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인사행정론

한국인사행정론 (1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정일섭
서명 / 저자사항
한국인사행정론 =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in Korea / 정일섭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윤성사,   2018   (2019 2쇄)  
형태사항
381 p. : 도표 ; 25 cm
ISBN
9791196019075
서지주기
참고문헌(p. 359-363)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42769
005 20200819150936
007 ta
008 180525s2018 ulkd 001c kor
020 ▼a 9791196019075 ▼g 93350
035 ▼a (KERIS)BIB000014688455
040 ▼a 242001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52.609519 ▼2 23
085 ▼a 352.60953 ▼2 DDCK
090 ▼a 352.60953 ▼b 2018
100 1 ▼a 정일섭
245 1 0 ▼a 한국인사행정론 = ▼x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in Korea / ▼d 정일섭 지음
260 ▼a 서울 : ▼b 윤성사, ▼c 2018 ▼g (2019 2쇄)
300 ▼a 381 p. : ▼b 도표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359-363)과 색인수록
536 ▼a 인하대학교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 되었음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60953 2018 등록번호 1118323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2.6 2018 등록번호 15134149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19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2.60953 2018 등록번호 1118323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2.6 2018 등록번호 15134149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19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행정학을 공부할때 인사행정의 주요 법령과 이론을 명확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간결하면서도 꼭 필요한 내용을 담았기에 교과서뿐만 아니라 수험서로도 충분히 공부할 수 있습니다. 현재 시점에서 한국의 인사행정과 인사혁신을 어려움 없이 아는데 도움이 되는 도서입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정일섭(지은이)

■ 약력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 · 행정학박사 · 인천광역시 인사위원회 위원(1999-2003, 2012-2015) · 인천광역시 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2005-2007) · 인천광역시 영흥화전 민관공동조사단위원(1999-2018현재) 및 단장(2005-2011) · 요꼬하마시립대학 객원교수(2003) ·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자문위원(2013~2015) · 인천광역시 주민투표 청구 심의회 위원(2004~2017) · 행정자치부 지방행정혁신평가위원(2005, 2006) · 인천참여자치연대 공동대표(2004~2006) · 인천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2011~2015) · 인하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2015~2017) · 현재 인하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지방자치론, 인사행정론) ■ 저서 · 『인천지역의 이해』(1999), 인하대학교 출판부 · 『지방의회의 이해』(2008), 박영사(공저) · 『지방자치의 이해』(2010), 대영문화사 · 『지방자치사례연구』(2012), 대영문화사 · 『한국지방자치론』(2015), 대영문화사 · 『한국인사행정론』(2018), 윤성사 ■ 주요 논문 · “지방자치와 시민운동”,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999.09. 제11권 제3호. · “지방자치단체의 환경협정”, 『한국행정학보』, 2001.11. 제34권 제3호. · “주민자치센터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01.12. 제13권 제4호. · “인사청문회제도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03.09. 제15권 제3호. · “주민투표제도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06.12. 제18권 제4호. · “주민소환제도에 대한 평가”,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09.03. 제21권 제1호. · “지방자치와 관련된 용어에 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09.09. 제4권 제2호. · “지방의회 사무직원의 인사권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2011.12. 제11권 제3호. ·“주민투표에 곤한 사례연구”, 『정책개발연구』, 2015.12. 제15권 제2호.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편 인사행정의 기초
제1장 인사행정의 의의
제1절 인사행정의 개념
제2절 인사행정의 세 측면
제3절 인사행정과 인사관리
제4절 인사행정의 중요성
제5절 인사행정의 기능

제2편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초
제2장 임용제도
제1절 엽관제도
제2절 한국의 정치적 임명제도
제3절 인사청문회제도
제4절 실적제도
제5절 대표관료제

제3장 직업공무원제도
제1절 의의
제2절 특징
제3절 직업공무원제도의 수립요건
제4절 직업공무원제도와 실적제도
제5절 직업공무원제도에 대한 평가
제6절 고위공무원단제도
제7절 개방형 직위제도
제8절 공모 직위 제도

제4장 인사기관
제1절 인사기관의 종류
제2절 중앙인사기관
제3절 부처인사기관
제4절 지방자치단체 인사기관

제3편 공직의 분류체계
제5장 공직의 분류
제1절 계급제
제2절 직위분류제
제3절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비교
제4절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선택기준
제5절 계급제와 직위분류제의 조화

제6장 직무분석과 직무평가 - 직위분류제의 수립절차
제1절 준비 작업
제2절 직무조사
제3절 직무분석
제4절 직무평가
제5절 직급명세서의 작성
제6절 정급
제7절 유지 및 관리

제7장 한국 공무원의 분류
제1절 임용권
제2절 직무
제3절 근무시간
제4절 임용형태

제4편 인적자원의 관리
제8장 인력관리계획
제1절 의의
제2절 필요성
제3절 인력관리계획 모델

제9장 외부임용
제1절 의의
제2절 신규채용의 유형
제3절 모집
제4절 선발

제10장 내부임용
제1절 승진
제2절 강등
제3절 강임
제4절 승급
제5절 전직과 전보
제6절 인사교류
제7절 파견
제8절 겸임

제11장 경력개발
제1절 경력개발의 의의
제2절 경력개발의 목적
제3절 경력개발의 원칙
제4절 경력계획의 정의와 과정
제5절 경력경로의 유형
제6절 전문분야 및 전문직위 별 보직관리
제7절 경력개발의 문제점과 성공조건

제12장 교육훈련
제1절 교육훈련의 의의
제2절 교육훈련의 수요조사
제3절 교육훈련의 종류와 방법
제4절 교육훈련 담당기관 및 교수요원 결정
제5절 교육훈련에 대한 저항과 해결
제6절 교육훈련의 평가 및 활용
제7절 한국 공무원 교육훈련의 개선방안

제13장 역량평가
제1절 고위공무원단 후보자 역량평가
제2절 과장급 후보자 역량평가

제14장 성과관리제도
제1절 근무성적평정
제2절 근무성적평정의 요건
제3절 근무성적평정의 유형
제4절 근무성적평정제도의 운영
제5절 근무성적평정의 오류
제6절 근무성적평정의 한계
제7절 한국의 성과관리제도

제15장 보수
제1절 보수의 의의
제2절 보수의 특성
제3절 보수의 중요성
제4절 보수관리의 기준
제5절 공무원 보수의 결정요인
제6절 생계비조사와 임금조사
제7절 보수표의 작성

제16장 동기부여
제1절 동기부여의 의의와 중요성
제2절 동기부여 이론
제3절 사기저해 요인
제4절 동기부여 방안

제5편 공무원의 행동규범
제17장 정치적 중립
제1절 정치적 중립의 의의
제2절 정치적 중립의 필요성
제3절 정치적 중립의 확보 방안
제4절 정치적 중립에 대한 비판
제5절 각국의 정치적 중립 실태
제6절 정치적 중립의 확보 요건

제18장 공무원노동조합
제1절 공무원노동조합의 의의
제2절 공무원노동조합의 필요성
제3절 공무원노동조합의 한계
제4절 노동3권의 범위
제5절 주요국가의 공무원 노동기본권

제19장 신분보장과 징계
제1절 신분보장
제2절 징계
제3절 소청심사제도
제4절 고충심사 청구

제20장 공직윤리
제1절 공직윤리의 개념
제2절 공직윤리의 중요성
제3절 공직윤리의 확보제도
제4절 공직윤리의 확보방안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