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47681 | |
005 | 20180718142935 | |
007 | ta | |
008 | 180718s2018 ulk b 001c kor | |
020 | ▼a 9791188568253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4861257 | |
040 | ▼a 241050 ▼c 241050 ▼d 241050 ▼c 241050 ▼d 211009 | |
041 | 1 | ▼a kor ▼a eng ▼h eng |
082 | 0 4 | ▼a 401/.45071 ▼2 23 |
085 | ▼a 401.45071 ▼2 DDCK | |
090 | ▼a 401.45071 ▼b 2018 | |
100 | 1 | ▼a 石原紀子, ▼d 1936- |
245 | 2 0 | ▼a (다문화 이해를 위한) 화용 교육 / ▼d Noriko Ishihara, ▼e Andrew D. Cohen 지음 ; ▼e 조선경, ▼e 조현용, ▼e 카와카미 요코 옮김 |
246 | 1 9 | ▼a Teaching and learning pragmatics : ▼b where language and culture meet |
260 | ▼a 서울 : ▼b 夏雨, ▼c 2018 | |
300 | ▼a 508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457-499)과 색인수록 | |
546 |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 |
650 | 0 | ▼a Pragmatics |
650 | 0 | ▼a Interlanguage (Language learning) |
650 | 0 | ▼a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650 | 0 | ▼a Language and culture ▼x Study and teaching |
650 | 0 | ▼a Speech acts (Linguistics) |
700 | 1 | ▼a Cohen, Andrew D., ▼e 저 |
700 | 1 | ▼a 조선경, ▼e 역 ▼0 AUTH(211009)80653 |
700 | 1 | ▼a 조현용, ▼e 역 ▼0 AUTH(211009)3751 |
900 | 1 0 | ▼a Ishihara, Noriko, ▼e 저 |
900 | 1 0 | ▼a 이시하라 노리코, ▼e 저 |
900 | 1 0 | ▼a 코헨, 앤드류 D., ▼e 저 |
900 | 1 0 | ▼a 카와카미 요코, ▼e 역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45071 2018 | 등록번호 11179414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14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화용 영역의 연구와 오늘날의 언어 지도 사이의 괴리 즉, 지금까지의 연구가 언어 교수에 충분히 반영되고 있지 않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집필하게 되었다. 화용론에서는 인간의 상호작용에서 상황에 담겨 있는 말의 사용법이 얼마나 사회문화적 사상과 관련되어 있는가를 밝혀 왔다. 지금까지 중간언어 화용론과 문화 간 화용론(cross-cultural pragmatics)에 대한 연구는 언어 교수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많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은 화용 영역의 연구와 오늘날의 언어 지도 사이의 괴리 즉, 지금까지의 연구가 언어 교수에 충분히 반영되고 있지 않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집필하게 되었다. 화용론에서는 인간의 상호작용에서 상황에 담겨 있는 말의 사용법이 얼마나 사회문화적 사상과 관련되어 있는가를 밝혀 왔다. 지금까지 중간언어 화용론과 문화 간 화용론(cross-cultural pragmatics)에 대한 연구는 언어 교수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많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1부에서는 주로 화용 교수와 학습에 관한 기초 지식을 소개한다. 1장에서는 화용론과 인접 영역의 용어를 간단히 설명하고 문화의 본질, 문화와 언어의 관련성 그리고 그 접점이 바로 화용론에서 다루는 주제라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2장에서는 언어 학습과 교수에 대한 교원의 성찰, 특히 교원 자신이 화용 학습을 어떻게 경험했는가에 관한 성찰을 하도록 장려하고, 그 경험이 교원의 지식과 신념, 교육 현장에서의 실천에 얼마나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함께 생각해 본다. 3장에서는 화용 교수에서 이용하는 언어 샘플을 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검증하고, 언어의 화용적 사용법을 이끌어내는 방법과 자연스러운 언어 데이터의 장점과 단점을 확인한다. 4장에서는 인터넷상에 공개되어 있는 화용론의 데이터베이스를 소개하는 것과 동시에 교실 내 수업에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실증 연구에 기인한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와 실천의 중간 역할을 시도한다. 5장에서는 학습자가 의도하지 않게 목표어의 규범에서 일탈해 버린 화용적 실수와 오해의 원인, 또는 화용적 규범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언어 행동에 고의로 저항하는 이유를 밝히고 그러한 일탈의 예를 보면서 원인을 추측해 본다.
2부에서는 화용 교수의 본질적인 사항을 다룬다. 화용적인 관점에서 표준이라고 간주되는 규범은 언어와 문화 외에 다양한 사회적 문맥, 그리고 개인에 따라서도 다르다는 생각이 2부를 구성하는 공통 사항이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의 화용적 사용법은 (때로는 상상 속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문맥 속에서 지도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6장에서는 현재 주류가 되고 있는 화용 교수의 이론적 틀을 소개한다. 화용 학습을 인지적 관점뿐만 아니라, 문화적·사회적·심리적·정서적 관점에서도 해석한다. 7장에서는 화용 교수를 참관할 때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발화 행위와 그 외 언어의 화용적 사용법을 다루는 교수 예를 제시한다. 또한 화용적 교수안의 작성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교수안에 대한 평가안도 제시한다. 8장은 언어 교재를 화용론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교재를 고쳐 쓰는 방법과 교재를 보충한다는 취지에서의 화용 교수에 대한 생각에 대해서 다룬다. 마지막으로 9장에서는 화용 교수를 도입한 교육과정을 편성하기 위한 방침과 그 방침을 살린 교재의 예를 보여 준다.
