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공정거래법 : 이론과 실무

공정거래법 : 이론과 실무 (1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임영철 조성국, 저
서명 / 저자사항
공정거래법 : 이론과 실무 / 임영철, 조성국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18  
형태사항
xix, 387 p. ; 26 cm
ISBN
9791130332260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51829
005 20180828154307
007 ta
008 180828s2018 ulk 001c kor
020 ▼a 9791130332260 ▼g 933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43.519072 ▼2 23
085 ▼a 343.53072 ▼2 DDCK
090 ▼a 343.53072 ▼b 2018z2
100 1 ▼a 임영철 ▼0 AUTH(211009)141785
245 1 0 ▼a 공정거래법 : ▼b 이론과 실무 / ▼d 임영철, ▼e 조성국
260 ▼a 서울 : ▼b 박영사, ▼c 2018
300 ▼a xix, 387 p. ; ▼c 26 cm
500 ▼a 색인수록
700 1 ▼a 조성국, ▼e▼0 AUTH(211009)85886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3.53072 2018z2 등록번호 11179607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07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들이 20여 년 이상 공정거래법에 대해 나누어 온 대화들을 교과서 형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머 리 말

이 책은 저자들이 20여 년 이상 공정거래법에 대해 나누어 온 대화들을 교과서 형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저자들은 1997년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처음 만났다. 한 명은 판사출신의 심판관리관실 국장이었고 다른 한 명은 그 부서로 발령을 받은 행정고시 출신의 사무관이었다. 그 당시 공정위 심판관리관실은 행정조직이면서도 연구소와 비슷한 분위기였다. 근무시간 이후에도 스터디 그룹 식의 모임이 이어졌고 직급을 불문한 난상토론이 이루어졌다. 대학시절보다 더 많은 법률 서적을 읽었다. 특히 미국과 일본의 교과서나 판례를 읽고 이해하느라 정신이 없을 정도였다. 지나고 보니 어떤 영화제목처럼 “기쁜 우리 젊은 날”이었다.
시간이 흘러 이 책의 공저자 중 한 사람은 2002년 변호사 개업을 하였다. 다른 공저자는 2006년 법학교수로 변신하였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이렇게 함께 토론하던 인연은 계속 이어졌다. 과거에도 그랬듯이 만날 때마다 공정거래법에 대해서 난상토론을 하곤 하였다. 공저자 중 임영철은 이미 2007년에 공정거래법 교과서(법문사)를 발간한 바 있다. 그 후 법률이 여러 차례 개정되었다. 새로운 대화들도 많이 나누었다. 드디어 작년 가을 저자들은 큰 결심을 하였다. 그 동안 나누었던 대화들과 이전 책을 바탕으로 새 책을 계획하기에 이르렀다.
시중에는 이 분야의 대가들이 쓰신 훌륭한 저서들이 많이 나와 있다. 내공이 부족하다고 스스로 고백하는 저자들이 새로운 책을 쓴다는 것은 큰 부담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주위의 많은 분들이 책을 출간하도록 끊임없이 독촉하였다. 공정위에 근무하면서 형성된 저자들의 실무 감각과 판사 출신 법조인이 변호사로서 수행했던 많은 사건에서 축적한 실무경력에 대학에서 강의하는 이론적인 논의까지 결합할 수 있다면 나름대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도 없지는 않았다. 그러나 가장 큰 동력은 공저자들이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점이 아닌가 싶다.
저자들이 공정거래법에 대해 오랫동안 공유해 왔던 생각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정거래법은 자유로운 기업활동을 보장하여 시장기능이 원활히 작동하도록 하기 위한 법이라는 점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독과점의 횡포를 막고 경쟁을 제약하는 합의를 규제하여야 한다. 공정거래법은 바로 기업들이 가격과 품질을 기준으로 공정한 경쟁을 하기 위한 규칙을 정한 것이다. 시장은 경쟁을 통해 발전하고 경쟁의 원천은 혁신이다. 우리나라는 정부가 주도적으로 자원을 적절히 배분하고 시장을 통제할 수 있는 단계를 벗어난 지 오래이다. 정부는 시장에 적용할 공정한 규칙을 제정하고 일관성 있게 적용하는데 집중하여야 한다. 공정거래법상 규제의 목적은 신고인의 민원해결이나 법위반기업 제재 그 자체가 아니라 그를 통한 시장기능의 정상화이다.
둘째 우리 사회에서 재벌은 부의 편법상속이나 정경유착, 가족의 일탈행위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받고 있다. 하지만 공정거래법이 그러한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는 없다. 물론 계열회사에 대해 기업집단 차원의 부당한 지원이 이루어지는 경우 독립기업은 공정한 경쟁 자체가 어렵게 된다. 예컨대 계열사 간 지급보증은 자금조달 면에서 경쟁을 저해할 수 있다. 공정거래법이 수행하여야 하는 역할은 바로 이러한 측면에서이다. 세법이나 형법도 마찬가지로 각 법의 고유한 역할이 있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주주와 채권자등 이해관계자에 의한 통제이다. 이것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동원하기 수월하지만 임시방편책에 불과한 행정적 수단을 자꾸 활용하려고 하기 보다는 시간이 걸리고 어려울 수 있지만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셋째 공정거래법이 경제적 약자보호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는지 문제가 된다. 경제적 강자의 횡포를 규제하면 경제적 약자가 보호될 수 있다. 그렇다면 공정거래법이 어느 선까지 개입하여야 하는지 고민이 된다. 만약 분쟁이 당사자 간의 사적인 것에 불과하다면 정부가 개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물론 정부의 개입이 필요한 공익상의 분쟁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시장에 관행화 된 ‘갑질’행위 또는 한 기업의 행위라 하더라도 거래상대방이 다수인 경우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우리사회의 실정은 소송에서 패한 후 공정거래법으로 구제해 달라는 민원도 제기되고 있듯이 정부에 대한 기대수준이 너무 높다. 아마 이름이 ‘공정’거래법이고 공정하지 않은 것은 공정위의 소관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은 아닌지 모르겠다. 지금 공정위의 모습을 보면 손님들이 한없이 길게 늘어서있는 음식점이 떠오른다. 손님들은 음식을 빨리 먹고 싶어 하지만 주방장은 정신없이 요리하는데도 불구하고 손님의 기대를 충족하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다. 국민의 세금으로 일하는 공정위의 입장에서는 다수의 피해자가 발생하는 등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사건부터 우선순위를 정해서 처리하도록 하고 사적인 분쟁은 다른 방식으로 원활히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머 리 말

