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음악교육의 주요이슈 : 21세기의 이론과 실천

음악교육의 주요이슈 : 21세기의 이론과 실천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Abeles, Harold F., 편 Custodero, Lori A., 편 김용희, 역 정진원, 역 오지향, 역 이수진, 역 박영주, 역 신지혜, 역 정주연, 역
서명 / 저자사항
음악교육의 주요이슈 : 21세기의 이론과 실천 / 해롤드 F. 에이블레스, 로리 A. 커스토데로 엮음 ; 김용희 [외]옮김
발행사항
파주 :   음악세계,   2017  
형태사항
404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
EUMSE academic ;009
원표제
Critical issues in music education : contemporary theory and practice
ISBN
9788966853472
일반주기
공역자: 정진원, 오지향, 이수진, 박영주, 신지혜, 정주연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Music --Instruction and stud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45532
005 20180629114436
007 ta
008 180628s2017 ggka b 001c kor
020 ▼a 9788966853472 ▼g 93670
035 ▼a (KERIS)BIB000014594401
040 ▼a 241008 ▼c 241008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780.71 ▼2 23
085 ▼a 780.71 ▼2 DDCK
090 ▼a 780.71 ▼b 2017
245 0 0 ▼a 음악교육의 주요이슈 : ▼b 21세기의 이론과 실천 / ▼d 해롤드 F. 에이블레스, ▼e 로리 A. 커스토데로 엮음 ; ▼e 김용희 [외]옮김
246 1 9 ▼a Critical issues in music education : ▼b contemporary theory and practice
246 3 ▼a 이십일세기의 이론과 실천
260 ▼a 파주 : ▼b 음악세계, ▼c 2017
300 ▼a 404 p. : ▼b 삽화 ; ▼c 24 cm
440 0 0 ▼a EUMSE academic ; ▼v 009
500 ▼a 공역자: 정진원, 오지향, 이수진, 박영주, 신지혜, 정주연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0 0 ▼a Music ▼x Instruction and study
700 1 ▼a Abeles, Harold F., ▼e▼0 AUTH(211009)22292
700 1 ▼a Custodero, Lori A., ▼e▼0 AUTH(211009)73475
700 1 ▼a 김용희, ▼e▼0 AUTH(211009)86580
700 1 ▼a 정진원, ▼e▼0 AUTH(211009)116527
700 1 ▼a 오지향, ▼e▼0 AUTH(211009)139443
700 1 ▼a 이수진, ▼e▼0 AUTH(211009)139444
700 1 ▼a 박영주, ▼e▼0 AUTH(211009)99948
700 1 ▼a 신지혜, ▼e▼0 AUTH(211009)54063
700 1 ▼a 정주연, ▼e▼0 AUTH(211009)122759
900 1 0 ▼a 에이블레스, 해롤드 F., ▼e
900 1 0 ▼a 커스토데로, 로리 A.,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71 2017 등록번호 1117932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EUMSE Academic (음악세계 아카데믹) 9권. 21세기 현대 음악교육에 대한 안내서. 음악교육을 시작하는 교육자들에게 중요한 이슈들을 현재의 시각으로 깊이 있게 설명한다. 이론과 교육 실천을 연결하여, 음악교사들이 이 분야에서 리더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포괄적 근거 이론을 다양한 각도로 제공한다.

크게 4부로 이루어졌다. 1부는 기초적인 현대의 신념과 실천을 둘러싼 역사적, 철학적, 사회적 기초를 탐구한다. 2부는 학생의 학습 방식, 교사의 역할, 맥락과 문화와 내용의 상호작용이 음악학습에 미치는 영향 등, 학습자가 교육환경을 지각하는 다양한 방식들을 소개한다.

3부는 교육적 실천을 행하는 교사가 부딪히는 문제들을 고려한다. 교수법, 교육과정, 평가, 문헌, 테크놀로지 등의 이슈들을 특정 정책, 사회적 맥락과 연결한다. 4부는 음악교육가가 되고 그 경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통의 경험과 다양한 경로를 바라보며, 이를 통해 직업으로서의 음악교육을 살펴본다.

