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정보화 시대의) 전쟁관 : 국민 중심 전쟁 패러다임

(정보화 시대의) 전쟁관 : 국민 중심 전쟁 패러다임 (Loan 2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성윤환
Title Statement
(정보화 시대의) 전쟁관 : 국민 중심 전쟁 패러다임 / 성윤환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성남 :   북코리아,   2018  
Physical Medium
373 p. ; 26 cm
ISBN
978896324614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63-368)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57306
005 20181016163411
007 ta
008 181015s2018 ggk b 001c kor
020 ▼a 9788963246147 ▼g 9339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55.02 ▼2 23
085 ▼a 355.02 ▼2 DDCK
090 ▼a 355.02 ▼b 2018z1
100 1 ▼a 성윤환 ▼0 AUTH(211009)109674
245 2 0 ▼a (정보화 시대의) 전쟁관 : ▼b 국민 중심 전쟁 패러다임 / ▼d 성윤환 지음
260 ▼a 성남 : ▼b 북코리아, ▼c 2018
300 ▼a 373 p.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363-368)과 색인수록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2 2018z1 Accession No. 11179816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2 2018z1 Accession No. 11183347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5.02 2018z1 Accession No. 15134290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2 2018z1 Accession No. 11179816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2 2018z1 Accession No. 11183347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5.02 2018z1 Accession No. 15134290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저자가 군 복무를 통해 장기간 경험한 직무지식과 학문적으로 접근하여 군사지식을 집대성한 것이다. 따라서 군에 복무하는 군 간부와 군무원, 그리고 사관생도와 일반대학 군사학도들에게 읽기를 권한다. 특히, 이 책은 군사전문서적으로서 군사 분야를 연구하는 전문가들과 전쟁과 평화를 다루는 정치학자와 정치학도들에게도 숙독을 권한다. 세상은 변하지 않았지만 새로운 전쟁관을 통해 세계가 새롭게 보일 것이다.

“이 책은 우리에게 전쟁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깨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고전적인 전쟁관은 현재 우리 눈앞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재의 전쟁들을 잘 설명할 수 없다.
2차 세계대전의 전쟁 모습과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테러와 분쟁은 분명히 다른 전쟁의 모습이다. 과거와 현재의 전쟁을 동일한 관점으로 설명하고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동일하게 인식하는데서 문제가 발생한다. 현실에서 과거에는 전쟁으로 간주되지 않았지만 지금은 전쟁의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는 현상도 있다.
이 책에서 정보화시대의 전쟁은 전쟁의 중심(center of gravity)이 국민이며 국민의 의지가 전쟁의 승패를 좌우한다고 한다. 이 전쟁은 피아 국민의 마음과 생각을 얻기(win the hearts and minds)위해 상대를 공략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상대 국민을 공략하기 위한 수단은 군사력 위주에서 정보심리전, 외교력, 경제력을 융합하여 사용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화 시대의 전쟁관은 달라져야 한다고 이 책은 주장하고 있다.

이 책은 저자가 군 복무를 통해 장기간 경험한 직무지식과 학문적으로 접근하여 군사지식을 집대성한 것이다. 따라서 군에 복무하는 군 간부와 군무원, 그리고 사관생도와 일반대학 군사학도들에게 읽기를 권한다. 특히, 이 책은 군사전문서적으로서 군사 분야를 연구하는 전문가들과 전쟁과 평화를 다루는 정치학자와 정치학도들에게도 숙독을 권한다.
세상은 변하지 않았지만 새로운 전쟁관을 통해 세계가 새롭게 보일 것이다.
새로운 전쟁관은 현실에서 전쟁억제와 평화유지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당신은 전쟁에 관심이 없을지도 모르지만 전쟁은 당신에게 관심이 많다”는 러온 트로츠키(Leon Trotsky)의 말처럼 전쟁은 모두의 삶에서 알게 모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책에서 현재의 전쟁 패러다임을 지금 바로 확인하길 권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성윤환(지은이)

연세대학교에서 북한학 석사학위, 충남대학교에서 군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육군사관학교를 1981년에 졸업하고 이후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전방 중대장과 수색대대장, 그리고 연대장 등 지휘관을 역임하였으며, 연합사와 육군본부에서 정책기획실무자와 중기계획과장 등의 정책실무를 경험하였다. 또한 육군대학에서 군사전략과 교수와 전략학처장을 역임하고, 2014년 말에 육군준장으로 육군지상전연구소장을 마치고 전역하였다. 현재는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의 공공정책대학 통일외교안보학과 촉탁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술로는 군사전략과 정책, 군사교리 발전에 관련된 다수의 군사 기고문이 있으며, 최근에는 전쟁 패러다임 변화에 관련한 연구 성과를 논문으로 발표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저자 서문 
감사의 글 

제1장 전쟁관 
제1절 전쟁 이론의 변화와 전쟁관 
1. 전쟁관은 전쟁 패러다임 
2. 전쟁의 개념 이해 
1) 전쟁 정의의 변천 
2) 전쟁의 본질과 속성 
3) 힘의 원천, 전쟁의 중심 
3. 전략 개념의 이해 
1) 전략의 정의 변화 
2) 전략의 구성요소 
4. 전쟁 수행체계의 이해 
1) 전쟁의 수준 
2) 용병술 체계 

제2절 군사혁신의 전쟁 세대 구분 
1. 인류문명 결정론 
2. 기술 결정론 
3. 용병술 결정론 

제3절 전쟁 패러다임의 변화요인 
1. 전쟁의 주체와 전략적 중심 
2. 전쟁의 목적과 목표 
3. 전쟁의 방법 
4. 전쟁의 수단 
5. 전쟁 패러다임의 시대별 변화 분석방법 

