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40996 | |
005 | 20180510132939 | |
007 | ta | |
008 | 180509s2017 ggk 001c kor | |
020 | ▼a 9791158662646 ▼g 94080 | |
020 | 1 | ▼a 9788971057766 (세트) |
035 | ▼a (KERIS)BIB000014778997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9 | |
041 | 1 | ▼a kor ▼a chi ▼h chi |
082 | 0 4 | ▼a 352.650951902 ▼2 23 |
085 | ▼a 352.65095305 ▼2 DDCK | |
090 | ▼a 352.65095305 ▼b 2017 | |
245 | 0 0 | ▼a 조선시대 시권(試券) : ▼b 정서와 역주 / ▼d 김학수 외 역주 |
246 | 3 | ▼a 조선시대 시권 |
260 | ▼a 성남 : ▼b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c 2017 | |
300 | ▼a 764 p. ; ▼c 27 cm | |
440 | 0 0 | ▼a AKS 고전자료총서 ; ▼v 17 |
500 | ▼a 역주: 김덕수, 김동건, 김동석, 김정민, 김지현, 노인환, 문숙자, 박성호, 백영빈, 신익철, 심재우, 안장리, 이승용, 이영준, 이태희, 전재동, 정수환, 정순우, 조융희, 최진덕, 한도현 | |
500 | ▼a 색인수록 | |
546 | ▼a 一部 韓漢對譯 | |
700 | 1 | ▼a 김학수, ▼e 역주 ▼0 AUTH(211009)43593 |
700 | 1 | ▼a 김동건, ▼e 역주 ▼0 AUTH(211009)77096 |
700 | 1 | ▼a 김동석, ▼e 역주 ▼0 AUTH(211009)988 |
700 | 1 | ▼a 김정민, ▼e 역주 ▼0 AUTH(211009)41079 |
700 | 1 | ▼a 김지현, ▼e 역주 ▼0 AUTH(211009)139269 |
700 | 1 | ▼a 노인환, ▼e 역주 ▼0 AUTH(211009)20127 |
700 | 1 | ▼a 문숙자, ▼e 역주 ▼0 AUTH(211009)43594 |
700 | 1 | ▼a 박성호, ▼e 역주 ▼0 AUTH(211009)42729 |
700 | 1 | ▼a 백영빈, ▼e 역주 ▼0 AUTH(211009)11470 |
700 | 1 | ▼a 신익철, ▼e 역주 ▼0 AUTH(211009)13136 |
700 | 1 | ▼a 심재우, ▼e 역주 ▼0 AUTH(211009)55343 |
700 | 1 | ▼a 안장리, ▼e 역주 ▼0 AUTH(211009)88508 |
700 | 1 | ▼a 이승용, ▼e 역주 |
700 | 1 | ▼a 이영준, ▼e 역주 |
700 | 1 | ▼a 이태희, ▼e 역주 ▼0 AUTH(211009)122787 |
700 | 1 | ▼a 전재동, ▼e 역주 |
700 | 1 | ▼a 정수환, ▼e 역주 ▼0 AUTH(211009)29449 |
700 | 1 | ▼a 정순우, ▼e 역주 ▼0 AUTH(211009)58491 |
700 | 1 | ▼a 조융희, ▼e 역주 ▼0 AUTH(211009)35828 |
700 | 1 | ▼a 최진덕, ▼e 역주 ▼0 AUTH(211009)32502 |
700 | 1 | ▼a 한도현, ▼e 역주 ▼0 AUTH(211009)31677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65095305 2017 | 등록번호 1117909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AKS 고전자료총서 17권. 과거 시험 답안지인 시권은 예비 관료를 향해 국가가 던지는 질문에 대한 답인 동시에 유교 지식인인 응시자의 지식과 식견이 종횡으로 엮어져 있는 지적 대응이다. 시권은 과거가 실시되던 당시의 정치적 고충과 국정현안이 반영된 문제에 답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국가경영을 위한 지적 총의의 공식적 수렴이라도 할 수 있다.
