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모두 거짓말을 한다 : 구글 트렌드로 밝혀낸 충격적인 인간의 욕망 (Loan 13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Stephens-Davidowit, Seth 이영래, 역
Title Statement
모두 거짓말을 한다 : 구글 트렌드로 밝혀낸 충격적인 인간의 욕망 /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 지음 ; 이영래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더퀘스트 :   길벗,   2018   (2021 14쇄)  
Physical Medium
359 p. : 삽화, 도표 ; 22 cm
Varied Title
Everybody lies : big data, new data, and what the Internet can tell us about who we really are
ISBN
9791160504576
General Note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Data mining --Social aspects Big data --Social aspects Internet --Social aspect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44318
005 20211228174118
007 ta
008 180612s2018 ulkad 001c kor
020 ▼a 9791160504576 ▼g 03320
035 ▼a (KERIS)BIB000014835573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02.231 ▼2 23
085 ▼a 302.231 ▼2 DDCK
090 ▼a 302.231 ▼b 2018z1
100 1 ▼a Stephens-Davidowit, Seth
245 1 0 ▼a 모두 거짓말을 한다 : ▼b 구글 트렌드로 밝혀낸 충격적인 인간의 욕망 / ▼d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 지음 ; ▼e 이영래 옮김
246 1 9 ▼a Everybody lies : ▼b big data, new data, and what the Internet can tell us about who we really are
260 ▼a 서울 : ▼b 더퀘스트 : ▼b 길벗, ▼c 2018 ▼g (2021 14쇄)
300 ▼a 359 p. : ▼b 삽화, 도표 ; ▼c 22 cm
500 ▼a 색인수록
650 0 ▼a Data mining ▼x Social aspects
650 0 ▼a Big data ▼x Social aspects
650 0 ▼a Internet ▼x Social aspects
700 1 ▼a 이영래, ▼e▼0 AUTH(211009)51922
900 1 0 ▼a 스티븐스 다비도위츠, 세스, ▼e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2.231 2018z1 Accession No. 11179247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4-01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1persons reqested this item) R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2.231 2018z1 Accession No. 111794122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2.231 2018z1 Accession No. 51105164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3-23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02.231 2018z1 Accession No. 12124503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3-29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5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2.231 2018z1 Accession No. 131052477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4-07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6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02.231 2018z1 Accession No. 15134158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2.231 2018z1 Accession No. 11179247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4-01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1persons reqested this item) R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2.231 2018z1 Accession No. 111794122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2.231 2018z1 Accession No. 51105164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3-23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02.231 2018z1 Accession No. 121245030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3-29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2.231 2018z1 Accession No. 131052477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4-07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02.231 2018z1 Accession No. 15134158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검색 데이터를 이용해 사람들의 숨겨진 진짜 욕망과 생각을 까발리는 책이다. 인종주의뿐 아니라 정신질환, 성생활, 아동학대, 낙태, 광고, 종교, 건강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충격적인 인간 본성이 거침없이 담긴 이 책은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던 인간과 사회에 관한 지식 대부분이 거짓말로 왜곡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한다.

미국 대선과 브렉시트를 예견한 유일한 데이터,
구글 트렌드로 잡아낸 인간의 진짜 속마음

<아마존> 올해의 책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월스트리트저널> 베스트셀러
<포춘> 최고의 경제경영서
<이코노미스트> 올해의 책

“트럼프 지지층은 누구인가?”에 답한 경제학자,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의 슈퍼 베스트셀러