이어서 3부에서는 화용 학습과 교수의 응용편, 그리고 평가에 관한 여러 문제를 다룬다. 10장에서는 발화 행위의 습득과 수행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는 전략과 화용 교수와 습득을 위한 교육 과학 기술의 이용을 통해서 학습자의 자율과 화용 학습의 관련성을 살펴본다. 11장은 학습자의 화용 능력에 대한 평가에 어떻게 임하는가를 다루고 평가에 관한 전략을 제안한다. 12장에서는 화용 능력의 교실 내 평가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검증하고 실제 학습자의 언어 예, 평가 예, 교원의 피드백 예 등을 보여 준다. 그리고 [결론]에서는 본서에서 다룬 중요 사항을 정리해서 그것들에 관한 성찰을 독자에게 촉구하고 화용 교수에 관한 이후의 목표 설정을 장려한다.
이 책은 화용 교육 전반에 대해 다루며?실제 화용 교육에 도움이 되는 활동과 교수 예, 그리고 코퍼스 입수 경로 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래서 외국어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는 학생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에서 강의를 하고 있는 교사에게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시하라 노리코(지은이)
와세다대학교 교육학부 영어영문학과 및 미네소타대학교 영어교육학과 석사과정 수료 후,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제2언어 문화교육 전공 응용언어학(curriculum instruction) 박사를 마쳤다. 미네소타대학교 교육학부 강사, 아메리칸대학교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호세이대학교 경영학부 준교수, 간다 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미네소타대학교 대학원 등의 강사이다. 전문 분야는 화용 교수, 교원의 전문성 신장 등이고 화용을 지도할 일본어 교재와 학습자를 위한 인터넷 사이트 집필 이외에 영어교육과 교원 양성에 종사하고 있다. 2007년에 미국 교육 연구 학회 외국어교육 부문에서 박사 논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앤드류 D. 코헨(지은이)
하버드대학교에서 프랑스어 · 프랑스 문학을 전공(학사)하고 스탠포드대학교에서 언어학 석사과정을 마친 후, 같은 학교에서 국제개발교육을 전공(박사)하였다. 볼리비아에서 개발 원조 활동,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조교수, 히브리대학교 예루살렘 캠퍼스 강사 · 준교수 등을 거쳐 1991년에 미네소타대학교 영어교육학 준교수로 임용되었으며, 1993년에 같은 대학 교수, 2013년 6월에 명예 교수가 되었다. 전문 분야는 화용론, 제2언어평가, 이중언어교육, 집중교육, 학습 스타일 · 전략, 연구 방법론 등 다방면에 걸쳐 있다. 2006년에 미국 응용언어학회에서 학술 연구 공로상, 2002년과 2005년에는 미네소타대학교에서 liberal arts college 학술연구상을 수상했다.
조현용(옮긴이)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한국어교육 전공 교수로 있으며,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 전공과 일반대학원 한국어학 전공에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한국어교육기관 대표자협의회 회장과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부회장,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장을 역임했고,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위원, 법무부 사회통합 프로그램 자문위원 등을 지냈다. 어휘, 한국어교육, 언어문화에 깊은 관심을 갖고 공부하며 신문과 잡지 등에 언어문화와 언어 치유에 관한 글을 쓰고 있다. 현재 언어문화 연구모임을 이끌고 있고, 전 세계를 다니며 언어문화, 어휘와 사고 등에 대한 강연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우리말 선물》 《우리말 지혜》 《우리말 교실》을 비롯해 《우리말 깨달음 사전》 《우리말로 깨닫다》 《우리말, 가슴을 울리다》 《우리말, 지친 어깨를 토닥이다》 《우리말의 숲에서 하늘을 보다》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 《한국어교육의 실제》 《한국인의 신체언어》 《한국어 문화교육 강의》 《한국어, 문화를 말하다》 《한글의 감정》 등이 있다. 보물 같은 우리말이 품고 있는 좋은 뜻을 알았으면 하는 바람으로 ‘우리말’ 시리즈를 썼다.
조선경(옮긴이)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강사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수료
카와카미 요코(옮긴이)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석사과정을 마치고 같은 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어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일본 니가타국제정보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며 한국어교육과 화용 교육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기타 번역서로는 『한국어 문화 강의』(일본어판) 등이 있다.

목차
서론 역자 서문 본서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언어의 화용적 사용법 제1부 화용 교수의 기초 제1장 화용론의 기초 개념 앤드류 D. 코헨 제2장 교원의 화용론-교원의 지식·신념·실천 이시하라 노리코 제3장 화용적 언어 자료 수집 이시하라 노리코, 앤드류 D. 코헨 제4장 언어의 화용적 사용법 이시하라 노리코, 앤드류 D. 코헨 제5장 학습자의 화용론-화용적 일탈의 원인 이시하라 노리코, 앤드류 D. 코헨 제2부 화용 교수의 핵심 제6장 제2언어 습득 이론과 화용 교수 이시하라 노리코 제7장 화용 수업 참관과 교수 예 이시하라 노리코 제8장 화용 교수를 위한 교재 개정 이시하라 노리코 제9장 화용 교수를 위한 교육과정 편성 이시하라 노리코 제3부 화용 학습·교수·평가에 관한 여러 문제 제10장 학습자의 자율성과 화용 학습 앤드류 D. 코헨, 이시하라 노리코 제11장 화용 능력 앤드류 D. 코헨 제12장 화용 능력 평가의 실천 이시하라 노리코 결론 후기 참고 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