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정서중심치료 사례개념화 : 변화촉진 임상 청사진 함께 창조하기

정서중심치료 사례개념화 : 변화촉진 임상 청사진 함께 창조하기 (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Goldman, Rhonda N. Greenberg, Leslie S., 저 김현진, 역 박에스더, 역 양명희, 역 박소피아, 역 김은지, 역
서명 / 저자사항
정서중심치료 사례개념화 : 변화촉진 임상 청사진 함께 창조하기 / Rhonda N. Goldman, Leslie S. Greenberg 공저 ; 김현진 [외]공역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8  
형태사항
347 p. ; 24 cm
원표제
Case formulation in emotion-focused therapy : co-creating clinical maps for change
ISBN
9788999715044
일반주기
공역자: 에스더박, 양명희, 소피아박, 김은지  
서지주기
참고문헌(p. 321-336)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56181
005 20181008114837
007 ta
008 181004s2018 ulk b 001c kor
020 ▼a 9788999715044 ▼g 93180
035 ▼a (KERIS)BIB000014843021
040 ▼a 223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616.89/14 ▼2 23
085 ▼a 616.8914 ▼2 DDCK
090 ▼a 616.8914 ▼b 2018z3
100 1 ▼a Goldman, Rhonda N. ▼0 AUTH(211009)1120
245 1 0 ▼a 정서중심치료 사례개념화 : ▼b 변화촉진 임상 청사진 함께 창조하기 / ▼d Rhonda N. Goldman, ▼e Leslie S. Greenberg 공저 ; ▼e 김현진 [외]공역
246 1 9 ▼a Case formulation in emotion-focused therapy : ▼b co-creating clinical maps for change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8
300 ▼a 347 p. ; ▼c 24 cm
500 ▼a 공역자: 에스더박, 양명희, 소피아박, 김은지
504 ▼a 참고문헌(p. 321-336)과 색인수록
700 1 ▼a Greenberg, Leslie S., ▼e▼0 AUTH(211009)87886
700 1 ▼a 김현진, ▼e▼0 AUTH(211009)113244
700 1 ▼a 박에스더, ▼e▼0 AUTH(211009)1795
700 1 ▼a 양명희, ▼e▼0 AUTH(211009)28109
700 1 ▼a 박소피아, ▼e▼0 AUTH(211009)31543
700 1 ▼a 김은지, ▼e▼0 AUTH(211009)60451
900 1 0 ▼a 골드먼, 론다, ▼e
900 1 0 ▼a 그린버그, 레슬리, ▼e
900 1 0 ▼a Kim, Hyun-jin, ▼e
900 1 0 ▼a Park, Esther, ▼e
900 1 0 ▼a Yang, Myoung-hee, ▼e
900 1 0 ▼a Park, Sophia S., ▼e
900 1 0 ▼a Kim, Eun-ji,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6.8914 2018z3 등록번호 1117976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레슬리 S. 그린버그(지은이)

캐나다 토론토에 소재하는 York 대학 교 심리학과의 저명한 연구 명예 교수이다. 그는 변화의 과정에 대 한 광범위한 연구를 바탕으로 개인과 커플을 치료하는 정서중심적 접근에 관한 주요 도서들을 저술해 왔다. Greenberg 박사는 Carl Rogers상과 미국심리학회 응용 연구 분야의 탁월한 전문가 기여상, 심리치료연구 국제 협회의 탁월한 연구 경력상, 캐나다 심리학회의 탁월한 심리학 기여상 등을 받았다. 그는 개인과 커플을 치료하는 개인 상담소를 운영하며 전 세계를 다니며 정서중심적 접근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수련하고 있다.

Rhonda N. Goldman(지은이)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심리학 전문대학원의 교수

김현진(옮긴이)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Liberty University에서 Gary Collins(전 미국기독교상담가협회 회장, 코칭 바이블 저자)와 Henry Virkler, Timothy Clinton(현 미국기독교상담가협회 회장) 밑에서 상담심리학 공부를 하였다. Luther Seminary에서 청소년과 가족시스템치료를 전공하였고, 박사학위 논문은 동반의존성(Codependecy: The Impact of Confucian Marriage and Family Structure on Women in Korea)에 대해서 썼다. 총신대학교와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등에서 강의를 했고, 지금은 광신대학교에서 상담치료대학원 주임교수로, 정서중심코칭심리학회 회장으로 섬기고 있다. KBS 명견만리 “교육의 미래” 1부와 EBS 다큐프라임 “왜 우리는 대학에 가는가?” 5부에서 미래 교육의 대안으로 떠오른 대학, 미국 St. John’s College에서 방문교수로 있었다. 이 대학 연구실에서 이 Emotion Focused Therapy를 번역하였다. Luther Seminary에서도 교환교수로 있었다. 2013-2014년에는 전남 교육청 정서행동교육모델링 프로젝트를 이끌면서 현직 교사들에게 정서코칭(emotion coaching)과 또래정서코칭에 대한 훈련을 했고, 여러 또래정서코칭지도사들과 함께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또래정서코칭을 진행해왔다. 앞으로는 EFT와 심리코칭을 융합하여 심리치료와 심리코칭 분야에 정서중심접근을 소개하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역자 서문 
서문 

