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기독교의 역사 (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cGrath, Alister E., 1953- 박규태, 역
서명 / 저자사항
기독교의 역사 / 알리스터 맥그라스 지음 ; 박규태 옮김
발행사항
서울 :   포이에마,   2016   (2017 2쇄)  
형태사항
736 p. : 삽화 ; 24 cm
원표제
Christian history : an introduction
ISBN
9791158090494
일반주기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Church histor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50826
005 20180820153413
007 ta
008 180820s2016 ulka 001c kor
020 ▼a 9791158090494 ▼g 03230
035 ▼a (KERIS)BIB000014119477
040 ▼a 211029 ▼c 21102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270 ▼2 23
085 ▼a 270 ▼2 DDCK
090 ▼a 270 ▼b 2016z1
100 1 ▼a McGrath, Alister E., ▼d 1953- ▼0 AUTH(211009)134179
245 1 0 ▼a 기독교의 역사 / ▼d 알리스터 맥그라스 지음 ; ▼e 박규태 옮김
246 1 9 ▼a Christian history : ▼b an introduction
260 ▼a 서울 : ▼b 포이에마, ▼c 2016 ▼g (2017 2쇄)
300 ▼a 736 p. : ▼b 삽화 ; ▼c 24 cm
500 ▼a 색인수록
650 0 ▼a Church history
700 1 ▼a 박규태, ▼e▼0 AUTH(211009)138891
900 1 0 ▼a 맥그라스, 알리스터,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 2016z1 등록번호 1117955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270 2016z1 등록번호 1513475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 2016z1 등록번호 1117955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270 2016z1 등록번호 1513475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기독교 신앙의 등장과 확산에서부터 20세기 남미.아프리카.동아시아 기독교의 성장 그리고 인터넷 시대의 교회까지, 기독교의 과거.현재.미래를 객관적 시각에서 개관하였다. 특정 교파의 시각에 갇히지 않고 전 세계 주요 기독교 분파의 운동과 흐름을 두루 아우르며 2천 년 기독교 역사의 이정표를 빠짐없이 서술했다. 사회적, 정치적, 지적 현상인 기독교가 세계에 미친 영향을 꼼꼼히 분석할 뿐 아니라, 예술과 건축, 자연과학에 남긴 유산까지도 세세히 다루고 있다.

개인 독서는 물론, 강의 및 스터디 교재로도 사용하기 좋다. 일반적인 시대구분을 따라 나뉜 5개 장은 모두 160개 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항의 길이는 대략 4쪽 정도로, 독자들이 10분 안에 읽고 20분 안에 소화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책은 순서대로 읽는 것이 가장 좋지만, 각 장은 독립성을 갖도록 씌어졌기 때문에 어디에서부터 읽기 시작해도 무방하다.

본문에서는 그때그때 서술하는 내용과 관련되는 내용을 다룬 항을 표기하여 참고의 편의성을 높였고, 책 말미에는 84개의 ‘기독교 용어 해설’, 항목 수가 1,800개에 이르는 색인을 수록해, 관심 있는 내용을 찾아볼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본문에는 43컷의 도판을 수록했다.

기독교는 어떤 길을 지나왔으며, 어디로 가고 있는가?
탁월한 역사신학자 알리스터 맥그라스의 객관적이고 명쾌한 서술로
2천 년 기독교의 여정을 조망한 최신판 기독교사!

기독교 신앙의 등장과 확산에서부터 20세기 남미·아프리카·동아시아 기독교의 성장 그리고 인터넷 시대의 교회까지, 기독교의 과거·현재·미래를 객관적 시각에서 개관한 역작! 특정 교파의 시각에 갇히지 않고 전 세계 주요 기독교 분파의 운동과 흐름을 두루 아우르며 2천 년 기독교 역사의 이정표를 빠짐없이 서술했다. 사회적, 정치적, 지적 현상인 기독교가 세계에 미친 영향을 꼼꼼히 분석할 뿐 아니라, 예술과 건축, 자연과학에 남긴 유산까지도 세세히 다루고 있다. 개인 독서는 물론 강의, 스터디 모임을 위한 최고의 책!

