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48304 | |
005 | 20180727100104 | |
007 | ta | |
008 | 180726s2018 ulk b 001c kor | |
020 | ▼a 9791156856559 ▼g 93810 | |
035 | ▼a (KERIS)BIB000014831786 | |
040 | ▼a 222003 ▼c 222003 ▼d 211009 | |
082 | 0 4 | ▼a 895.71209 ▼2 23 |
085 | ▼a 897.1309 ▼2 DDCK | |
090 | ▼a 897.1309 ▼b 2018z1 | |
100 | 1 | ▼a 전계영, ▼d 1971- ▼0 AUTH(211009)136129 |
245 | 1 0 | ▼a 잡가(雜歌) 연구 : ▼b 잡가(雜歌)의 의미와 사적(史的) 흐름을 중심으로 / ▼d 전계영 저 |
246 | 3 | ▼a 잡가 연구 : ▼b 잡가의 의미와 사적 흐름을 중심으로 |
260 | ▼a 서울 : ▼b 한올출판사, ▼c 2018 | |
300 | ▼a 312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297-308)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97.1309 2018z1 | Accession No. 11179455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제1부 잡가의 범주와 계열별 특성에 관한 연구 Ⅰ 서론 Ⅱ 잡가의 개념과 범주 Ⅲ 잡가의 계열별 특성 Ⅳ 잡가의 지향 Ⅴ 잡가의 문화사적 의의 Ⅵ 결론 제2부 잡가의 사적 흐름 Ⅰ 1910년대 상업화에 따른 대중가요의 길항과 공존 Ⅱ 근현대 문학작품의 잡가 수용 양상 Ⅲ (장대장타령) 攷 Ⅳ (장대장타령)에 나타난 웃음의 양상과 의미 참고자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