21세기 현대 음악교육에 대한 안내서

‘왜’(why)라는 본질에 집중한 책

인공지능과 가상현실이 실제가 된 오늘날, 우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지나고 있다. 연일 매스컴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에 부응하듯 사회 전반으로 4차 산업혁명 이후를 위한 준비에 한창이다. 교육계 역시 마찬가지다. 미래 사회에 꼭 맞는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기존의 교육은 소수의 교사가 다수의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대량교육 체제였다. 이는 기술적 능력이 중요했고, 훈련된 인재가 필요했던 과거 산업화 시대에 적합한 교육 방식이었다. 그러나 빠르게 변화하는 스마트 시대에 이러한 교육 방식은 어울리지 않는다. 새로운 분야가 탄생하고, 또 기존의 것이 사라지는, 이 끊임없는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학교는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지금과 같이 정답을 찾는 교육은 안 된다. 그 무엇보다 문제해결능력과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정보를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독창성이 필요한 시대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떻게’(how)에 집중하기보다는 ‘왜’(why)라는 본질에 집중해야 한다. 이에 ≪음악교육의 주요 이슈≫는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보다는 ‘왜?’라는 문제에 더 많이 집중한다. 이 책의 저자들은 교사들이 음악교육 분야 전반의 기초를 조사하고 탐구하기를 권한다.

가장 최신의 음악교육 이슈들을 현재의 시각으로 해석
≪음악교육의 주요 이슈≫는 음악교육을 시작하는 교육자들에게 중요한 이슈들을 현재의 시각으로 깊이 있게 설명한다. 이론과 교육 실천을 연결하여, 음악교사들이 이 분야에서 리더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포괄적 근거 이론을 다양한 각도로 제공한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음악교육의 깊은 성찰과 토론에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토론과제, 프로젝트 과제, 관련문헌 등은 주제에 대한 비판적이고 자율적인 사고를 전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진보적이다. 그렇기에 어떤 부분은 우리의 현실에 맞지 않는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한 지역에서 발생한 정보가 빠르게 전 세계에 공유되는 현 시점에서, 음악교육에 대한 첨단 이론을 접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일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이 책은 음악교육을 처음 시작하는 학생 및 초임 교사뿐 아니라 경력이 있는 교사들에게도 자기계발과 혁신, 전문성 향상을 도와줄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이다.

이 책의 구성
≪음악교육의 주요 이슈≫는 크게 4부로 이루어졌다. 1부는 기초적인 현대의 신념과 실천을 둘러싼 역사적, 철학적, 사회적 기초를 탐구한다. 2부는 학생의 학습 방식, 교사의 역할, 맥락과 문화와 내용의 상호작용이 음악학습에 미치는 영향 등, 학습자가 교육환경을 지각하는 다양한 방식들을 소개한다. 3부는 교육적 실천을 행하는 교사가 부딪히는 문제들을 고려한다. 교수법, 교육과정, 평가, 문헌, 테크놀로지 등의 이슈들을 특정 정책, 사회적 맥락과 연결한다. 4부는 음악교육가가 되고 그 경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통의 경험과 다양한 경로를 바라보며, 이를 통해 직업으로서의 음악교육을 살펴본다. 오랜 시간동안 음악교육 현장에 몸담으며 다양한 경험을 쌓은 이 책의 저자들은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만의 비평적 이슈들을 찾아내고 씨름하게 되기를 희망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해롤드 F. 에이블레스(엮은이)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로, 음악교육의 기초를 비롯해 연구 방법과 평가 전략을 주로 가르친다. 예술분야의 평가, 기악음악과 교육의 성별 연관성에 관심이 있다.

로리 A. 커스토데로(엮은이)

컬럼비아대학교의 음악교육과 교수 겸 프로그램 코디네이터로, 주로 유아음악교육과 연구 설계 관련 수업을 담당한다. 인간 발달과 음악적 발달을 접목, 아동과 성인이 음악 수업이나 가정환경 속에서 만나는 도전, 참여 및 의미 형성에 관심이 있다.

오지향(옮긴이)

서울대학교 기악과 졸업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음악교육학 박사 현) 전남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 <저서> 음악교육연구방법, 음악수업 모형의 이론과 실제, 효과적인 음악교수법, 음악적 이해를 위한 교수법, 현대의 음악교수법

정진원(옮긴이)

서울대학교 기악과 졸업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음악교육학 박사 현) 춘천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

신지혜(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 관현악과 졸업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음악교육학 박사 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조교수 <저서> 효과적인 음악교수법, 음악적 이해를 위한 교수법, 현대의 음악교수법

김용희(옮긴이)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작곡과 학사 및 음악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도미하여 컬럼비아대학교 음악교육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7년 현재 경인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수진(옮긴이)

연세대학교 작곡과 졸업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음악교육학 박사 현) 이화여자대학교, 건국대학교, 서울교대 출강

박영주(옮긴이)