기독교는 어떤 길을 지나왔으며, 어디로 가고 있는가?
맥그라스 특유의 객관적이고 명쾌한 서술로 2천 년 기독교의 여정을 조망한 최신판 기독교사!

《기독교의 역사》는 기독교 신앙의 등장과 확산에서부터 20세기 남미·아프리카·동아시아 기독교의 성장 그리고 인터넷 시대의 교회까지, 기독교의 과거·현재·미래를 객관적 시각에서 개관한 책이다. 특정 교파의 시각에 갇히지 않고 전 세계 주요 기독교 분파의 흐름과 운동을 두루 아우르며 2천 년 기독교 역사의 이정표를 빠짐없이 서술했다. 사회적, 정치적, 지적 현상인 기독교가 당시의 세계에 미친 영향을 꼼꼼히 분석할 뿐 아니라, 예술과 건축, 자연과학에 남긴 유산까지도 세세히 다루고 있다.
이 책은 기독교의 3대 줄기인 가톨릭, 개신교, 정교회의 발전 과정을 추적하고 기독교가 등장한 맥락과 함께 기독교와 유대교의 관계도 꼼꼼하게 다룬다. 시야를 서구에 한정하지 않고 기독교가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로 확장해 간 내력과 관련 문제들까지 망라하여 다룸으로써 진정 전 세계를 아우르는 시각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 번역된 대개의 기독교 통사의 내용이 제2차 바티칸공의회에서 멈추어 있는 데 비해, 이 책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기독교의 흐름, 즉 세속화된 서구 세계의 신학, 미국의 기독교 우파, 라틴 아메리카 및 아시아 교회의 부흥, 공산권의 몰락, 메가처치 현상, 인터넷상의 예배 등 최근의 현상까지 다룬다.

새로운 표준 기독교사의 탄생
2천 년 역사 속에서 일어난 모든 일을 똑같이 공평하게 다루기는 불가능하다. 기독교 역사를 공부하는 이라면 마땅히 알아야 할 중요한 사건과 인물, 개념, 신학 논쟁, 영향을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하는 것, 이것이 이 책이 일차적으로 겨냥하는 바다. 따라서 저자는 기독교 역사의 주요한 이정표들을 골라 서술하는 방식을 택했다. 전문용어와 중요한 신학 논쟁은 빠짐없이 소개하고 설명하면서도, 역사의 세부 내용을 넘어 그 건너편을 바라보려 하면서, 더 광대한 역사 패턴들을 밝혀내고자 노력했다. 그리고 독자가 기독교 역사를 거의 모른다는 전제 아래, 가능한 한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기독교의 역사》는 복잡하게 얽히고설킨 사안들을 핵심을 추려 소개하는 데 누구보다 탁월한 알리스터 맥그라스의 역량이 유감없이 발휘된 책이다. 같은 저자의 신학입문서 《신학이란 무엇인가?(Christian Theology)》와 마찬가지로 오랜 시간 판을 거듭하며 읽히며 표준적 교과서로 자리 잡을 만한 책이다.

폭넓은 관점에서 쓰인 ‘기독교사’
저자는 이 책이 ‘교회사’라기보다는 ‘기독교사’임을 강조한다. 교회사 책은 대개 교파의 제도권 역사에 치중하는 데 반해, 이 책은 기독교의 발전과 그러한 발전이 문화에 끼친 영향을 다룬다. 즉, 교회사의 핵심 테마들을 모두 다룰 뿐 아니라, 기독교가 예술, 문학, 과학과 주고받은 상호작용 같은 문제도 탐구한다. 아울러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20세기 후반 가톨릭교 형성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물론, 같은 시기에 등장한 더 사사로운 차원의 기독교 접근법에서 C. S. 루이스가 차지하는 중요성도 살펴본다. 교파에 관계없이 기독교 역사 전반을 이해하고자 하는 이에게 이만큼 신뢰할 만한 가이드는 찾아보기 어렵다.