충격적이었던 지난 미국 대선 결과를 모두 기억할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는 흑인과 여러 소수집단을 모욕하고도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지지층의 부상으로 대통령에 당선됐다. 수많은 전문가와 여론조사기관은 물론, 예측의 신이라 불리던 네이트 실버조차 결과에 당황했다. 그 많던 트럼프 지지자들은 왜 선거 직전까지 드러나지 않았을까? 애초에 설문조사에 ‘실제로’ 누구에게 투표할지 솔직하게 답할 이유가 없는 게 아닐까?
전 세계가 주목하는 데이터 과학자이자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인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Seth Stephens-Davidowitz)는 트럼프 지지층이 평소 심각한 흑인 비하 단어인 ‘깜둥이(nigger)’를 검색하던 인종주의자라는 사실을 알아차렸다. 트럼프 지지율이 높은 지역에서 ‘깜둥이’ 검색이 가장 많았던 것이다. 하지만 그곳 사람들이라고 해서 설문조사원이나 친구에게 자신이 흑인을 혐오하며 트럼프를 지지한다고 말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인터넷에 흑인을 놀릴 만한 농담거리를 찾아볼 뿐이다.
《모두 거짓말을 한다Everybody Lies》는 검색 데이터를 이용해 사람들의 숨겨진 진짜 욕망과 생각을 까발리는 책이다. 출간 즉시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가 되고 〈아마존〉 ‘올해의 책’으로 선정됐다. 인종주의뿐 아니라 정신질환, 성생활, 아동학대, 낙태, 광고, 종교, 건강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충격적인 인간 본성이 거침없이 담긴 이 책은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던 인간과 사회에 관한 지식 대부분이 거짓말로 왜곡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한다.

계속 속을 것인가, 진실을 볼 것인가?
검색창에 드러난 가장 사적인 욕망


하버드대학교 경제학과 박사과정에 있는 동안 스티븐스 다비도위츠는 구글 트렌드를 이용해 오바마가 흑인이라는 이유로 손해 본 표가 얼마나 되는지 연구했다. 구글 트렌드는 특정 단어가 지역별, 시간별로 얼마나 자주 검색되는지를 알려주는 구글 서비스다. 2008년 11월 오바마가 당선된 그날, 일부 주는 ‘최초의 흑인 대통령’보다 ‘깜둥이 대통령’을 더 많이 검색했다. 그리고 ‘오바마’가 들어간 검색어 100개 중 1개에는 ‘kkk’나 ‘깜둥이’가 포함돼 있었다. 백인 국수주의자들의 사이트 〈스톰프런트〉의 검색과 가입도 평소보다 10배 늘었다. 설문조사에서 아닌 척 숨겼지만 사람들은 사적 공간에서 흑인을 조롱하는 마음을 마음껏 드러내고 있었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는 지역별 인종차별적 검색률을 토대로 미국의 인종주의 지도를 만들었는데 놀랍게도 트럼프 지지율을 표시한 지도와 일치했다. 지금 학계는 미국 대선과 브렉시트를 예견한 유일한 데이터인 구글 트렌드가 앞으로도 국제적으로 굵직굵직한 사건들을 예견할 것으로 주목하고 있다.
구글 검색이 그토록 귀중한 이유는 데이터가 많아서가 아니다. 사람들이 솔직한 생각을 내놓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게는 하지 않을 이야기를 구글, 네이버, 다음과 같은 거대 검색엔진에는 한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을수록 밝혀지는 것도 많은데 그 대표적인 주제가 성생활이다. 구글에 드러난 결혼생활의 가장 큰 불만이 뭔지 알고 있는가? 섹스를 하지 않는 것이다. ‘섹스 없는 결혼생활’이 ‘불행한 결혼생활’보다 3.5배 많이 검색되고 ‘사랑 없는 결혼생활’보다 8배 많이 검색된다. 그리고 대화하지 않는 배우자에 대한 불만보다 성관계를 원하지 않는 배우자에 대한 불만이 16배 많다. 결혼하지 않은 커플도 마찬가지다. 문자메시지에 답을 하지 않는 애인보다 성관계를 원하지 않는 애인에 대한 불만이 5.5배 많다. 그리고 그 불만은 놀랍게도 남자친구보다 여자친구 쪽에서 두 배 많다. 구글에는 ‘게이 포르노’와 ‘게이 테스트’를 번갈아 검색하는 성정체성에 혼란을 보이는 사람들도 포착된다. 모두 전통적인 설문조사에서는 감춰져 있던 모습이다.

