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41464 | |
005 | 20180515142704 | |
007 | ta | |
008 | 180515s2016 ulka b 001 kor | |
020 | ▼a 9788968665301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4019807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9/1656 ▼2 23 |
085 | ▼a 616.891656 ▼2 DDCK | |
090 | ▼a 616.891656 ▼b 2016z2 | |
245 | 0 0 | ▼a 사회행동과 미술치료 / ▼d Frances F. Kaplan 엮음 ; ▼e 최한 옮김 |
246 | 1 9 | ▼a Art therapy and social action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6 | |
300 | ▼a xviii, 341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Kaplan, Frances F., ▼e 편 ▼0 AUTH(211009)72859 |
700 | 1 | ▼a 최한, ▼e 역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656 2016z2 | 등록번호 11179118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미술치료 전문가들이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미술치료적 기법과 접근 방법을 어떻게 통합해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흥미로운 탐구를 담은 책. 사회행동가로서 미술치료사는 역량을 확장하여 기타 전문가의 갈등해결, 공격성의 통제, 트라우마의 치유 그리고 공동체 형성을 위한 창의적인 방식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책은 현대사회의 각종 도전과 직접 부딪혀가며 일하는 미술치료사, 심리치료사 및 정신건강 분야의 전문가에게 새로운 기법들과 성공적인 모델을 제시한다.
이 책은 미술치료 전문가들이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미술치료적 기법과 접근 방법을 어떻게 통합해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흥미로운 탐구이다. 사회행동가로서 미술치료사는 역량을 확장하여 기타 전문가의 갈등해결, 공격성의 통제, 트라우마의 치유 그리고 공동체 형성을 위한 창의적인 방식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책은 현대사회의 각종 도전과 직접 부딪혀가며 일하는 미술치료사, 심리치료사 및 정신건강 분야의 전문가에게 새로운 기법들과 성공적인 모델을 제시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Frances F. Kaplan(엮은이)
저명한 미술치료사인 저자는 미국 오리건 주 메릴허스트대학교에서 미술치료 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폭넓은 분야에서 저술활동을 펼쳐왔고 각종 학술대회에서 발표했으며 평화기구에서 근무한 바 있다. Art,Science and Art Therapy의 저자이며 2002~2005년에 미술 치료 : 미국미술치료협회지의 편집장을 역임하였다.
최한(옮긴이)
영국 퀸마가렛대학교 미술심리치료학 석사 차의과학대학교 임상미술치료학 박사 영국 미술치료사협회 공인 미술치료사 전 삼육대학교 미술컨텐츠학과 외래교수 현 인제대학교 스트레스연구소 선임연구원

목차
제 1 부 치료의 확장적 의미
제 1 장 사회변화 도구로서의 미술치료
제 2 장 사회행동가로서 미술치료사의 삶
제 2 부 대안 실천과 비판
제 3 장 노숙인과 가면 만들기 프로젝트
제 4 장 사회행동의 의식적인 증인, 미술치료사
제 3 부 갈등해결
제 5 장 미술을 통한 타협점 찾기
제 6 장 갈등의 선 긋기
제 4 부 분노 및 공격성과 마주하기
제 7 장 분노조절 집단 미술치료
제 8 장 상징적 상호작용과 폭력성 그리고 미술치료
제 9 장 총기폭력과 종이인형 프로젝트
제 5 부 트라우마 치유하기
제 1 0 장 트라우마, 미술, 국제적 사건 사고에 대한 나의 개인적이고 전문가적인 생각
제 1 1 장 테러와 미술치료
제 6 부 공동체 건설
제 1 2 장 미술스튜디오와 강의실의 다원성 및 다양성속에서 통일감 찾기
제 1 3 장 꼭두각시 인형과 가면을 통한 공동체 건설
제 1 4 장 다문화 세상을 위한 미술치료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