넷째 시장의 규칙을 정한 공정거래법을 누가 어떻게 집행할 것이냐 하는 점이다.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사건처리의 독립성을 위해 합의제 형태의 위원회가 일원적으로 집행하도록 하고 있다. 정치권력이나 경제권력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공정위의 독립성 보장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리고 대부분의 공정거래법 위반행위는 원칙적으로 범죄가 아니다. 부당이득이 있으면 과징금으로 환수하면 되고 잘못된 관행이 있으면 시정명령으로 금지시키면 된다. 다만 형사상 범죄 수준의 심각한 법위반이 있으면 합의제인 위원회가 고발하면 된다. 그 대신 피해를 입은 기업이 손해배상을 원활히 받을 수 있게 민사소송절차를 대폭 개선하여야 한다. 스포츠 경기에서 심판이 호루라기를 너무 자주 불게 되면 선수들의 경기력 발휘가 어렵듯이 공정위가 법집행을 과도하게 하면 기업들은 혁신과 창의적인 사업활동을 주저하게 된다. 기업들은 공정위 조사만으로도 경영이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다. 시장에서 혁신적인 사업활동이 위축되면 그 피해는 사회 전체가 입게 된다. 공정거래법은 과소집행 되어서도 안 되고 과잉집행 되어서도 안 된다. 적정하게 집행되어야 한다.
끝으로 이 책이 출간되기까지 중앙대 박사과정의 한세론 학생은 원고검토와 집필방향에 대해 아낌없는 조언을 해 주었는데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그 외에도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 검토해 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린다. 또한 이 책의 출판을 허락해 주신 박영사의 안종만 사장님과 출판에 대해 조언해 주신 조성호 이사님 그리고 편집을 맡아 고생해 주신 김선민 부장님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8년 6월
저자 올림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임영철(지은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사, 석사 제23회 사법시험 합격 서울고등법원 판사 공정거래위원회 국장 미국 Standford Law School 방문학자 (현) 법무법인 세종 대표변호사 저서: 「공정거래법」(법문사)