* 남성 중 동성애자는 얼마나 많은가?
* 어떤 사람이 탈세를 하는가?
* 두 번째 데이트를 하려면 첫 번째 데이트에서 어떤 이야기가 오가야 하는가?
* 부모는 아들과 딸을 어떻게 차별하는가?
* 사는 곳에 따라 수명이 달라지는가?
* 광고는 효과가 있는가?

사람의 생각을 연구하는 완전히 새로운 방법
모든 학문 분야에서 빅데이터 분석이 유행할 것


사람들은 자주 거짓말을 한다. 의사, 친구, 연인, 설문조사원은 물론 자기 자신에게도 거짓말을 한다. 기업 엔지니어의 40퍼센트 이상이 자신의 실력이 상위 5퍼센트에 든다고 말하고, 대학교수의 90퍼센트 이상은 자신이 평균 이상의 성과를 내고 있다고 말한다. 고등학교 졸업생의 4분의 1은 자신의 사교성이 상위 1퍼센트에 든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사람들의 보고가 부정확한데도 사회과학 연구의 많은 부분이 여기에 의존한다.
데이터 과학이 앞으로 무궁무진하게 활용될 수 있는 분야가 바로 사회과학이다. 데이터 과학은 사회과학 이론을 검증 가능하게 한다. 한 예로 2장 〈프로이트가 옳았을까?〉는 무의식적 욕구(특히 성적인 욕구)가 말실수로 드러난다는 ‘프로이트의 말실수’가 진짜인지 확인한다. 프로이트 이론은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성적 욕구가 말실수로 세어 나온다는 ‘프로이트의 말실수’를 검증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자들은 오타 데이터세트 4만 개를 모아 성적인 의미로 볼 수 있는 오타가 불균형적으로 많이 나타나는지 확인했다. 그 데이터세트에는 ‘rock’을 ‘cock(음경)’으로 ‘security’를 ‘sex(섹스)urity’라고 쓴 것도 있었지만 ‘window’를 ‘pindow’라고 쓴 것처럼 별 의미 없는 실수도 있었다. 연구팀은 사람들과 똑같은 빈도로 문자를 바꿔 쓰는 로봇을 만들어 수많은 오타를 내게 했고 그 결과 성적으로 해석되는 실수는 우연으로 볼 수 있는 수준보다 많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
사회과학의 많은 질문은 연구하기가 까다롭다. 폭력적인 영화가 개봉하면 범죄가 늘어날까? 광고는 효과가 있을까? 언론은 진보나 보수 쪽으로 편향되어 있을까? 거의 모든 주제에 빅데이터를 모을 수 있게 된 지금은 데이터 과학을 조금만 첨가하면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2018년 최고의 문제작
빅데이터 혁명은 지금부터!


스티븐스 다비도위츠의 연구가 처음부터 인정받았던 것은 아니다. 인종주의에 관한 그의 박사논문은 학술지 다섯 곳에서 거부당했다. 그렇게나 많은 미국인이 인종주의자일 리가 없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세계적인 학술지 《퍼블릭 이코노믹스 저널》이 최종적으로 이 논문을 실었고, 스티븐스 다비도위츠는 많은 학자들에게 충격을 주며 학계의 슈퍼루키로 떠올랐다.
《모두 거짓말을 한다》에 대한 반응은 뜨거웠다. 출간 즉시 《뉴욕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아마존〉 베스트셀러에 오르고 《이코노미스트》 《포춘》 등 여러 매체에서 ‘2017년 올해의 경제경영서’로 선정됐다. 미국 재무장관을 지낸 로렌스 서머스는 스티븐스 다비도위츠를 따로 불러 연구를 요청할 정도였고, 심리학자 스티븐 핑커는 이 책의 서문에서 오랫동안 사람을 연구한 자신 역시 이 책에 담긴 내용에 여러 차례 놀랐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책에 소개된 인간 본성은 아직 빙산의 일각의 작은 스크레치에 불과하다. 구글, 페이스북, 데이트 사이트, 포르노 사이트 등에 축적된 디지털 금광을 분석하면 사람들이 정말로 어떤 생각을 하는지, 정말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말로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혁명은 지금부터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지은이)

