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영화장화 (Loan 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蓮実重彦, 1936- 黒沢清, 1955-, 저 青山真治, 1964-, 저 조정민, 역
Title Statement
영화장화 / 하스미 시게히코, 구로사와 기요시, 아오야마 신지 ; 조정민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부산 :   책읽는저녁,   2018  
Physical Medium
296 p. ; 21 cm
Varied Title
映畵長話
ISBN
9791195970223
General Note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44229
005 20180611131731
007 ta
008 180611s2018 bnk 001c kor
020 ▼a 9791195970223 ▼g 03680
035 ▼a (KERIS)BIB000014831600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791.43 ▼2 23
085 ▼a 791.43 ▼2 DDCK
090 ▼a 791.43 ▼b 2018
100 1 ▼a 蓮実重彦, ▼d 1936- ▼0 AUTH(211009)68855
245 1 0 ▼a 영화장화 / ▼d 하스미 시게히코, ▼e 구로사와 기요시, ▼e 아오야마 신지 ; ▼e 조정민 옮김
246 0 9 ▼a 映畵長話
246 3 ▼a Eiga nagabanashi
260 ▼a 부산 : ▼b 책읽는저녁, ▼c 2018
300 ▼a 296 p. ; ▼c 21 cm
500 ▼a 색인수록
700 1 ▼a 黒沢清, ▼d 1955-, ▼e▼0 AUTH(211009)28113
700 1 ▼a 青山真治, ▼d 1964-, ▼e▼0 AUTH(211009)60446
700 1 ▼a 조정민, ▼e▼0 AUTH(211009)140628
900 1 0 ▼a 하스미 시게히코, ▼e
900 1 0 ▼a Hasumi, Shigehiko, ▼e
900 1 0 ▼a 蓮実重彦, ▼e
900 1 0 ▼a 구로사와 기요시, ▼e
900 1 0 ▼a Kurosawa, Kiyoshi, ▼e
900 1 0 ▼a 아오야마 신지, ▼e
900 1 0 ▼a Aoyama, Shinji,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91.43 2018 Accession No. 11179242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일본 영화계를 견인하는 스승과 두 제자의 대화를 담은 책이다. 제목 그대로 영화에 대한 긴 이야기이다. 그러나 긴 이야기라고 해서 독자들에게 이 책은 지루함을 주지는 않는다. 이 책은 가볍게 접근하면서도 우리의 무릎을 치게 만드는 재기 발랄함이 대화 중간에 숨어 있다. 이 책의 등장인물 중 한 사람인 영화감독 아오야마 신지는 이것을 “경쾌하고도 스피디하게 흐르는 마치 가슴을 파고드는 활극”이라 서문에 기록한다.

이 책의 시작은 세 사람의 관계에서 시작한다. 세 사람의 모임 자체는 이미 격렬한 사건을 이룬다. 이것 또한 활극이다. 책에는 세 사람의 등장인물이 있다. 세 사람은 영화를 매개로 구성되고 관계하며 운동한다. 그렇다고 이 책은 세 사람의 영향, 모방의 문제를 다루지는 않는다.

다만 영화의 가능성, 구체적으로 숏을 만들기가 불가능한 시대에 대한 징후를 세 사람의 대화에서 읽을 수 있다. 또한 이 책의 미덕은 단지 영화만을 목적하지는 않는다. 영화가 하나의 텍스트라면 또 다른 텍스트와의 절합을 그들은 두려워하지 않는다. 일종의 컨텍스트와의 내적 긴장이 분명 이 책의 이면에 흐른다.

“경쾌하고도 스피디하게 흐르는 마치 가슴을 파고드는 활극”
일본 영화계를 견인하는 스승과 두 제자의 대화!
어느 순간 사건처럼 일어나는, 체험으로서의 영화를 말하다.


