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국어 수업 연구자로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이해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병수
서명 / 저자사항
(국어 수업 연구자로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이해 / 김병수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미래엔,   2016  
형태사항
293 p. : 도표 ; 26 cm
총서사항
한국초등국어교육연구소 미래엔 연구총서 ;3
ISBN
9788937889073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48181
005 20220124164008
007 ta
008 180724s2016 ulkd b 000c kor
020 ▼a 9788937889073 ▼g 93370
035 ▼a (KERIS)BIB000014469356
040 ▼a 211031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2.6 ▼2 23
085 ▼a 372.6 ▼2 DDCK
090 ▼a 372.6 ▼b 2016z1 ▼c 3
100 1 ▼a 김병수
245 2 0 ▼a (국어 수업 연구자로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이해 / ▼d 김병수 지음
260 ▼a 서울 : ▼b 미래엔, ▼c 2016
300 ▼a 293 p. : ▼b 도표 ; ▼c 26 cm
440 0 0 ▼a 한국초등국어교육연구소 미래엔 연구총서 ; ▼v 3
504 ▼a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10.7 2016 등록번호 15134206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01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관련 연구는 그동안 수업 전문성 요소를 도출하고, 개념적 수준에서 방안을 마련하는 이론적인 차원의 논의를 기반으로 하여 진행되어 왔다. 그러던 것이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학교 교실 수업 문화 및 교사와 학생 특성, 한국적 상황 맥락과의 관련성에 바탕을 두고 연구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져 가고 있다. 이 책은 저자가 지난 10여 년 동안 작성한 국어 수업 전문성 관련 연구물들을 제시한 것이며, 특히 저자의 전공 분야인 국어 수업 연구와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교사의 전문성은 학교 교육의 핵심적 활동인 ‘수업’으로 표출된다. 수업은 교실이라는 공간에서 교과를 중심으로 교사와 학생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관련 연구는 그동안 수업 전문성 요소를 도출하고, 개념적 수준에서 방안을 마련하는 이론적인 차원의 논의를 기반으로 하여 진행되어 왔다. 그러던 것이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학교 교실 수업 문화 및 교사와 학생 특성, 한국적 상황 맥락과의 관련성에 바탕을 두고 연구해야 한다는 인식이 높아져 가고 있다.
교사 역량 강화의 또 하나의 핵심은 교사의 의식 변화이다. 교사의 의식 변화는 교사 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동안 교사 교육에 대한 주된 연구 내용은 대부분 교육 이론, 교육 방법에 관한 내용이거나 아니면 교사가 학생을 어떻게 가르치고 배우는지에 관한 내용이었다. 이로 인해 교사 교육을 통해 교사 자신의 변화를 이끌어 내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접근 방식으로 교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중의 하나가 자기 연구(self-study)이다. 자기 연구는 교사가 자신의 수업 맥락에서 당사자적이고, 체계적인 탐구를 진행한다. 자기 연구를 하면서 교사는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교사로서의 정체성이 형성되는 기저에 깔린 신념을 발견하도록 한다. 따라서 자기 연구는 교사의 의식 변화를 추동하면서 수업 전문성 신장의 한 방안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은 특정의 한 시점이 아니라 오랜 시간 동안 형성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교사의 생애사, 생애사 중에서도 교육 생애사(educational life history)를 만나게 된다. 교사는 교육 생애사를 통해 자기의 교육과 수업에 대한 생각들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근본부터 따져 묻는 비판적 성찰을 하게 된다. 개인사 자기 연구(personal history self-study)는 자신에 대한 교육 생애사를 탐구해 보는 것으로, 교사 교육자의 개인적·전문적 성장과 교수·학습 실천의 개선을 위한 필수적인 방법론이 되어 가고 있다.