인터넷, 특히 구글 검색 데이터를 활용해 인간의 정신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보여준 전 구글 데이터과학자 출신 경제학자이자 저술가.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철학 석사를 수석으로 졸업한 뒤 하버드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과정에서 특정 검색어의 추세를 보여주는 ‘구글 트렌드’를 연구했다. 버락 오바마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며 많은 전문가들이 ‘이제 인종주의는 사라졌다’고 말하던 때였다. 그런데 데이터가 포착한 현실은 전혀 달랐다. 오바마가 대통령으로 당선된 날, 몇몇 주에서는 ‘최초의 흑인 대통령’보다 ‘깜둥이 대통령’을 더 많이 검색했고, 백인 우월주의 사이트는 검색과 가입이 열 배 늘었다.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가 이 내용을 《퍼블릭이코노믹스저널》에 소개하자, 이를 본 구글은 그를 데이터과학자로 채용했다. 이후 그는 구글에서 커리어를 쌓으면서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와튼스쿨의 객원 강사로 활동했으며, 인종차별, 낙태, 아들 선호, 우울증, 불안, 아동학대, 혐오, 유머, 성적 선호도, 성적 불안감 등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해왔다. 2017년에 출간된 《모두 거짓말을 한다 Everybody Lies》는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이자 PBS ‘뉴스아워’ 올해의 책, 《이코노미스트》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크게 화제가 되었다. 2022년에는 ‘데이터가 어떻게 삶의 주요 결정을 내리는 방식을 바꾸는지’ 보여주는 후속작 《데이터는 어떻게 인생의 무기가 되는가 Don’t Trust Your Gut》로 특유의 유머를 곁들인 분석력과 통찰을 다시 한번 선보였다. 뉴욕 브루클린에 살고 있으며, 《뉴욕타임스》에 기명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메츠, 닉스, 제츠, 레너드 코언의 열렬한 팬이다. 홈페이지 sethsd.com

이영래(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가족과 함께 캐나다에 살면서 번역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출판 기획 및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제프 베조스, 발명과 방황』, 『파타고니아, 파도가 칠 때는 서핑을』, 『항상 이기는 조직』, 『2029 기계가 멈추는 날』, 『사업을 한다는 것』, 『모두 거짓말을 한다』 등 많은 책을 우리말로 옮겼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서문 - 스티븐 핑커 
서론: 빅데이터 혁명의 개요 

1부 빅데이터와 스몰데이터 
1. 직감은 불완전하다 

2부 빅데이터의 힘 
2. 프로이트가 옳았을까? 
3. 데이터를 보는 새로운 눈 
신체 데이터 
단어 데이터 
사진 데이터 
4. 디지털 자백약 
섹스에 관한 진실 
증오와 편견에 관한 진실 
인터넷에 관한 진실 
아동학대와 낙태에 관한 진실 
페이스북 친구에 관한 진실 
고객에 관한 진실 
진실을 어떻게 다뤄야 할 것인가? 
5. 클로즈업 
우리 지역, 시, 마을에서는 정말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나? 
우리는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가 
도플갱어 찾기 
데이터에는 이야기가 있다 
6. 온 세상이 실험실 
A/B 테스트의 기초 
잔인하지만 큰 깨달음을 주는 자연 실험 

3부 빅데이터: 취급 주의 
7. 빅데이터로도 할 수 없는 일 
차원의 저주 
측정 가능한 것에 대한 지나친 집중 
8. 빅데이터로 하지 말아야 할 것 
권력화된 기업에서 생기는 위험 
권한을 부여받은 정부에서 비롯하는 위험 

결론: 얼마나 많은 사람이 책을 끝까지 읽을까?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