최신 연구 성과를 반영한 책
이 책은 최근에 나온 가장 훌륭한 문헌들을 기초로 삼아 집필되었다. 그 대부분이 지난 20년 사이에 출간된 책들인 까닭에, 이 책에서는 (세부 사항과 관련된 것이건 더 큰 이슈와 관련된 것이건) 옛 교과서에서 발견되는 오류를 최대한 바로잡았다. 최근의 연구는 전 세계 사람들이 인정하고 옛 책들에 공통적으로 들어 있던 몇몇 주장을 폐기하거나 완전히 바꿔놓았는데, 이를테면 ‘중세 후기에는 종교가 쇠락했다’ 같은 주장이 그렇다. 이 책은 이렇게 정설처럼 굳어진 오류들을 바로잡는 동시에, 독자를 독려하여 사실이나 사물을 완전히 다른 각도에서 보도록 한다.

책의 구성 및 사용법
이 책은 개인 독서는 물론, 강의 및 스터디 교재로도 사용하기 좋다. 일반적인 시대구분을 따라 나뉜 5개 장은 모두 160개 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항의 길이는 대략 4쪽 정도로, 독자들이 10분 안에 읽고 20분 안에 소화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책은 순서대로 읽는 것이 가장 좋지만, 각 장은 독립성을 갖도록 씌어졌기 때문에 어디에서부터 읽기 시작해도 무방하다. 본문에서는 그때그때 서술하는 내용과 관련되는 내용을 다룬 항을 표기하여 참고의 편의성을 높였고, 책 말미에는 84개의 ‘기독교 용어 해설’, 항목 수가 1,800개에 이르는 색인을 수록해, 관심 있는 내용을 찾아볼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본문에는 43컷의 값진 도판을 수록했다. 독자는 이 책을 길잡이 삼아 기독교 역사의 황홀한 풍경을 만끽할 뿐 아니라, 더 세분화된 깊은 탐구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알리스터 맥그래스(지은이)

제임스 패커와 존 스토트를 잇는 21세기 최고의 복음주의 신학자 알리스터 맥그래스는 1953년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명민하고 수학과 물리, 화학 등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분자생물학을 전공하여 22세 때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2년 후 같은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는 놀라운 학업적 성취를 이루었다. 한때 자유주의에 심취하기도 했으나, 결국에는 복음주의가 진리임을 깨닫고 리처드 백스터, 존 오웬, 조나단 에드워즈 등의 영향을 받은 복음주의 신학자가 되었다. 제임스 패커의 수제자로 캐나다 밴쿠버에 있는 리전트칼리지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쳤고, 옥스퍼드대 위클리프홀의 학장으로 있으면서 조직신학과 역사신학을 가르쳤다. 옥스퍼드대 안드레아스 이드레오스(Andreas Idreos) 과학과 종교 석좌교수이며, 옥스퍼드기독교변증센터 소장이다. 지성과 영성을 겸비한 세계적인 신학자로, 다양한 학문을 섭렵한 이력을 토대로 기독교 신학의 현대적 의미를 재해석하고 총정리하여 균형 잡힌 시각에서 기독교를 논증한다. 기독교 지성의 선봉장으로서 리처드 도킨스로 대표되는 무신론적 변증에 대한 설득력 있는 논박으로 잘 알려져 있다. 국내에 번역된 그의 저서로는 『이신칭의』, 『십자가로 돌아가라』, 『한 권으로 읽는 기독교』, 『지성적 회심』, 『교리의 기원』, 『역사신학』(이상 생명의말씀사), 『기독교, 그 위험한 사상의 역사』(국제제자훈련원) 등이 있다. 그의 저서 가운데 『The Unknown God: Searching for Spiritual Fulfillment』(Eerdmans)는 2000년 Christianity Today Book Awards 영성 부문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박규태(옮긴이)

번역이 생업인 전업 번역자다. 지금까지 《바울 평전》, 《신약 성경과 그 세계》(근간) (이상 비아토르), 《두 지평》, 《1세기 기독교와 도시 문화》(이상 IVP), 《바울과 팔레스타인 유대교》(알맹e), 《바울의 종말론》(좋은씨앗), 《기독교, 그 위험한 사상의 역사》(국제제자훈련원) 등 60여 권을 번역했으며, 《번역과 반역의 갈래에서》(새물결플러스)를 저술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이 책의 활용법 