경원대학교(현, 가천대학교)에서 피아노과 학사, 피아노 교수법 석사 학위를 받고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음악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7년 현재 세한대학교 피아노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주연(옮긴이)

서울대학교 성악과 졸업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음악교육학 박사 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조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역자 서문 

1장. 음악교육의 역사적 맥락 (해롤드 F. 에이블레스 / 김용희) 
도입 
20세기 전반부의 음악교육 
연방 정부의 정책과 음악교육: 1950년부터 현재까지 
음악교육의 평등 이슈: 1950년부터 현재까지 
요약 

2장. 음악, 사회문화적 현상, 음악교육의 상호작용 (로버타 램 / 김용희) 
도입 
교육과 음악과 음악교육의 사회학 
형식주의: 기능주의(뒤르켕)와 합리화주의(베버) 
비판이론, 프랑크푸르트학파, 비판적 교수법 
음악교육 내의 상호작용이론 
사회정의: 다름과 관련된 관계망들의 상호작용 
테크놀로지와 음악교육 혁신 
요약 

3장. 음악교육의 철학적 관점들 (랜달 에버렛 알섭 / 정진원) 
도입 
철학과 교육 
미학적 철학 
학교 음악의 철학적 당위성 
결론 

4장. 의미와 경험: 음악학습자 (로리 A. 커스토데로 / 정진원) 
도입 
음악적 의미와 체화 
경험의 처리: 인지 구조와 연계 
‘창의적인’ 마음: 음악 구성하기와 음악 해석하기 
음악학습의 핵심논제 
음악 교수-학습의 의미 있는 결합 

5장. 공동체 안에서의 학습자 (패트리샤 A. 세인트존 / 오지향) 
도입 
학습자 공동체 
공동체에서의 학습전략 
음악학습 공동체 
요약 

6장. 음악학습과 음악적 발달 (로리 A. 커스토데로 / 오지향) 
도입 
음악적 발달의 주요 이슈 
발달에 대한 일반적 이론 및 음악교육에의 적용 
음악적 발달의 과정과 패턴 
음악학습자의 발달적 특성 
요약: 음악적 현재 상태와 발전 가능성 

7장. 교육과정 (캐시 베네딕트 / 이수진) 
도입 
과학적 기술적 합리성 
교육과정 재개념화 
‘다문화’ 교육과정 
결론 

8장. 음악학습 평가 (해롤드 F. 에이블레스 / 이수진) 
도입 
평가 도구의 특징 
음악수업 성과에 대한 평가 
음악수업 결과 평가를 위한 대안적 방법들 
음악에서의 표준화검사 
주 및 국가 수준 음악교육 성취도평가 
학교 음악 프로그램 평가 
결론 

9장. 교수법과 접근 방법 (캐시 베네딕트 / 박영주) 
도입 
교수법이란 무엇인가? 
에밀 자크-달크로즈 
졸탄 코다이 
칼 오르프 
신이치 스즈키 
에드윈 고든 
그 밖의 고려사항들 

10장. 지도악곡의 선택 (랜달 에버렛 알섭 / 박영주) 
도입 
전통의 문제 
변화의 문제 
교사의 판단 
요약 

11장. 음악교육 테크놀로지 (제임스 프랭클 / 신지혜) 
도입 
음악수업에서의 테크놀로지 
교실환경 
컴퓨터 보조 수업 
음악 제작 소프트웨어 
새로운 악기들 
새로운 미디어-새로운 방향 
결론 

12장. 21세기 음악교사교육과 관련된 문제들: 전문분야 리더 양성하기 (콜린 콘웨이 / 신지혜) 
도입 
음악교사교육 연구의 맥락 
음악교사교육의 정책적 기조 
음악교육 전공자 모집하기 
음악교사교육 교육과정에 관한 일반적 문제들 
초임 음악교사에 대한 지원 
결론 

13장. 연구하는 음악교사 (해롤드 F. 에이블레스, 콜린 콘웨이 / 정주연) 
도입 
음악교육 연구의 자료 
연구 방법의 종류 
양적 연구 방법 
역사 연구 방법 
질적 연구 방법 
실행연구와 연구자로서의 교사들 
요약 

14장. 전문인으로서의 삶으로 나아가기: 협력과 리더십을 통한 음악교사의 발전 
(해롤드 F. 에이블레스, 콜린 콘웨이, 로리 A. 커스토데로 / 정주연) 
도입 
국제적 전문성 개발 연수 기회들 
진로 구상하기 
변화를 주장하고 시작하기: 리더십 제공하기 
결론 

저자 소개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