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전시, 이렇게 만든다 : 미술관 전시에서 스트리트 아트까지 / 개정판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우찬, 1961- 최기영, 저
서명 / 저자사항
전시, 이렇게 만든다 : 미술관 전시에서 스트리트 아트까지 / 박우찬 외 지음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서울 :   재원,   2018  
형태사항
128 p. : 삽화 ; 28 cm
ISBN
9788955751925
서지주기
참고문헌:p. 128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48778
005 20180906160512
007 ta
008 180731s2018 ulka b 000c kor
020 ▼a 9788955751925 ▼g 93600
035 ▼a (KERIS)BIB000014834269
040 ▼a 247009 ▼c 247009 ▼d 211009
082 0 4 ▼a 659.15 ▼2 23
085 ▼a 659.15 ▼2 DDCK
090 ▼a 659.15 ▼b 2018
100 1 ▼a 박우찬, ▼d 1961-
245 1 0 ▼a 전시, 이렇게 만든다 : ▼b 미술관 전시에서 스트리트 아트까지 / ▼d 박우찬 외 지음
250 ▼a 개정판
260 ▼a 서울 : ▼b 재원, ▼c 2018
300 ▼a 128 p. : ▼b 삽화 ; ▼c 28 cm
504 ▼a 참고문헌:p. 128
700 1 ▼a 최기영,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659.15 2018 등록번호 1513418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전시의 대형화, 전시 인력의 전문화, 전시 전문회사의 출현, 국제 교류가 일상화되었다. 최근 전시와 관련하여 눈에 띠는 현상은 전시가 미술관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벗어나 거리, 건물 외벽, 요트장, 시장 등 도심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 책은 전통적 전시에 대한 지식과 새로이 떠오른 외부기획전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1998년, 전시 현장에서 익힌 경험을 정리하여 《전시, 이렇게 만든다》라는 책을 썼는데, 벌써 20여년이 지났고 전시 환경도 많이 변했다. 전시의 대형화, 전시 인력의 전문화, 전시 전문회사의 출현, 국제 교류가 일상화되었다. 최근 전시와 관련하여 눈에 띠는 현상은 전시가 미술관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벗어나 거리, 건물 외벽, 요트장, 시장 등 도심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어떻게 보면 오늘날 중요한 미술 이벤트는 전시장이 아닌 현실 공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이 책은 전통적 전시에 대한 지식과 새로이 떠오른 외부기획전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자 한다.
- 서문 중에서 -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우찬(지은이)

서울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화정책을 전공했다. 예술의전당 큐레이터, 대구시립미술관건립전담관, 안산문화예술의전당 학예연구사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사로 재직 중이며,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원이다. 주요 기획 전시로 ‘예술의전당 미술관 개관기념전’ ‘열정의 화가 김흥수전’ ‘칸딘스키와 러시아 아방가르드전’ ‘교과서 미술전’ ‘밤의 풍경전’ ‘마이크로월드 헤르만 헤세전’ ‘거장의 숨결전’ 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미술 과학을 탐하다> <미술 시간에 영어 공부하기> <서양미술사 속에는 서양미술이 있다> <전시 이렇게 만든다> <머리로 보는 그림 가슴으로 느끼는 그림> <한국미술사 속에는 한국미술이 있다> <전시연출 이렇게 한다> <미술은 이렇게 세상을 본다> <한 권으로 읽는 청소년 서양미술사> <동굴 낙서는 어떻게 미술이 되었을까> <고흐의 눈 고갱의 눈> 등이 있다.