1. 초기 교회, 100- 500년 
1.1. 배경 살펴보기: 기독교의 기원 
1.1.1. 도가니: 이스라엘 역사 | 1.1.2. 더 넓은 배경: 이방 세계의 지혜 추구 | 1.1.3. 전환점: 나사렛 예수 | 1.1.4. 기독교 초기의 교세 확산 | 1.1.5. 사도 시대 | 1.1.6. 사도 시대 기독교 속의 여자들 | 1.1.7. 기독교와 유대교: 복잡한 관계 
1.2. 초기 기독교와 로마제국 
1.2.1. 로마제국, 100년 무렵 | 1.2.2. 기독교와 황제 숭배 | 1.2.3. 기독교와 유대교: 시노페의 마르키온 | 1.2.4. 기독교와 이교 문화: 순교자 유스티누스 | 1.2.5. 초기 기독교의 예배와 삶 
1.3. 초기 기독교와 헬레니즘 세계 
1.3.1. 그리스어로 말하는 세계, 200년 무렵 | 1.3.2. 영지주의의 도전: 리옹의 이레네우스 | 1.3.3. 플라톤주의의 도전: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와 오리게네스 | 1.3.4. 기독교와 도시: 알렉산드리아와 안디옥 | 1.3.5. 수도원 제도: 도시에 맞선 반동 | 1.3.6. 테클라 숭배: 여자와 교회 
1.4. 제국의 종교: 콘스탄티누스의 회심 
1.4.1. 로마의 기독교 박해 | 1.4.2. 첫 그리스도인 황제: 콘스탄티누스 | 1.4.3. 로마제국이 기독교 국가가 되다 | 1.4.4. 기독교가 곧 제국이 되다 | 1.4.5.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두 도성 | 1.4.6. 서로마제국의 몰락 | 1.4.7. ‘새 로마’: 비잔티움과 동로마제국 
1.5. 정통과 이단: 초기 기독교 사상의 여러 패턴 
1.5.1. 믿음의 경계: 커져가는 쟁점 | 1.5.2. 신약 정경 | 1.5.3. 아리우스주의: 나사렛 예수의 정체를 둘러싼 논쟁 | 1.5.4. 삼위일체론: 하나님의 본성을 둘러싼 논쟁 | 1.5.5. 도나투스주의: 교회의 본질을 둘러싼 논쟁 | 1.5.6. 펠라기우스주의: 은혜와 인간의 공로를 둘러싼 논쟁 | 1.5.7. 혁신: 전통의 역할을 둘러싼 논쟁 | 1.5.8. 신경의 기원과 발전 | 1.5.9. 칼케돈 공의회, 451년 

2. 중세와 르네상스, 500년 무렵-1500년 무렵 
2.1. 배경 살펴보기: 중세 전성기의 배경 
2.1.1. 로마 몰락 후의 서구 기독교 | 2.1.2. 켈트 기독교의 발흥 | 2.1.3. 7세기: 이슬람교와 아랍의 팽창 | 2.1.4. 샤를마뉴 시대 | 2.1.5. 수도원학교와 성당학교의 등장 | 2.1.6. 비잔티움 기독교: 단성론과 성상숭배주의 | 2.1.7. 9세기의 논쟁: 그리스도의 실제 임재와 예정 | 2.1.8. 정교회의 동유럽 선교: 불가리아와 러시아 | 2.1.9. 10세기: 제도의 쇠락과 부패 | 2.1.10.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대분열’, 1054년 
2.2. 중세 전성기의 여명 
2.2.1. 11세기: 그레고리오의 개혁 | 2.2.2. 12세기의 문화 르네상스 | 2.2.3. 신학과 교회법 법전 편찬 | 2.2.4. 대학의 등장: 파리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 | 2.2.5. 십자군: 에스파냐와 중동 | 2.2.6. 세속 권력과 교회 권력: 인노첸시오 3세 | 2.2.7. 프란체스코회와 도미니크회: 탁발수도회의 등장 | 2.2.8. 여자 신비주의자와 수녀회 
2.3. 중세의 종교 사상: 스콜라학파가 이룬 업적 
2.3.1. 지성의 대성당: 스콜라주의의 등장 | 2.3.2. 신학의 시녀: 아리스토텔레스를 재발견하다 | 2.3.3. 이성에 근거한 믿음: 토마스 아퀴나스 | 2.3.4. 중세에 나온 하나님의 존재 증명 | 2.3.5. 교회 성례(성사) 제도 강화 | 2.3.6. 중세의 성경 해석 | 2.3.7. 동방교회의 스콜라주의 비판: 헤시카즘 | 2.3.8. 중세의 세계관: 단테의 《신곡》 
2.4. 중세 후기 
2.4.1. 아비뇽 교황청과 대분열 | 2.4.2. 공의회우위설의 등장 | 2.4.3. 동유럽: 러시아가 기독교 국가로 등장하다 | 2.4.4. 이단: 왈도파, 후스파, 위클리프파 | 2.4.5. 새로운 경건: 공동생활형제단 | 2.4.6. 대중 종교: 성인 숭배 | 2.4.7. 오스만제국의 등장: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1453년 
2.5. 르네상스: 문화 갱신과 기독교 팽창 
2.5.1. 새로운 기술: 인쇄술이 종교에서 갖는 중요성 | 2.5.2.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기원 | 2.5.3. 인문주의의 본질 | 2.5.4. 로테르담의 에라스뮈스 | 2.5.5. 르네상스와 종교 갱신 | 2.5.6. 중세 기독교 예술과 르네상스 | 2.5.7. 기독교의 팽창: 포르투갈과 에스파냐의 항해와 발견 

