에서 스탈린의 신화 / 121 XIII.패스티시와 포스티시, 혹은 콧수염을 위한 무無 / 145 XIV.찰리의 상징성에 대한 개론 / 151 XV.윌로 씨와 시간 / 165 XVI.금지된 몽타주 <하얀 갈기>, <빨간 풍선>, <유별난 요정> / 175 XVII.영화 언어의 진화 / 193 XVIII>윌리엄 와일러, 혹은 연출의 장세니슴 / 219 [v.2] I. 비순수 영화를 위하여 : 각색에 대한 옹호 7 II. 어느 시골 신부의 일기와 로베르 브레송의 스타일 39 III. 네메시스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 므슈 리퐈; 67 IV. 연극과 영화 85 v. 파뇰의 경우 155 VI. 회화와 영화 163 VII. 베르크손적인 영화 : 피카소의 신비 171 [v.3] 종교교단 같은 영화제에 대하여 7 1장. 신화 없는 어린 시절 15 I. 금지된 장난 17 II. 잊힌 사람들 27 III. 독일 영년 37 IV. 마지막 휴가 43 2장. 에로티즘 55 I. 핀업걸의 곤충학 57 II. 무법자 65 III. 로사나 75 IV. 허리 곡선과 나이아가라 79 V. 다윗과 밧세바 85 VI. 영화에서의 에로티즘의 가장자리에서 91 3장. 신화와 사회 101 I. 장 가벵과 그의 운명 103 II. 험프리 보가트의 죽음 109 III. 베르두 씨의 신화 117 IV. 라임라이트, 혹은 몰리에르의 죽음 153 V. 라임라이트의 위대함 161 4장. 서부영화 181 I. 서부영화, 혹은 전형적인 미국 영화 183 II. 서부영화의 진화 197 III. 모범적인 한 편의 서부영화 : 7인의 무뢰한 213 IV. 목양업자 221 5장. 자동인형의 세상 225 앙드레 카야트의 인공두뇌학 227 [v.4] I. 영화에서의 리얼리즘과 해방이후의 이탈리아 학파 9 선구자들 10 해방과 단절, 그리고 재탄생 14 사랑, 그리고 현실 거부 16 배우들의 혼합 18 탐미주의, 리얼리즘, 사실성 23 시민 케인에서 파르비크까지 26 파이자 30 이야기 기법 31 이탈리아 영화의 리얼리즘과 미국 소설 기법 44 II. 대지가 흔들린다 49 III. 자전거 도둑 59 IV. 시간이 지나야 성인聖人인 줄 안다 81 V. 희망의 길 87 VI. 두 푼짜리 희망 91 VII. 연출가 데시카 / 97 움베르토 D에 대한 노트 120 VIII. 한 편의 걸작:움베르토 D / 125 IX. 유로파 51 / 131 X. 이탈리아 영화는 자기 자신을 부인할 것인가? / 135 인물들이 자기 언어로 말하는 현재형 영화 / 135 네오리얼리즘적 역사영화? / 136 영어를 말하는 이탈리아인들 / 137 스타일의 성숙 : 관례적인 것에 새 의미를 부여하다 / 138 XI. 잔인한 나폴리:나폴리의 황금 141 XII. 데시카와 로셀리니 153 자바티니-데시카에게 인간적 사실성은 사회 현상이다. 153 로셀리니에게서 모럴의 문제 154 자바티니는 분석하고 로셀리니는 종합한다. 156 선과 사랑 157 XIII. 센소 159 XIV. 길 165 XV. 사기꾼들, 혹은 문제의 구원 175 XVI. 카비리아, 혹은 네오리얼리즘 끝으로의 여행 181 가짜 멜로드라마 184 외양상의 리얼리즘 187 사물들의 다른 편에서 189 이야기의 혁명 191 눈을 마주보고 193 XVII. 비텔로니의 심오한 독창성 195 XVIII. 도시의 사랑 199 XIX. 로셀리니에 대한 옹호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