특히 신분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능력사회로의 전환을 끊임없이 추구한 조선 사회의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나는 부분이기도 하다. 고려 사회가 혈통에 따라 개인의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여러 특권과 제약을 가했던 신라의 골품제를 혁파하여 뿌리 깊은 기득권의 아성을 무너뜨렸다면, 조선 사회는 기득권의 자리를 세습시켰던 고려의 음서제를 대폭 축소시켜 한국사회의 근대성을 앞당겼다.
과거는 양반은 물론 납세의 의무를 지닌 양인들도 응시할 수 있었고, 같은 양반이라도 과거를 통해 출사한 자와 그렇지 못한 자의 사회적 지위가 달라질 정도로 개인의 능력을 중시한 제도였던 것이다.
이 책은 고문서로 전하는 각종의 시권류 67종, 문집에 수록된 대책류 23종을 합해 총 90종의 시권을 역주하였다. 여기에는 국가경영의 일선에서 활약했던 저명한 이들의 시권을 비롯하여 박세당.임영.이익상.조덕순.안극효 등의 인물이 소과 또는 대과에서 장원 합격한 시권도 포함되어 있다.
과거(科擧) 시험 답안지인 시권(試券)은 예비 관료를 향해 국가가 던지는 질문에 대한 답인 동시에 유교 지식인인 응시자의 지식과 식견이 종횡으로 엮어져 있는 지적 대응이다. 시권은 과거가 실시되던 당시의 정치적 고충과 국정현안이 반영된 문제에 답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국가경영을 위한 지적 총의(總意)의 공식적 수렴이라도 할 수 있다. 특히 신분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능력사회로의 전환을 끊임없이 추구한 조선 사회의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나는 부분이기도 하다. 고려 사회가 혈통에 따라 개인의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여러 특권과 제약을 가했던 신라의 골품제(骨品制)를 혁파하여 뿌리 깊은 기득권의 아성을 무너뜨렸다면, 조선 사회는 기득권의 자리를 세습시켰던 고려의 음서제(蔭敍制)를 대폭 축소시켜 한국사회의 근대성을 앞당겼다. 과거는 양반은 물론 납세의 의무를 지닌 양인들도 응시할 수 있었고, 같은 양반이라도 과거를 통해 출사한 자와 그렇지 못한 자의 사회적 지위가 달라질 정도로 개인의 능력을 중시한 제도였던 것이다.
이 책은 고문서로 전하는 각종의 시권류 67종, 문집에 수록된 대책류 23종을 합해 총 90종의 시권을 역주하였다. 여기에는 국가경영의 일선에서 활약했던 저명한 이들의 시권을 비롯하여 박세당(朴世堂)·임영(林泳)·이익상(李翊相)·조덕순(趙德純)·안극효(安克孝) 등의 인물이 소과 또는 대과에서 장원 합격한 시권도 포함되어 있다.
역주
김학수·김덕수·김동건·김동석·김정민·김지현·노인환·문숙자·
박성호·백영빈·신익철·심재우·안장리·이승용·이영준·이태희·
전재동·정수환·정순우·조융희·최진덕·한도현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학수(옮긴이)
경상북도 영천에서 태어나 인하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로 조선시대 지식문화사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끝내 세상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허주 이종악의 삶과 풍류』, 『구미 구암 김취문 종가』, 『김천 정양공 이숙기 종가』, 『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공저), 『조선사회 이렇게 본다』(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제주지역 유교 지식(知識)·문화(文化)의 수용 양상과 ‘제주학풍(濟州學風)’」, 「17세기 영남학파 연구」, 「조선중기 한강학파의 등장과 전개」,「존주론의 작동과 정치이념적 家의 출현」, 「鄭經世·李埈의 穌齋觀」 등 다수가 있다.