3. 경쟁하는 개혁 비전, 1500년 무렵-1650년 무렵 
3.1. 배경 살펴보기: 종교개혁의 배경 
3.1.1. 교회를 개혁하라는 압력 | 3.1.2. 16세기 초의 변화하는 사회 질서 | 3.1.3. 종교개혁과 유럽 도시들 | 3.1.4. 교회 내부 권위의 위기 | 3.1.5. 용어의 기원: 프로테스탄트교 
3.2. 개신교: 개관 
3.2.1. 성경으로 돌아감 | 3.2.2. 이신칭의 교리 | 3.2.3. 민주화: ‘전 신자 제사장주의’와 자국어 사용 | 3.2.4. 교황의 권위를 거부함 | 3.2.5. 두 성례, 그리고 두 종류의 수용 | 3.2.6. 새로운 노동 윤리와 자본주의 발전 
3.3. 종교개혁의 주류: 루터, 츠빙글리, 칼뱅 
3.3.1. 마르틴 루터: 짤막한 전기 | 3.3.2. 루터가 비텐베르크에서 일으킨 개혁 | 3.3.3. 울리히 츠빙글리: 짤막한 전기 | 3.3.4. 츠빙글리가 취리히에서 일으킨 개혁 | 3.3.5. 장 칼뱅: 짤막한 전기 | 3.3.6. 칼뱅이 제네바에서 일으킨 개혁 
3.4. 온 유럽으로 번진 종교개혁: 더 큰 그림 
3.4.1. 급진 종교개혁 | 3.4.2. 잉글랜드 종교개혁: 헨리 8세 | 3.4.3. 잉글랜드 종교개혁: 에드워드 6세에서 엘리자베스 1세까지 | 3.4.4. 가톨릭 종교개혁: 교회의 삶 | 3.4.5. 가톨릭 종교개혁: 교회의 사상 | 3.4.6. 여성과 종교개혁 
3.5. 종교개혁 이후 시대 
3.5.1. 신앙고백주의: 두 번째 종교개혁 | 3.5.2. 잉글랜드와 북아메리카의 청교도주의 | 3.5.3. 킹 제임스 성경, 1611년 | 3.5.4. 기독교와 예술 | 3.5.5. 기독교와 과학 | 3.5.6. 종교전쟁 