조성국(지은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사, 박사 미국 Texas Law School, LL.M 제34회 행정고등고시 합격 공정거래위원회 과장 (현)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장 공정거래법 개관 

제1절 공정거래법의 의의	1 
Ⅰ. 경쟁법으로서의 공정거래법	2 
Ⅱ. 훼손된 시장기능의 회복을 위한 공정거래법	3 
제2절 독점규제 제도의 역사	4 
Ⅰ. 유래 4 
Ⅱ. 미국	6 
Ⅲ. 유럽연합	8 
Ⅳ. 일본	10 
Ⅴ. 우리나라	11 
제3절 독점규제법의 목적	13 
Ⅰ. 경쟁촉진	13 
1. 완전경쟁(perfect competition)과 유효경쟁(workable competition)	13 
2. 자유경쟁(free competition)과 공정경쟁(fair competition)	14 
Ⅱ. 경쟁촉진 이외의 다른 목적	15 
1. 거래의 자유	16 
2. 중소기업보호	17 
3. 소비자보호	19 
Ⅲ. 공정거래법의 목적	20 
Ⅳ. 결어	21 
제4절 독점규제법의 체계	23 
Ⅰ. 글로벌 3분론	24 
1.협조행위	24 
2. 단독행위	25 
3. 기업결합	25 
Ⅱ. 우리나라의 5분론	25 
1.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	25 
2. 불공정거래행위	26 
3. 부당한 공동행위	26 
4. 기업결합	27 
5. 경제력집중억제	27 
Ⅲ. 소결	27 

제2장 시장지배적지위 남용금지 

제1절 시장지배적지위 남용금지의 의의	29 
Ⅰ. 시장지배력의 양면 : finis opus coronat v. 남용의 기회 29 
Ⅱ. 시장지배적지위 남용금지의 취지	30 
제2절 시장지배적사업자의 개념과 판단기준	31 
Ⅰ. 시장지배적사업자의 개념	31 
1. 공정거래법상 정의	31 
2. 관련사건 : 2005년 BC카드 사건	32 
Ⅱ. 시장지배력의 판단기준	33 
1. 시장점유율	34 
2. 진입장벽	34 
3. 경쟁사업자의 상대적 규모	35 
4. 기타	35 
Ⅲ. 관련시장의 획정	35 
1. du Pont 판례	35 
2. 공정거래법상 관련시장의 획정	36 
Ⅳ. 시장지배적사업자 추정제도	39 
1. 시장지배적사업자 추정요건	39 
2. 현행 추정요건의 문제점	40 
제3절 시장지배적지위 남용금지의 분류	42 
Ⅰ. 공정거래법상 분류	42 
1.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 관련 법령 및 고시	42 
2.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 규정방식의 문제점	43 
Ⅱ. 행위성격에 따른 분류	44 
제4절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 유형	45 
Ⅰ. 착취남용	46 
1. 가격남용행위	46 
2. 출고조절행위	48 
Ⅱ. 사업활동방해행위	49 
1. 사업활동방해행위의 의의	49 
2. 필수요소 접근제한 행위	51 
3. 거래거절	52 
Ⅲ. 진입제한행위	55 
Ⅳ. 경쟁사업자 배제행위	56 
1. 부당염매	57 
2. 배타조건부거래	57 
Ⅴ. 소비자이익 저해행위	59 
제5절 독과점적 시장구조의 개선과 재제	60 
Ⅰ. 독과점적 시장구조의 개선	60 
Ⅱ. 위반행위의 제재	61 
1. 시정조치	61 
2. 과징금	63 
3. 형벌	63 

