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41715 | |
005 | 20180627151109 | |
007 | ta | |
008 | 180515s2018 jbkd b 000c kor | |
020 | ▼a 978896338391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31.2524 ▼2 23 |
085 | ▼a 331.2524 ▼2 DDCK | |
090 | ▼a 331.2524 ▼b 2006 ▼c 2017-7 | |
100 | 1 | ▼a 신경혜 ▼0 AUTH(211009)2114 |
245 | 1 0 | ▼a 전망기간 연장을 고려한 중기재정추계모형 재구축 / ▼d 신경혜, ▼e 박성민 |
260 | ▼a 전주 : ▼b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연구원, ▼c 2018 | |
300 | ▼a 163 p. : ▼b 도표 ; ▼c 24 cm | |
490 | 1 0 | ▼a 연구보고서 ; ▼v 2017-07 |
500 | ▼a 부록: 1. 미국OASDI 단기추계와 장기추계 | |
504 | ▼a 참고문헌: p. [157] | |
700 | 1 | ▼a 박성민, ▼e 저 ▼0 AUTH(211009)101302 |
830 | 0 | ▼a 연구보고서 (국민연금연구원) ; ▼v 2017-07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1.2524 2006 2017-7 | Accession No. 11179134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요 약 1 Ⅰ. 서 론 15 Ⅱ. 중기재정추계모형 19 1. 모형의 구조 19 2. 추계방법 21 가. 가입자 전망 21 나. 가입기간별 가입자 전망 22 다. 연금보험료 수입 36 라. 기본연금액 및 반환일시금액 47 마. 수급자 및 급여액 54 바. 기금운용 수익 및 기금 전망 55 3. 중기전망과 장기전망의 차이 56 Ⅲ. 중기재정추계모형 방법론 및 기초율 개선 61 1. 가입자 전망 61 가. 기존 방법론 및 문제점 61 나. 가입자 전망방법 개선 67 2. 임의 및 임의계속가입자 85 3. 가입자 전망 관련 기초율 88 가. 국민연금 가입률 88 나. 지역가입자 비중 89 다. 신규가입자 비중 91 라. 이동률 95 마. 임의가입자의 이동률 103 바. 임의계속가입자의 이동률 106 4. 수급자 전망 관련 기초율 108 가. 기초율 개선의 필요성 108 나. 조기수급률 산출 110 다. 재직수급률 산출 117 라. 장애발생률 산출 124 마. 유유족률 산출 130 Ⅳ. 전망결과 비교 141 1. 가입자 전망 결과 141 2. 수급자 전망 결과 147 Ⅴ. 결론 및 향후과제 153 참고문헌 157 부 록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