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임상실험을 위한) 무작위 대조 연구

(임상실험을 위한) 무작위 대조 연구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지형
서명 / 저자사항
(임상실험을 위한) 무작위 대조 연구 =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or experimental study / 김지형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한나래출판사,   2016  
형태사항
406 p. : 천연색삽화 ; 26 cm
기타표제
Consort 2010와 Spirit 2013를 반영
ISBN
9788955661972
일반주기
부록: Primary outcome이 실패하면 어떻게 할까?  
일반주제명
임상 의학[臨床醫學] 통계 분석[統計分析]
000 00000nam c22002058c 4500
001 000045954144
005 20180912164855
007 ta
008 180912s2016 ulka 000 kor
020 ▼a 9788955661972 ▼g 93310
023 ▼a CIP2016023505
035 ▼a (KERIS)BIB000014240594
040 ▼a 011001 ▼c 011001 ▼d 249002 ▼d 249002 ▼d 211092
082 0 4 ▼a 610.72 ▼2 23
085 ▼a 610.72 ▼2 DDCK
090 ▼a 610.72 ▼b 2016z1
100 1 ▼a 김지형
245 2 0 ▼a (임상실험을 위한) 무작위 대조 연구 = ▼x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or experimental study / ▼d 김지형 지음
246 1 3 ▼a Consort 2010와 Spirit 2013를 반영
260 ▼a 서울 : ▼b 한나래출판사, ▼c 2016
300 ▼a 406 p. : ▼b 천연색삽화 ; ▼c 26 cm
500 ▼a 부록: Primary outcome이 실패하면 어떻게 할까?
650 8 ▼a 임상 의학[臨床醫學]
650 8 ▼a 통계 분석[統計分析]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0.72 2016z1 등록번호 13105276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많은 연구자들이 대학원에서 혹은 임상기관에서 연구기법에 관한 공부를 하고, 그중 통계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때 고급 통계기법보다 오히려 더 필요한 것은 기본적인 연구의 개념이다. 그리고, 그 개념은 그리 어려운 것도 복잡한 것도 아니며 오히려 자연스럽고 익숙한 것들이다. 현직 의사이면서 동시에 의학 연구자들을 위한 다양한 통계 저서를 집필해온 저자는, 같은 연구자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임상실험을 하고 논문을 작성하는 연구자들에게 꼭 필요한 기본 개념을 한 권으로 정리했다.

대학원생, 임상실험 연구자, 논문 작성자, 논문 심사위원을 위한
무작위 대조 연구 필독서!


CONSORT를 중심으로 무작위 대조 연구의 기본 개념을 한 권에 담다!
CONSORT는 Consolidated Standards of Reporting Trials의 약자로 무작위 대조 연구 논문에 보고해야 할 최소한의 양식을 공통적으로 정한 것이다. 야구로 치면 마치 스트라이크와 아웃이 무엇인지를 정하는 규칙과도 같은 것이다. 선수와 심판은 그 규칙대로 운동을 해야 하고, 이를 관람하는 관중도 그 규칙을 대충은 알고 있어야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이 규칙은 야구처럼 재미만을 위해 만든 것이 아니라 인과성을 증명하기 위해 수학적으로 계산되어 만들어진 규칙이다.
이 책은 이러한 CONSORT를 중심으로 기본 개념을 충실하게 다루고 있어 대학원생들이 강의 시간이나 그룹 토의 시간에 교재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마치 관중과 심판들도 규칙을 알아야 하듯이 임상실험 연구와 논문을 쓰는 연구자들뿐 아니라, 임상 논문을 읽을 때에 반드시 알아야 하는 개념들이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논문 심사위원들과 독자에게도 반드시 필요한 책이다.
이 책은 단순히 CONSORT의 내용을 번역한 것이 아니다. 너무 당연하고 자연스러워서 굳이 자세한 설명이 필요 없는 것들은 생략하고, 이해가 어려운 것들은 자세히 다루었다. 때로는 비유로 때로는 실험으로 정리하였다. 어느 정도 개념이 정리된 후에는 연구 계획, 즉 protocol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SPIRIT 2013에 대해 다루었다. 그리고 한국적 토양에 맞추어서 한국형 protocol에 관한 이야기도 함께 담았다.
워드 프로세서 사용법을 잘 알면 작가가 될까? 통계법에 대해서 아는 것은 워드 프로세서에 대해서 아는 것과 같다. 편리한 것은 사실이지만, 워드 프로세서가 본질이 아니다, 연구에서도 통계 기법이 도움이 되고 필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통계법 자체가 아니다. 저자는 과감히 이 책이 연구자들의 교과서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스터디 그룹의 주제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주요 내용
- 무작위 배정은 어떻게 하는 걸까?
- ITT는 무슨 뜻이고, 왜 하는 걸까?
- primary outcome을 왜 정하는 걸까?
- 샘플 수 계산은 왜, 어떻게 하는 걸까?
- 비열등성 검정이란 무엇이고, 왜 하는 걸까?
- 연구계획서(protocol)는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지형(지은이)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서울대학교병원 인턴 수료 -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레지던트, 전임의 수료 - 현 서울성심병원 정형외과 과장 - 의학통계, 정형외과 관련 강의 다수 - dBSTAT길들이기: 통계의 세계로(2015년, 바른의학연구소) - 일차진료의를 위한 정형외과 2판: 진단과 치료(2016년, 대한의학서적) - 이외 수십 여권의 의학통계, 정형외과 관련 도서 출간

정보제공 : Aladin

목차

Ch1. Primary Outcome(end point)
하나이어야 한다
시리얼 먹는 엄마가 남자를 낳는다?
Primary outcome을 명확히 규정해야 한다
Outcome을 정확히 기술하고 정확히 측정하라
샘플 수의 계산과 연구 계획
샘플 수 계산의 이해
두 개 이상의 primary outcome을 가지려면
중간분석(intrim analysis)
Trial Design

Ch2. Randomization
Simple randomization(단순 무작위 배정)
Block randomization(블록 무작위 배정)
Stratified randomization(층화 무작위 배정)
그 외 radomization
Concealment(은닉 또는 숨김)
eCRF(electric Case Report Form)

Ch3. 데이터 모으기
엑셀(Excel)
구글 설문조사, 네이버 폼, 엑셀 survey

Ch.4 가림(blinding)
가림
예제
Blinding의 평가

Ch5. 분석군
Intention-To-Treat analysis
ITT 예제
ITT가 혼란스러운 경우
과연 다른 논문들은 ITT원칙을 잘 따를까?

Ch.6 Results
흐름도 CONSORT diagram
Baseline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utcomes and estimation
추가분석(Ancillary analyses)

Ch7. Discussion
Limitation
Generalisability
예제
비뚤림(bias)의 종류와 해결

Ch8. protocol 만들기와 등록
한국 임상연구의 등록
외국 연구의 검색
등록과 검색의 이유

Ch9. 비열등성 연구
비열등성 검정의 필요성
비열등성 연구의 해석
비열등성 한계의 설정
예제들

Ch10. protocol 만들기
SPIRIT 2013과 CONSORT 2010
미국 NIH의 protocol
한국 식약처의 protocol

부록. Primary outcome이 실패하면 어떻게 할까?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

亜留間次郎 (2022)
McEwen, Melanie (2023)
임국환 (2022)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