제3장 불공정거래행위 금지 

제1절 불공정거래행위 금지 개요	65 
Ⅰ. 입법연혁	65 
Ⅱ. 불공정거래행위 금지 체계	66 
1. 공정거래법상 체계	66 
2. 불공정거래행위 규정방식의 문제점	68 
Ⅲ. 불공정거래행위의 위법성 판단요소	70 
1. 공정거래저해성과 경쟁제한성의 관계	70 
2. ‘공정한 거래를 저해할 우려’와 ‘부당하게’의 관계	72 
3. ‘부당하게’와 ‘정당한 이유 없이’의 의미	72 
4. 불공정거래행위 정리	74 
제2절 경쟁제한형 불공정거래행위	76 
Ⅰ. 개요	76 
Ⅱ. 거래거절(법 제23조 제1항 제1호 전단)	77 
1. 공동의 거래거절	78 
2. 단독의 거래거절(기타의 거래거절)	79 
Ⅲ. 차별적 취급(법 제23조 제1항 제1호 후단)	83 
1. 가격차별	83 
2. 기타 차별적 취급행위	86 
Ⅳ. 경쟁사업자 배제(법 제23조 제1항 제2호)	88 
1. 부당염매	88 
2. 부당고가매입	93 
Ⅴ. 끼워팔기-거래강제(법 제23조 제1항 제3호 후단)	94 
1. 개요	94 
2. 끼워팔기 규제논거	95 
3. 대상행위 : 별개의 상품	96 
4. 경쟁제한성 판단기준	97 
5. 사례 :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끼워팔기 사건	99 
Ⅵ. 구속조건부거래(법 제23조 제1항 제5호 전단)	100 
1. 개요	100 
2. 배타조건부거래	102 
3. 거래지역ㆍ거래상대방 제한 105 
제3절 경쟁수단불공정형 불공정거래행위	107 
Ⅰ. 개요	107 
Ⅱ. 부당한 고객유인(법 제23조 제1항 제3호 전단)	109 
1. 부당한 이익에 의한 고객유인	110 
2. 위계에 의한 고객유인	113 
3. 기타의 부당한 고객유인	115 
Ⅲ. 거래강제(법 제23조 제1항 제3호 후단)	117 
1. 사원판매	117 
2. 기타의 거래강제	119 
Ⅳ. 사업활동방해(법 제23조 제1항 제5호 후단)	121 
1. 기술의 부당이용	122 
2. 인력의 부당유인ㆍ채용	123 
3. 거래처 이전방해	124 
4. 기타의 사업활동방해	125 
제4절 거래내용불공정형 불공정거래행위	126 
Ⅰ. 거래상지위 남용행위 일반론	126 
1. 규제논거-거래내용의 불공정성	126 
2. 거래상지위 남용행위 발생배경과 억지요소의 한계	127 
3. 거래상지위 남용행위 규제의 기본방향	129 
4.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 및 민사적 분쟁과의 구별	130 
Ⅱ. 거래상지위 남용행위 세부유형	131 
1. 개요	131 
2. 구입강제	132 
3. 이익제공강요	134 
4. 판매목표강제	135 
5. 불이익제공	136 
6. 경영간섭	137 
Ⅲ. 거래상지위 남용행위 관련 특별법	138 
제5절 부당지원행위	139 
Ⅰ. 부당지원행위 일반론	139 
1. 규제논거	139 
2. 외국 및 타법의 유사사례	140 
3. 사견	141 
Ⅱ. 부당지원행위의 유형 및 위법성 판단기준	141 
1. 부당지원행위의 유형	141 
2. 부당지원행위의 위법성 판단기준	144 
Ⅲ. 부당지원행위 관련 주요 쟁점	146 
1. 특수관계인 지원행위	146 
2. 일감 몰아주기	148 
Ⅳ. 특수관계인에 대한 부당한 이익제공행위	150 
1. 입법취지	150 
2. 행위유형 및 위법성 판단기준	151 
3. 사견	152 
제6절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	153 

