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인도의 도시화와 한·인도 협력방안

인도의 도시화와 한·인도 협력방안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조충제 趙忠濟 이순철 李淳喆, 저 이정미 李廷美, 저
서명 / 저자사항
인도의 도시화와 한·인도 협력방안 / 조충제, 이순철, 이정미
발행사항
세종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7  
형태사항
193 p.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24 cm
총서사항
전략지역심층연구 = Studies in comprehensive regional strategies ; 17-05
ISBN
9788932261249 9788932261195 (세트)
일반주기
참고문헌: 181-188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42147
005 20180521135451
007 ta
008 180517s2017 sjkad b 000c kor
020 ▼a 9788932261249 ▼g 94320
020 1 ▼a 9788932261195 (세트)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30.9 ▼2 23
085 ▼a 330.9 ▼2 DDCK
090 ▼a 330.9 ▼b 2009z11 ▼c 17-5
100 1 ▼a 조충제 ▼g 趙忠濟 ▼0 AUTH(211009)64416
245 1 0 ▼a 인도의 도시화와 한·인도 협력방안 / ▼d 조충제, ▼e 이순철, ▼e 이정미
246 1 1 ▼a Urbanization in India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India economic cooperation
260 ▼a 세종 : ▼b 대외경제정책연구원, ▼c 2017
300 ▼a 193 p. : ▼b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c 24 cm
440 0 0 ▼a 전략지역심층연구 = ▼x Studies in comprehensive regional strategies ; ▼v 17-05
500 ▼a 참고문헌: 181-188
700 1 ▼a 이순철 ▼g 李淳喆, ▼e▼0 AUTH(211009)10389
700 1 ▼a 이정미 ▼g 李廷美, ▼e▼0 AUTH(211009)135587
900 1 0 ▼a Cho, Choong-jae, ▼e
900 1 0 ▼a Lee, Soon-cheul, ▼e
900 1 0 ▼a Lee, Jung-mi,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기증 청구기호 KIEP 330.9 2009z11 17-5 등록번호 1117915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한계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인도 도시화 과정의 특징과 정책 
1. 인도 도시화 과정 및 전망 
가. 인도의 도시화 과정 
나. 인도 도시화의 특징 
다. 인도 도시화 전망 

2. 인도 도시화 정책과 변화 
가. 인도 도시개발 정책 개관 
나. 인도 도시정책의 변화 
다. 최근 추진 중인 인도 도시개발 계획 

3. 인도 도시화 리스크 
가. 인도 도시개발 리스크 
나. 인도 도시화 문제 

4. 소결 

제3장 인도 도시화의 경제적 파급효과 
1. 인도 도시화와 경제성장 
가. 이론적 배경 
나. 분석모델 및 자료 
다. 분석자료 및 기초통계량 
라. 분석 결과 

2. 인도 도시화의 파급효과 분석 모델 및 자료 
가. 기본요인 분해 
나. 소득요인 분해 
다. 원인별 요인 분해 

3. 도시화와 소비시장 
가. 도시화와 소비시장 변화 
나. 소비시장 전망 

4. 도시화와 에너지시장 
가. 도시화와 에너지 소비 변화 
나. 에너지소비 전망 

5. 도시화와 인프라 건설시장 
가. 도시화와 인프라 건설시장 변화 
나. 인프라 건설시장 전망 

제4장 인도의 도시화와 부문별 협력방안 
1. 소비시장 
가. 식품 
나. 의류 및 건강의료 
다. 자동차 
라. 여가 및 문화생활: 가전 및 화장품 

2. 에너지시장 
3. 인프라 건설시장 
가. 건축 및 인프라 개발 사업 
나. 신도시 개발 사업 

제5장 시사점 및 정책과제 
1. 정책과 시사점 
가. 소비시장 
나. 에너지시장 
다. 인프라 건설시장 

2. 추진방향 
가. 대인도 도시개발 상생협력 강화 
나. 사업 성격별 협력 및 자원 형태의 차별화 
다. 인도 주정부 및 도시별 네트워크 강화 

3. 정책 과제 
가. ''한ㆍ인도 도시개발 협력 위원회'' 설치 
나. EDCF포함한 금융패키지 조기 집행을 위한 태스크포스 구성 
다. 제조업 중심 한국형 신도시 개발사업 제안 및 추진 

참고문헌 
Excutive Summary

관련분야 신착자료

홍제환 (2023)
한국.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국. 거시경제분석과 (2023)
홍기빈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