이 책은 저자가 지난 10여 년 동안 작성한 국어 수업 전문성 관련 연구물들을 제시한 것이며, 특히 저자의 전공 분야인 국어 수업 연구와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병수(지은이)

[주요 경력]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졸업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에서 초등국어교육 전공 으로 석사, 박사 학위 받음 한국교원대학교와 백석대학교, 청주교대, 공주교대에서 강 의함 초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집필위원 2017년 현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연구 교수 [주요 논문] 초등학교 국어과 통합적 수업 방안 연구(2010) 국어 수업 분석을 통한 예비 교사와 경력 교사의 PCK 연구(2013)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학습 공동체 사례 연구(2014) 자기 연구를 통한 수업 전문성 발달 과정 탐구(2015) 국어과 거꾸로 교실의 적용 가능성 탐색(2015) [단행본] 초등 국어 수업의 이해와 실제(공저)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부 개관 
 1장 생애사적 경험을 통한 교사 교육자의 전문성 발달 과정 탐구 
  1. 자기 주도적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두 조건 = 7
  2. 개인사 자기 연구와 연구자의 생애사 이야기 = 9
 2장 국어 수업 연구의 접근 방식에 대한 이론적 탐색 
  1. 문화 기술적 접근 = 13
  2. 현상학적 접근 = 15
  3. 통합적 접근 = 16
  4. 자기 연구와 생애사 접근 = 17
2부 현상학적 접근에 의한 국어 수업 연구 
 1장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초등 국어 교육의 본질 탐색 
  1. 현상학과 국어 교육 = 25
  2. 초등 국어 교육의 본질 = 28
  3. 초등 국어 수업의 현상 분석 = 34
 2장 국어 수업의 목적/교수ㆍ학습 방법/주체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1. 초등 국어 수업의 목적 = 41
  2. 초등 국어 수업의 교수 학습 방법 = 52
  3. 초등 국어 수업의 주체 = 61
 3장 국어과 강사 체험에 대한 국어 교육적 의미 
  1. 강사 체험의 개요 및 시작 = 75
  2. 강사 체험의 여정 = 78
  3. 강사 체험의 마침과 재방문 = 82
3부 통합적 접근에 의한 국어 수업 연구 
 1장 국어 수업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국어 교육에서 통합의 필요성 및 위상 = 89
  2. 통합의 관점으로 본 국어 수업의 특성 = 96
  3. 통합적 국어 수업의 지향 = 105
 2장 통합적 관점으로 본 국어 수업의 비판적 분석 
  1. 국어 수업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방법 = 113
  2. 국어 수업 실태 분석 = 116
  3. 수업 실태 분석 결과 및 개선 방향 = 144
 3장 초등학교 국어과 통합적 수업 설계 
  1. 통합적 국어 수업의 원리 = 148
  2. 통합적 국어 수업의 모형 = 154
  3. 통합적 국어 수업의 실제 = 159
4부 자기 연구와 생애사 접근에 의한 국어 수업 연구 
 1장 교사의 자기 수업 이야기 탐구 
  1. 수업 사례 공모전의 상황적 맥락 = 173
  2. 자기 수업 이야기의 내용적 분류 = 177
  3. 자기 수업 이야기의 의미 = 181
 2장 초등 교사의 국어 수업 생애사 이야기 
  1. 생애사 연구와 교사의 수업 전문성 = 187
  2. 초등 교사가 되기까지 = 192
  3. 국어 수업의 변화와 성장 그리고 지향점 = 194
 3장 자기 연구를 통한 수업 전문성 발달 과정 연구 
  1. 자기 연구와 국어 수업 전문성 = 203
  2. 교과 내용 지식 발달 = 207
  3. 교수 학습 방법 지식 발달 = 212
  4. 상황 지식 발달과 수업 전문성 발달의 의미 = 217
5부 국어 수업 연구의 최근 사례 및 전망 
 1장 국어과 거꾸로 교실의 적용과 탐색 
  1. 거꾸로 교실의 개념과 특성 = 225
  2. 거꾸로 교실에서의 쟁점과 딜레마 극복 방안 = 229
  3. 거꾸로 교실 활용의 필요성과 의의 = 234
 2장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국어과 학습 공동체 사례 연구 
  1. PLC와 수업 전문성 = 239
  2. 국어 학습 공동체 운영 1과 개요 = 243
  3. 국어 학습 공동체 운영 2와 그 의미 = 250
 3장 예비 교사와 경력 교사의 국어과 PCK 비교 연구 
  1. 국어과 교사의 PCK와 수업 전문성 = 257
  2. 예비 교사의 국어과 PCK 분석 = 264
  3. 경력 교사의 국어과 PCK 분석 = 267
 4장 수업 사례 공모전의 국어 수업 경향성 분석
  1. 학습 전문가로서 수업 전문성 요소 = 273
  2. 국어 수업의 전체적인 특징 = 279
  3. 수업 전문성 요소에 따른 국어 수업 분석 = 283
  4. 국어 수업 전문가로서 교사의 변화와 성장 = 29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