영화장화(映畫長話). 말 그대로 영화에 대한 긴 이야기이다. 그러나 긴 이야기라고 해서 독자들에게 이 책은 지루함을 주지는 않는다. 이 책은 가볍게 접근하면서도 우리의 무릎을 치게 만드는 재기 발랄함이 대화 중간에 숨어 있다. 이 책의 등장인물 중 한 사람인 영화감독 아오야마 신지는 이것을 “경쾌하고도 스피디하게 흐르는 마치 가슴을 파고드는 활극”이라 서문에 기록한다.

활극, 참 오랜만에 들어보는 단어다. 이 단어를 들으면 뭔가 움직이고 날아다녀야 할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세 사람에게 영화가 바로 그런 활극의 장소가 아닐까. 이 책의 시작은 세 사람의 관계에서 시작한다. 세 사람의 모임 자체는 이미 격렬한 사건을 이룬다. 이것 또한 활극이다. 책에는 세 사람의 등장인물이 있다. 세 사람은 영화를 매개로 구성되고 관계하며 운동한다.

그렇다고 이 책은 세 사람의 영향, 모방의 문제를 다루지는 않는다. 다만 영화의 가능성, 구체적으로 숏을 만들기가 불가능한 시대에 대한 징후를 세 사람의 대화에서 읽을 수 있다. 또한 이 책의 미덕은 단지 영화만을 목적하지는 않는다. 영화가 하나의 텍스트라면 또 다른 텍스트와의 절합을 그들은 두려워하지 않는다. 일종의 컨텍스트와의 내적 긴장이 분명 이 책의 이면에 흐른다.

따라서 이 책은 독자에게 흥미진진한 영화요소들에 대한 지식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갑자기 그들의 관계가 궁금해지지는 않은가. 그들은 “릿교 대학을 매개로 스승(하스미 시게히코), 학생(구로사와 기요시, 아오야마 신지)의 관계이기도 하고, 또 선배(구로사와 기요시)와 후배(아오야마 신지)의 관계”이기도 하다. 이들의 대담은 정담(鼎談)이다. 정담의 사전적 의미는 “세 사람이 솥발처럼 벌려 마주 앉아서 하는 이야기”이다. 아오야마는 이것을 두고 무책임을 나누어 가지는 것, 무책임을 나누어 가지니 편안한 이야기들이라 책 소개를 한다.

하스미 시게히코의 말. “‘아는 사람은 안다’란 언젠가는 이해하는 사람과 만날지도 모른다는 로맨틱한 몽상이 아닙니다. 일부 아는 사람들끼리 ‘알겠다, 알겠어’하고 서로 머리를 끄덕이는 자리도 아닙니다. 또 작품의 바른 이해에 기초한 것도 아닙니다. 알려고 하지 않았는데 자신도 모르게 알게 되는 순간은 살아있는 현재를 뒤흔드는 아주 현실적인 체험인 것입니다. 그것이 영화에는 있어요. 어디에 있는지 모르지만 그건 어느 순간에 사건처럼 일어납니다.” 현재를 뒤흔드는 아주 현실적인 체험으로의 영화, 어느 순간에 도래하는 혹은 도달하는 “아!”라는 외마디 탄성. 그래서 영화는 여전히 늘 매력적인 지도 모른다. 그것을 발견하시리라. 이 책에서.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하스미 시게히코(지은이)

1936년 도쿄 출생. 일본의 불문학자이자 영화평론가. 1960년 도쿄대학교 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대학교 대학원에서 귀스타브 플로베르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도쿄대학교 교수를 지내다 1997~2001년 제26대 도쿄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일본을 대표하는 지식인인 동시에 세계를 압도하는 천재적인 영화 비평으로 널리 알려졌다. 국내 출간작으로 『감독 오즈 야스지로』 『영화의 맨살』 『나쓰메 소세키론』 『영화장화』 등이 있다. 1974년 프랑스 텍스트 비평서 『비평 혹은 가사仮死의 제전』을 시작으로 문학과 영화에 관한 비평활동을 해왔으며, 『함몰지대』(1986) 『오페라·오페라시오넬』(1994)에 이어 22년 만에 발표한 장편소설 『백작부인』(2016)으로 제29회 미시마 유키오상을 수상했다.

