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42144 | |
005 | 20180521133729 | |
007 | ta | |
008 | 180517s2017 sjk b 000c kor | |
020 | ▼a 9788932280318 ▼g 94320 | |
020 | 1 | ▼a 9788932280271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338.91 ▼2 23 |
085 | ▼a 338.91 ▼2 DDCK | |
090 | ▼a 338.91 ▼b 2011z2 ▼c 17-4 | |
245 | 0 0 | ▼a 스리랑카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개발협력 방안 연구 / ▼d 정지원 [외] |
246 | 1 1 | ▼a Climate change in Sri Lanka : ▼b issues and prospects for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
260 | ▼a 세종 : ▼b 대외경제정책연구원, ▼c 2017 | |
300 | ▼a 183 p. : ; ▼c 24 cm | |
440 | 0 0 | ▼a ODA 정책연구 = ▼x ODA study series ; ▼v 17-04 |
500 | ▼a 공저자: 송지혜, 이상미, 오혜경, 명수정 | |
500 | ▼a 부록수록 | |
504 | ▼a 참고문헌: p. 159-163 | |
700 | 1 | ▼a 정지원 ▼g 鄭智元, ▼e 저 ▼0 AUTH(211009)38931 |
700 | 1 | ▼a 송지혜 ▼g 宋智慧, ▼e 저 ▼0 AUTH(211009)10799 |
700 | 1 | ▼a 이상미 ▼g 李相美, ▼e 저 ▼0 AUTH(211009)31312 |
700 | 1 | ▼a 오혜경 ▼g 吳惠暻, ▼e 저 ▼0 AUTH(211009)63870 |
700 | 1 | ▼a 명수정 ▼g 明殊貞, ▼e 저 ▼0 AUTH(211009)16287 |
900 | 1 0 | ▼a JUNG Jione, ▼e 저 |
900 | 1 0 | ▼a Song, Ji-hei, ▼e 저 |
900 | 1 0 | ▼a Lee, Sang-mi, ▼e 저 |
900 | 1 0 | ▼a Oh, Hye-kyun, ▼e 저 |
900 | 1 0 | ▼a Myeong, Soo-jeong,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기증자료실)/ | 청구기호 KIEP 338.91 2011z2 17-4 | 등록번호 11179152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스리랑카의 국가 현황 및 개발전략 1. 국가 현황과 특징 가. 정치ㆍ사회 나. 경제 2. 국가개발전략 가. 지속가능 국가경제발전정책 나. 스리랑카 공공투자계획 2017~20 다. 스리랑카 비전 2025 제3장 스리랑카 기후변화 영향과 대응전략 1. 기후변화 영향과 취약성 가. 기후변화 전망 나. 분야별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2. 기후변화 관련 주요 정책 가. 국가기후변화정책 나. 국가적응계획 다. 기술수요분석 라. 파리협정 이행계획 3. 요약 및 시사점 제4장 국제사회의 스리랑카 지원 동향 1. 국제사회의 지원 현황 가. ODA 지원 동향 나. 기후변화 관련 지원 현황 2. 주요 공여국 및 다자기구의 지원전략 가. 일본 나. 미국 다. 아시아개발은행(ADB) 라. 세계은행(WB) 마. 유엔개발계획(UNDP) 3. 소결 제5장 한국의 스리랑카 지원성과 및 과제 1. 한ㆍ스리랑카 협력 현황 가. 한ㆍ스리랑카 교역 현황 나. 대스리랑카 투자 현황 다. 인적 교류 2. 스리랑카 ODA 지원 및 성과 가. 규모 및 주요 지원분야 나. 지원전략 다. 기후변화 관련 사업 및 평가결과 제6장 스리랑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협력방안 1. 기본방향 2. 세부 협력방안 가. 분야별 협력방안 나. 협력 유형 다. 성과관리 3. 결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