최기영(지은이)

성균관대학교 미술학과 학사와 석사를 졸업하였으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역사박물관을 거쳐 현재 경기도미술관 기획운영팀에서 대외협력사업 기획업무를 맡고 있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경기도미술관의 기획전시를 만들었으며, 2014년 아시아 공공기관으로는 처음으로 “거리의 미술 : Graffiti Art”를 기획하였으며, 2015년부터 현재까지 경기도 31개시군을 대상으로 동두천시, 시흥시, 성남시, 파주시(임진각), 평택시, 화성시의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Graffiti is Real(2016)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Ⅰ. 전시, 이렇게 만든다. 
 1장 전시란 무엇인가? = 7 
  전시 왜 하는가? - 전시의 기능
  전시, 어떻게 이루어졌나? - 전시의 구성
   1. 작품
   2. 전시조직
   3. 공간
   4. 관객
  전시, 어떻게 만드나? - 전시의 제작
 2장 전시 기획 = 10 
  전시 기획, 이렇게 한다
   1. 주제의 설정
   2. 자료의 수집 및 정리
   3. 전시규모의 결정
   4. 사업성의 결정
   5. 제목의 결정
   6. 작품선정 및 목록작성
   7. 주관객층의 설정 및 전시 시기
   8. 입장료의 결정
   9. 사업계획서 작성ㆍ전시취지 및 기대효과ㆍ전시개요ㆍ추진방법ㆍ전시구성ㆍ전시조직ㆍ추진일정ㆍ사업경비 및 수입
 3장 전시 전개 = 23 
  전시전개, 이렇게 한다
   1. 사업제안
   2. 후원
   3. 협찬
   4. 작품대여
   5. 전시계약
   6. 송금
   7. 보험ㆍ보험가입ㆍ보상범위ㆍ보험료ㆍ인명보험
   8. 작품수집 및 접수
   9. 작품보관
   10. 작품운송ㆍ통관ㆍ운송계약ㆍ작품해포
  전시 인쇄물, 이렇게 만든다
   1. 디자인 통합(CI)
   2. 포스터 전단
   3. 입장권
   4. 봉투
   5. 카탈로그
   6. 저작권
  전시 마케팅, 이렇게 한다
   1. 홍보ㆍ보도자료ㆍDMㆍ인터넷 및 기타
   2. 광고ㆍTV, 라디오 스파트ㆍ육교현판ㆍ포스터, 배너, 선전탑, 기타
   3. 전시 프로모션 
   4. 전시 기념품
   5. 부대행사ㆍ관련 상품판매, 식음료 판매, 기타
  전시진열 개막행사, 이렇게 한다
   1. 공간구성
   2. 관람동선
   3. 공간구획
   4. 전시 보조물
   5. 전시장 정리
   6. 작품이동 및 설치
   7. 전시조명
   8. 개막행사ㆍ초대장 발송ㆍ개막행사ㆍ테이프 컷팅ㆍ전시작품 소개ㆍ리셉션
   9. 입장권 판매
  교육 프로그램, 이렇게 한다
   1. 갤러리 토크
   2. 강연회
   3. 작가와의 만남, 작가 사인회
  전시관리ㆍ철거, 이렇게 한다
   1. 인력관리ㆍ전시요원ㆍ안내원ㆍ입장객 관리
   2. 작품관리ㆍ작품배치도ㆍ작품상태 관리서ㆍ인제책 및 기타 안전설비
   3. 사고처리ㆍ작품도난ㆍ작품파손
   4. 홍보관리
   5. 영수증 및 자료관리
   6. 전시철거ㆍ반출
   7. 정산ㆍ문예진흥기금ㆍ제세금납부
 4장 전시 평가 = 109 
  전시평가, 이렇게 한다
   1. 관객 분석
   2. 입장료 분석
   3. 예산 수지 분석
   4. 홍보 분석 
   5. 기타 분석
Ⅱ. 외부 기획 전시, 이렇게 한다. 
 1장 외부 전시 기획이란 무엇인가? = 114 
 2장 외부 전시 기획의 분류 = 115 
   주민참여형 전시ㆍ기획주도형 전시
 3장 외부 전시 기획의 실행 및 절차 = 117 
   기획 의뢰ㆍ사업 검토ㆍ제안 협의ㆍ작가 선정ㆍ실행 보고ㆍ사업 실행ㆍ중간보고ㆍ보완 수정ㆍ결과 보고ㆍ정산 보고
후기 
참고 서적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