제4장 경쟁제한적 기업결합 

제1절 기업결합 개요	157 
Ⅰ. 기업결합의 의의	157 
1. 개념	157 
2. 기업결합의 동기	157 
Ⅱ. 기업결합의 유형	159 
1. 영위업종 간의 관계에 따른 분류	159 
2. 기업결합 수단ㆍ방법에 따른 분류	160 
제2절 기업결합 심사	161 
Ⅰ. 개요	161 
Ⅱ. 법적용 여부 심사	162 
1. 적용대상자	162 
2. 기업결합 유형	164 
Ⅲ. 지배관계 형성여부 심사	166 
1. 주식취득 및 소유, 새로운 회사설립에의 참여	166 
2. 임원겸임	167 
Ⅳ. 관련시장의 획정 및 집중도 분석	167 
1. 관련시장의 획정	167 
2. 집중도 분석	170 
Ⅴ. 실질적 경쟁제한성 심사	174 
1. 개요	174 
2. 수평형 기업결합의 경쟁제한 요인	175 
3. 수직형 기업결합의 경쟁제한 요인	177 
4. 혼합형 기업결합의 경쟁제한 요인	180 
Ⅵ. 예외인정	185 
1. 효율성증대 요건(법 제7조 제2항 제1호)	186 
2. 회생불가기업 요건(법 제7조 제2항 제2호)	187 
3. 예외가 인정된 기업결합 사례	187 
Ⅶ. 기업결합심사 실무 : 삼익악기의 영창악기 인수건	189 
1. 사례 개요	189 
2. 공정거래위원회 판단	189 
3. 법원의 판결	191 
4. 관련 신문기사	193 
제3절 기업결합의 신고	195 
Ⅰ. 신고대상(법 제12조)	196 
1. 신고의무자 및 신고대상 회사규모	196 
2. 기업결합 유형별 신고기준	196 
Ⅱ. 신고의무가 없는 기업결합	197 
1. 관련법에 의한 투자 또는 지원목적의 기업결합	197 
2. 공정거래위원회와 관계중앙행정기관이 사전협의한 경우	198 
Ⅲ. 신고시기 및 기한	198 
Ⅳ. 기업결합의 이행행위 금지의무(법 제12조 제8항)	199 
Ⅴ. 임의적 사전심사 요청제도(법 제12조 제9항)	200 
제4절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	201 
Ⅰ. 탈법행위의 금지(법 제15조)	201 
Ⅱ. 시정조치(법 제16조 제1항)	201 
Ⅲ. 합병 또는 설립무효의 소 제기(법 제16조 제2항)	202 
Ⅳ. 이행강제금(법 제17조의3)	203 
Ⅴ. 벌칙	203 

제5장 부당한 공동행위 

제1절 부당한 공동행위 개요	205 
Ⅰ. 개념	205 
Ⅱ. 부당한 공동행위의 규제이유 : 시장경제의 주적(主敵)	206 
Ⅲ. 부당한 공동행위에 대한 공정거래법 규정의 변천	207 
1. 1986년 개정 : 사후규제로 전환	207 
2. 1992년 개정 : 실행행위 요건 삭제	208 
3. 1999년 개정 : 요건 완화	208 
제2절 부당한 공동행위의 성립요건(법 제19조 제1항) 209 
Ⅰ. 주체:둘 이상의 사업자	209 
1. 개념	209 
2. 경제적 동일체론	209 
3. 사업자들 간의 관계	211 
Ⅱ. 합의	211 
1. 합의의 개념 및 범위	212 
2. 합의의 입증방법	213 
3. 합의의 입증과 각국의 실무	217 
Ⅲ. 경쟁제한성	218 
1. 개요	218 
2. 당연위법 원칙과 합리의 원칙 법리의 발전	219 
3. 공정거래법상 경쟁제한성 심사 실무	226 
제3절 부당한 공동행위의 유형	228 
Ⅰ. 유형분류	228 
1. 2분법적 분류의 효용성	228 
2. 경성 공동행위와 연성 공동행위의 위법성 심사방식	228 
Ⅱ. 경성 공동행위	230 
1. 가격 공동행위(법 제19조 제1항 제1호)	230 
2. 물량 공동행위(법 제19조 제1항 제3호)	234 
3. 시장분할 공동행위(법 제19조 제1항 제4호)	235 
4. 입찰ㆍ경매 공동행위(법 제19조 제1항 제8호)	237 
Ⅲ. 연성 공동행위	239 
1. 거래조건 공동행위(법 제19조 제1항 제2호)	239 
2. 설비제한 공동행위(법 제19조 제1항 제5호)	240 
3. 상품의 종류 및 규격제한 공동행위(법 제19조 제1항 제6호)	241 
4. 영업수행ㆍ관리 공동행위(법 제19조 제1항 제7호) 242 
5. 기타 사업활동방해ㆍ제한 공동행위(법 제19조 제1항 제9호)	244 
제4절 부당한 공동행위 적발유인 제도	244 
Ⅰ. 신고자 등에 대한 감면제도(Leniency Program)	244 
1. 개요	244 
2. 감면제도의 내용	245 
3. 정보누설 금지 등	250 
Ⅱ. 포상금 지급제도	251 
제5절 공동행위 관련 제도 및 제재	252 
Ⅰ. 공동행위 인가제도(법 제19조 제2항)	252 
1. 제도의 개요	252 
2. 인가 요건	252 
3. 공동행위 인가의 한계	252 
4. 인가절차 253 
5. 인가제도의 현황	253 
Ⅱ. 카르텔의 생성과 유지를 돕는 거래관행과 제도	253 
1. 개요	253 
2. 거래조건의 표준화	254 
3. 최저가격보상제	255 
Ⅲ. 부당한 공동행위의 사법상 효력	255 
Ⅳ.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	255 
1. 시정조치	255 
2. 입찰참가자격제한 요청	255 
3. 과징금	256 
4. 벌칙	258 