구로사와 기요시(지은이)

1955년 효고현 고베시 출생. 릿쿄대학 재학 중부터 8mm 영화를 찍기 시작했다. 하세가와 카즈히코, 소마이 신지에게 사사한 뒤 상업 영화계로 진출했다. 1997년 작품 <큐어>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2001년 작품 <회로>로 칸영화제 국제영화비평가연맹상을 수상했다. 2008년에는 <도쿄 소나타>로 칸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 심사위원상을 수상했고, 2015년에는 <해안가로의 여행>으로 칸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 감독상을 수상했다. <스파이의 아내>는 2020년 베니스영화제에서 은사자상을 수상했다.

아오야마 신지(지은이)

1964년 후쿠오카현(福岡縣) 기타큐슈(北九州)에서 태어났으며 1984년 릿교대학에 입학하였다. 다니엘 슈미트와 구로사와 기요시 등의 조감독을 지냈으며 1996년 첫 감독 작품인 <헬프리스(Helpless)>로 상업영화 데뷔를 했다. 저서로는 『나는 영화를 발견했도다われ映畵を發見せり』(2001), 『시네마 21 아오야마 신지 영화론 +α 집성 2001-2010シネマ21靑山眞治映畵論+α集成2001-2010』(2010) 등이 있으며, 소설로는 『유레카EUREKA』(2000), 『호텔.클로니클즈ホテル.クロニクルズ』(2005), 『죽음의 계곡’95死の谷’95』(2005), 『지구상의 비자도 없이地球の上でビザもなく』(2009), 『귀갓길이 사라졌다歸り道が消えた』(2010), 『기묘한 얼굴ストレンジ.フェイス』(2010) 등이 있다. 대표적인 감독작으로는 <차가운 피冷たい血>(1997), <유레카>(2000), <달의 사막月の沙漠>(2001), <호숫가 살인사건レイクサイド マ-ダ-ケ-ス>(2004), <엘리 엘리 사박다니エリ.エリ.レマ.サバクタニ>(2005), <새드 베케이션サッド ヴァケイション>(2007), <도쿄 공원東京公園>(2011), <도모구이共くい>(2013) 등이 있다. 2000년 〔유레카〕로 제54회 칸 영화제 국제비평가협회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관심을 받았다.

조정민(옮긴이)

부경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규슈대학 비교사회문화연구과에서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을 마쳤다. 전후 일본문학이 패전 후 연합국의 일본 점령을 어떻게 기억하였는가에 대해 관심이 많아, 같은 테마로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논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책『만들어진 점령서사』(산지니, 2009)를 출간하였다. 지금까지 전쟁, 점령, 민족, 젠더, 언어 등의 문제가 서로 교차하면서 어떤 위계가 만들어지고 또 무너지는지에 대해 주목해왔다. 가부장적 가족제도와 군국주의적 천황제의 억압과 통제에 추상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자신만의 철학을 분명히 실천했던 가네코 후미코의 삶에 감동하여 그녀의 수기를 번역하게 되었다. 현재 부경대학교 일어일문학부 일본학 전공 부교수로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먼저 말을 꺼낸 사람은, 바로 접니다/ 아오야마 신지 5 
1부 고민을 들어드립니다 13 
2부 필름이냐 비디오냐, 그것이 문제로다 47 
3부 어디든 상관없습니다 71 
4부 무섭고도 두려운 것 95 
5부 의상에 관한 이것저것 119 
6부 엉터리, 만세! 145 
7부 세 권의 빨간 책 175 
8부 <아바타>에서 정의감을 빼면 무엇이 남을까? 207 
9부 법률보다 정의 231 
10부 영화의 미래 게스트 만다 구니토시 257 

역자 후기 281 
인명 찾아보기 286 
영화명 찾아보기 292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책마을해리 (2022)
Page, Elliot (2023)
Page, Elliot (2023)
James, Chiabella (2023)
노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