01 정서중심치료 사례개념화 서론 
정서중심치료 
상담치료와 사례개념화 
정서중심 사례개념화의 지침 원리 
사례개념화 과정 
이 책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Ⅰ. 정서중심치료 철학 및 개요 
02 정서중심치료 기본 원리 
역기능에 관한 FET 관점 
정서의 유형 
내러티브 트랙과 정서 트랙 
공감적 탐색 
정서중심치료 기법 
정서중심치료의 문화적 이슈 
정서중심치료를 위한 실증적 지지 

03 정서중심치료 사례개념화의 역사적ㆍ인식론적 그리고 철학적 토대 
정서중심치료 사례개념화의 역사 
진단에 대해서 
사례개념화에 대한 다른 접근 
사례개념화에 대한 질적-해석학적 접근 
사례개념화 및 과학에서의 추론 방식 
귀추적 추론, 사례개념화 그리고 과제 분석 
요인 선택 
결론 

Ⅱ. 정서중심 사례개념화 3단계 
04 제1단계: 내러티브를 풀어 나가며 내담자의 정서처리 스타일을 관찰한다 
과정 1: 호소하는 문제(관계적인 어려움과 행동 문제)를 경청하기 
과정 2: 감정의 동요 및 고통스러운 정서적 경험에 귀를 기울이고 식별하기 
과정 3: 내담자의 정서처리 스타일에 주목하며 관찰하기 
과정 4: (애착 및 정체성과 관련된) 정서 기반의 내러티브 또는 삶의 이야기 풀어내기 
결론 

05 제 2단계: 함께 초점을 만들고 핵심 정서를 식별한다 
과정 5: 과제 작업을 위한 표식 식별하기 
과정 6: 이면에 깔린 적응적 또는 부적응적인 핵심 정서 도식 찾아내기 
과정 7: 욕구 파악하기 
과정 8: 이차 정서 파악하기 
과정 9: 핵심 정서 도식에의 접근을 방해 또는 차단하는 것을 찾아내기 
과정 10: 주제를 식별하기: 자기-자기 관계, 자기-타인 관계, 실존적인 문제 
과정 11: ''호소하는 관계나 행동에서의 어려움''을 유발시키는 사건들과 
    핵심 정서 도식을 연결하여 사례개념화 내러티브를 함께 구성하기 
결론 

06 제3단계: 프로세스 표식 및 새로운 의미에 주목한다 
과정 12: 드러나는 과제 표식 식별하기 
과정 13: 미세한 표식 식별하기 
과정 14: 새로운 의미가 새로운 내러티브의 재구조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호소하는 문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평가하기 
결론 

Ⅲ. 사례 
07 사례: 소피 
제1단계: 내러티브를 풀어 나가며 내담자의 정서처리 스타일을 관찰한다 
제2단계: 함께 초점을 만들고 핵심 정서를 식별한다 
제3단계: 프로세스 표식 및 새로운 의미에 주목한다 
결론 

08 사례: 지나 
제1단계: 내러티브를 풀어 나가며 내담자의 정서처리 스타일을 관찰한다 
제2단계: 함께 초점을 만들고 핵심 정서를 식별한다 
제3단계: 프로세스 표식 및 새로운 의미에 주목한다 
결론 

09 사례개념화 적용을 위한 차트 
사례개념화 샘플 차트 
사례개념화 차트: 우울증 
사례개념화 차트: 범불안장애 
사례개념화 차트: 사회불안장애 
사례개념화 차트: 복합 외상 
사례개념화 차트: 섭식장애 
결론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대한수면학회 (2022)
대한비과학회 (2022)
Spinelli, Ernesto (2023)
Greenberg, Leslie S. (2023)
Razzaque, Russell (2023)
대한전립선학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