제6장 사업자단체 금지행위와 재판매가격유지행위 금지 

제1절 사업자단체 금지행위	259 
Ⅰ. 사업자단체의 개념과 규제배경	259 
1. 사업자단체의 개념	259 
2. 규제배경	260 
Ⅱ. 사업자단체 금지행위의 내용	261 
1. 부당한 공동행위	261 
2. 사업자수 제한행위	264 
3. 구성사업자의 사업활동 제한행위	265 
4. 불공정거래행위 및 재판매가격유지행위를 하게 하거나 방조하는 
행위	268 
Ⅲ. 기타 관련사항	269 
1. 사업자단체 준수지침 제정	269 
2. 사업자단체금지행위에 대한 예외인정	269 
3.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	270 
제2절 재판매가격유지행위 금지	270 
Ⅰ.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개념 및 동기	270 
1.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개념	270 
2. 재판매가격유지행위의 동기	272 
Ⅱ. 재판매가격유지행위에 대한 법적 규제	273 
1. 미국 연방판례법의 발전	273 
2. 재판매가격유지행위에 대한 공정거래법상 규제	276 
Ⅲ. 재판매가격유지행위와 유사한 행위	279 
1. 위탁매매계약(consignment arrangements)	279 
2. 일방적 거래거절(unilateral refusal to deal)	280 
Ⅳ. 재판매가격유지 행위에 대한 제재	281 

제7장 경제력집중 억제 

제1절 경제력집중의 의의와 폐해	283 
Ⅰ. 개관	283 
1. 일반집중	284 
2. 산업집중	285 
3. 소유집중	286 
Ⅱ. 우리나라 경제력집중의 원인 및 특징	286 
Ⅲ. 경제력집중의 폐해와 공정거래법의 역할	288 
1. 경제력집중의 폐해와 대처방안	288 
2. 경제력집중에 대한 공정거래법의 역할	290 
제2절 지주회사	292 
Ⅰ. 개요	292 
Ⅱ. 지주회사의 개념 및 요건	293 
1. 주식 또는 지분의 소유	293 
2. 국내회사의 사업내용 지배	294 
3. 주된 사업	295 
4. 자산총액이 일정규모 이상	295 
Ⅲ. 지주회사 설립ㆍ전환의 신고(법 제8조)	295 
Ⅳ. 지주회사의 행위제한(법 제8조의2 제2항)	295 
1. 부채비율 제한(제1호)	295 
2. 자회사에 대한 최저지분율 제한(제2호)	296 
3. 타 회사 주식소유제한(제3호)	296 
4. 금융지주회사와 일반지주회사의 분리(제4호 및 제5호)	297 
5. 보고의무(제7항)	298 
Ⅴ. 자회사의 행위제한(법 제8조의2 제3항)	298 
1. 국내계열회사 주식소유제한(제2호)	298 
2. 손자회사에 대한 최저지분율 제한(제1호)	298 
Ⅵ. 손자회사에 대한 제한(법 제8조의2 제4항) 298 
Ⅶ. 증손회사에 대한 제한(법 제8조의2 제5항) 299 
Ⅷ.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의 지주회사 설립제한(법 제8조의3)	299 
Ⅸ. 법위반 행위에 대한 제재	299 
1. 탈법행위의 금지	299 
2. 시정조치	299 
3. 합병 또는 설립 무효의 소 제기	300 
4. 과징금	300 
5. 벌칙	300 
제3절 대규모 기업집단	301 
Ⅰ. 개관	301 
1. 주요 개념	301 
2. 대규모 기업집단 지정제도 303 
3. 계열회사 편입ㆍ제외 등	304 
Ⅱ. 상호출자금지	306 
1. 대상 및 내용	306 
2. 예외인정	308 
3.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	308 
4.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의 국내 계열회사 주식취득 금지	309 
Ⅲ. 신규 순환출자금지	309 
Ⅳ. 채무보증제한	310 
1. 대상 및 내용	310 
2. 예외인정	311 
3.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	312 
Ⅴ. 금융회사 또는 보험회사의 의결권 제한	312 
1. 개요	312 
2. 예외인정	312 
3.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	313 
Ⅵ. 이사회 의결 및 공시제도	313 
1. 대규모내부거래의 이사회 의결 및 공시	313 
2. 비상장회사 등의 중요사항 공시	314 
Ⅶ. 신고의무 등 기타	314 