제2장 봉건?농경시대 
제1절 군주 주도의 전장환경(戰場環境) 

제2절 군주가 전쟁 주체, 왕정이 수행한 전쟁 
1. 국가의 재정이 곧, 힘이며 전투력 
2. 국왕의 사병, 중세 기사와 근세 용병 상비군 
3. 적개심이 부족한 전투 

제3절 군주의 이익 쟁취만을 위한 전쟁 

제4절 장기판의 게임과 같은 군주 간의 전쟁 
1. 백병전: 전투대형의 충돌 
2. 제한전: 기병전술과 공성전, 용병전 

제5절 무사(武士)와 근력에 의존한 무기 

제6절 왕정 중심의 전쟁 패러다임 

제3장 국가?산업화 시대 
제1절 국가 발전과 전쟁 
제2절 군사력에 의존한 국가 간의 전쟁 
1. 정부의 군사작전 지원을 위한 국가 총력전 
2. 군부 주도하 전쟁 수행 
1) 군대의 전문직업화 
2) 독일의 전문직업적 군국주의 
3) 일본의 군국주의 
4) 미국의 정부: 문민통제에서 군부 지배로 
3. 애국적 시민의 전쟁 수행의지 

제3절 국가안보와 국익을 추구한 전쟁 
1. 나폴레옹의 유럽 패권 전쟁과 세력균형 
2. 세력균형과 제국주의 정책의 충돌 
3. 군국주의와 패권추구 전쟁 

제4절 군사력 섬멸이 곧 전쟁의 승리 
1. 병력의 양적 우세에 의한 포위 섬멸전 
2. 화력의 집중 포격에 의한 적 부대 섬멸전 
3. 전격전에 의한 적 마비(痲痺) 

제5절 산업화된 무기와 국가 총력전 
1. 대규모 군대 편성과 대량살상무기 개발 경쟁 
2. 국가동원 능력과 군수산업 발전 

제6절 군부 중심의 전쟁 패러다임 

제4장 세계화?정보화 시대 
제1절 세계화·정보화로 국민국가 권력 약화 
1. 동기 부여자와 촉진자로서 세계화 
2. 정보화로 권력 중심이 국민으로 이동 
3. 비국가 무장 세력의 비대칭적 주민 공략 

제2절 비국가 전쟁 행위자 등장과 국민 역할 증가 
1. 비국가 전쟁 행위자: 다국적군과 비국가 무장 세력 
2. 군(軍)에 대한 문민통제 강화 
3. 국민의 전쟁 의지와 민간전쟁 
1) 민주국가의 민의(民意)와 전쟁 
2) 독재국가의 민주화 국민 여론과 민중봉기 
3) 주민들 속에서의 전쟁 

제3절 포괄적 안보이익을 위한 전쟁 
1. 국민안보: 전·평시 포괄적 안보이익 추구 
2. 정권 탈취 및 정권교체(Regime Change) 목적의 전쟁 
3. 민족분쟁과 국제적 개입 

제4절 상대 국민의 의지를 공략하는 새로운 전쟁 
1. 전쟁 억제와 간접전략 
2. 강대국의 복합전 
1) 미국의 복합전: 재래식 전쟁 패러다임의 반성 
2) 러시아의 비선형전: 크림반도 합병과 우크라이나의 내전 개입 
3) 중국의 삼전 
3. 약소국(弱小國)과 비국가 단체의 제4세대 전쟁 
1) 마오쩌둥의 인민전쟁(1921~1949) 
2) 베트남의 저항전쟁(1955~1975) 
3) 니카라과의 공산화(1961~1979) 
4) 팔레스타인의 인티파다(1987~1993) 
5) 아프가니스탄 전쟁(소련: 1979~1989, 미국: 2001~2014) 
6) 이라크 전쟁(2003~2011) 
7) 4세대 전쟁의 특징 

제5절 국력 요소(DIME)와 국민 의지가 전쟁의 수단 
1. 최첨단 군사과학기술과 조잡하고 급조된 무기의 충돌 
2. 인명피해 최소화: 무인·비살상 무기 개발 
3. 간접적인 연성 국력의 활용 

제6절 국민 중심의 전쟁 패러다임 

제5장 한반도에서의 전쟁관 

제1절 전쟁 패러다임의 혁명적 진화 
제2절 전략적 수준에서 한반도 적용 
1. 북한의 적화통일 위협에 대한 재평가 
2. 국민 중심 전쟁 패러다임의 한국 적용 
3. 한국의 국가안보를 위한 제언 

제6장 북한 정권의 전략적 행태 분석 

제1절 북한 행태의 전략적 분석 필요성 
제2절 북한의 혁명전쟁 전략 이론과 실제 고찰 
1. 김일성의 혁명전쟁 전략과 군사사상 
2. 북한의 군사예술 이론 
3. 북한의 혁명전쟁 전략 추정 논의 

제3절 북한 혁명전쟁 전략의 시대별 단계 적용 
1. 해방정국(창군~6·25 전쟁): 3단계, 민족해방전쟁 
2. 냉전기(6·25 전쟁~1980년대): 2단계, 제2남침 준비 
3. 탈냉전기(1990년대): 1단계, 비대칭 전력 증강 
4. 북한 핵 개발기(2000년대 이후): 2단계, 핵 강국 건설 
제4절 향후 김정은 정권의 전략적 행태 예측 
제5절 한국의 전략적 대응 

참고문헌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Lacey, Jim (2022)
Grossman, Dave (2023)
井上孝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