4. 근대, 1650년 무렵-1914년 
4.1. 이성의 시대: 계몽주의 
4.1.1. 종교에 냉담한 태도의 등장 | 4.1.2. 계몽주의와 기독교 | 4.1.3. ‘이성의 시대’와 기독교 신앙 | 4.1.4. 독일과 영국에서 일어난 경건주의와 부흥 | 4.1.5. 아메리카: ‘대각성’ | 4.1.6. 예수회 억압, 1759-1773년 | 4.1.7. 1776년 미국 혁명 | 4.1.8. 1789년 프랑스 혁명 | 4.1.9. 영국: 윌리엄 윌버포스와 노예제 폐지 
4.2. 혁명의 시대: 유럽의 긴 19세기 
4.2.1. 나폴레옹 전쟁과 빈 회의 | 4.2.2. 정교회의 부활: 그리스 독립전쟁 | 4.2.3. 무신론과 혁명 이데올로기: 포이어바흐와 마르크스 | 4.2.4. 인류의 기원: 다윈의 《종의 기원》 | 4.2.5. 빅토리아 시대 신앙의 위기 | 4.2.6. 리소르지멘토: 이탈리아 통일과 교황 | 4.2.7. 제1차 바티칸 공의회: 교황 무류 | 4.2.8. 독일의 문화 전쟁: 비스마르크와 가톨릭교 | 4.2.9. 신학 수정주의: 모더니즘의 도전 
4.3. 길었던 미국의 19세기 
4.3.1. 교회와 국가: 갈라놓는 벽 | 4.3.2. 제2차 대각성 운동과 미국의 부흥 운동 | 4.3.3. 유럽인의 미국 이주와 종교의 다양화 | 4.3.4. ‘성경 지대’의 등장 | 4.3.5. 남북전쟁: 노예제와 고난 | 4.3.6. 오순절주의: 전 세계를 아우른 신앙이 미국에서 생겨나다
4.4. 선교의 시대 
4.4.1. 개신교 선교의 기원 | 4.4.2. 선교와 식민주의: 성공회의 경우 | 4.4.3. 기독교의 아시아 선교 | 4.4.4. 기독교의 아프리카 선교 | 4.4.5. 기독교의 아메리카 원주민 선교 | 4.4.6. 에든버러 세계 선교대회, 1910년 

5. 20세기, 1914년부터 현재까지 
5.1. 배경 살펴보기: 전후의 혼란 
5.1.1. 1915년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 5.1.2. 1917년 러시아 혁명 | 5.1.3. 전후의 환멸: 위기 신학 | 5.1.4. 미국: 근본주의 논쟁 | 5.1.5. 멕시코: 크리스테로 전쟁 | 5.1.6. 심리학이 말하는 종교의 위기: 지그문트 프로이트 | 5.1.7. 1930년대 독일 교회의 위기 | 5.1.8. 에스파냐 내전, 1936-1939년 
5.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 기독교의 변화 
5.2.1. 새로운 세계 질서: 기독교와 냉전 | 5.2.2. 세계교회협의회: 새로운 교회일치운동 | 5.2.3. 빌리 그레이엄과 ‘신복음주의’ | 5.2.4. 1960년대: 기독교를 벗어난 유럽의 시작 | 5.2.5.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개혁과 부흥 | 5.2.6. 문화와 다시 접속하다: 변증의 등장 
5.3. 1960년대와 그 이후: 변화의 시대 속에 자리한 서구 기독교 
5.3.1. 기독교와 미국 민권운동 | 5.3.2. 미국 ‘기독교 우파’의 등장 | 5.3.3. 미국 내 교파주의의 쇠퇴 | 5.3.4. 신앙 갱신: 요한 바오로 2세와 소련의 몰락 | 5.3.5. 기성 체제에 도전하다: 페미니즘과 해방신학 | 5.3.6. 문화 변화에 부응하다: 새로운 교회 형태들 | 5.3.7. 평등이라는 강령: 여성 안수를 둘러싼 개신교 내부 논쟁 
5.4. 서구에서 다른 지역으로: 새로운 기독교 
5.4.1. 중동: 아랍 기독교의 몰락 | 5.4.2. 한국: 한 나라의 놀라운 변화 | 5.4.3. 중국: 중국 기독교의 부흥 | 5.4.4. 식민지 독립 이후 기독교의 성장: 아프리카에서 시작한 교회들 | 5.4.5. 라틴아메리카의 오순절주의 성장 | 5.4.6. 가상 기독교: 인터넷과 새로운 신앙 패턴 

다음은 어디로? 
기독교 용어 해설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