제8장 공정거래법의 적용범위 등 

제1절 역외적용	317 
Ⅰ. 외국 사업자에 대한 공정거래법 적용 여부	317 
1. 이론적 논의	317 
2. 국내 사례	318 
Ⅱ. 역외적용을 위한 입법적 보완	320 
1. 역외적용의 근거조항	320 
2. 문서송달 규정	320 
제2절 적용제외	321 
Ⅰ. 개요	321 
Ⅱ. 적용제외 대상행위	321 
1. 법령에 따른 정당한 행위	321 
2. 무체재산권의 행사행위	322 
3. 일정한 조합의 행위	324 
제3절 손해배상	327 
Ⅰ. 개요	327 
Ⅱ. 공정거래법상 손해배상청구권의 성립 요건	328 
1. 당사자	328 
2. 공정거래법 위반행위의 존재	328 
3. 손해의 발생 및 손해액	329 
4. 인과관계	330 
5. 고의ㆍ과실	332 
6. 공정거래위원회 시정조치와의 관계	332 
7. 소멸시효	333 
8. 민법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과의 관계	333 
Ⅲ. 기록의 송부	334 
제4절 경쟁제한적인 법령 제정의 협의	334 

제9장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직과 절차 

제1절 공정거래위원회의 성격	337 
Ⅰ. 독립규제위원회	337 
1. 독립규제위원회의 탄생 배경	337 
2. 독립규제위원회의 특징	338 
Ⅱ. 준사법기관	340 
1. 준사법기관의 의미	340 
2. 공정거래위원회의 제도적 장치	341 
제2절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직 및 구성	343 
Ⅰ. 설치ㆍ소관사무	343 
Ⅱ. 위원	343 
1. 위원의 구성과 권한	343 
2. 위원의 구성방법의 개선방안	344 
Ⅲ. 전원회의와 소회의	345 
1. 전원회의와 소회의 구분	345 
2. 제척ㆍ기피ㆍ회피제도	346 
3. 심리와 의결의 공개 및 합의의 비공개	346 
4. 회의록 비공개	347 
5. 위원회와 위원장의 구분	347 
Ⅳ. 사무처	348 
1. 사무처의 위상 및 역할	348 
2. 위원회와 사무처와의 관계	348 
제3절 공정거래위원회 독립성과 적법절차	350 
Ⅰ. 개요	350 
Ⅱ. 독립성	350 
1. 공정거래위원회 독립성의 필요성	351 
2. 독립성의 요소와 그 확보 방법	352 
Ⅲ. 적법절차	353 
1. 기능융합에 따른 주요 쟁점	353 
2. 적법절차를 위한 보완책 355 
제4절 사건처리절차	356 
Ⅰ. 사건심사 356 
1. 사건의 단서	356 
2. 사건의 심사	359 
Ⅱ. 위원회 심의 및 의결	363 
1. 개요	363 
2. 심의진행	364 
3. 의결 366 
Ⅲ. 불복절차	373 
1. 이의신청	373 
2. 행정소송	376 

판례색인	379 
사항색인	382

관련분야 신착자료

Kettemann, Matthias C. (2022)
최원목 (2023)
이기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