목차
책머리에 일러두기 제1부 고문서로 전래된 시권 1장 생원시 시권 김부의 생원시 시권(1555) 김부륜 생원시 시권(1555) 안담수 생원시 시권(1582) 김시주 생원시 시권(1609) 송시열 생원시 시권(1633) 임영 생원시 시권(1666) 권이진 생원시 시권(1693) 이수담 생원시 시권(1699) 류원현 생원시 시권(1711) 안이룡 생원시 시권(1801) 안윤직 생원시 시권(1814) 2장 진사시 시권 조광조 진사시 시권(1510) 김성일 진사시 시권(1564) 윤선도 진사시 시권(1612) 최휘지 진사시 시권(1624) 이익상 진사시 시권(1651) 장만기 진사시 시권(1666) 김수종 진사시 시권(1710) 이기원 진사시 시권(1873) 김약제 진사시 시권(1885) 정의묵 진사시 시권(1879) 3장 문과 시권 * 대책(對策) 권벌 문과 시권(1507): 선시선종(善始善終) 김연 문과 시권(1519): 치국(治國) 안담수 문과 시권(1603): 안위치란(安危治亂) 이함 문과 시권(1609): 신종우시(愼終于始) 김시주 문과 시권(1613): 관제(官制) 장응일 문과 시권(1629): 체천도(體天道) 윤선도 문과 시권(1633): 육경종지(六經宗旨) 김명열 문과 시권(1651): 위정(爲政) 이해 문과 시권(1657): 구심(求心) 조덕순 문과 시권(1690): 치도(治盜) 김창석 문과 시권(1690): 치도(治盜) 권이진 문과 시권(1694): 권경편의(權經便宜) 김면주 문과 시권(1776): 중(中) 정윤우 문과 시권(1888): 환곡(還穀) * 부(賦) 임영 문과 시권(1671) 이후영 문과 시권(1684) 김성탁 문과 시권(1735) 이상정 문과 시권(1735) 김유기 문과 시권(1787) 류상조 문과 시권(1794) 박승수 문과 시권(1845) 김준 문과 시권(1852) 정학묵 문과 시권(1861) 김약제 문과 시권(1886) 김상덕 문과 시권(1888) 송종오 문과 시권(1888) * 시(詩) 신종구 문과 시권(1870) * 명(銘) 안극효 문과 시권(1741) 권영수 문과 시권(1844) 오경리 문과 시권(1849) 정기상 문과 시권(1874) * 전(箋) 김면주 문과 시권(1776) * 표(表) ㆍ 김용 문과 시권(1590) 황위 문과 시권(1638) 김방걸 문과 시권(1660) 박세당 문과 시권(1660) 유원성 문과 시권(1882) 정의묵 문과 시권(1885) * 송(頌) 박종길 문과 시권(1827) * 기타 장응일 문과(초시) 시권(1629) 박종길 문과(초시) 시권(1827) 유원성 문과(초시) 시권(1882) 4장 기타 시권 이황 향시 시권 1(1527) 이황 향시 시권 2(1527) 정동신 황감제 시권(1783) 정약용 친시 시권(1790): 오객기(五客記) 제2부 문집에 수록된 대책문 이곡 대책(고려 말): 재용호구(財用戶口) 이곡 대책(1320): 정유속(政由俗) 정몽주 대책(1360): 인재(人材) 하위지 대책(1438): 왕정손익(王政損益) 김담 대책(1447): 법립폐생(法立弊生) 성삼문 대책(1447): 법립폐생(法立弊生) 채수 대책(1468): 강유지도(?柔之道) 민이 대책(1486): 변무(邊務) 김일손 대책(1486): 중흥대책(中興對策) 이목 대책(1495): 인재득실(人才得失) 윤장 대책(1497): 안민정속(安民正俗) 이자 대책(1504): 보상책(輔相策) 김구 대책(1513): 주화(酒禍) 조광조 대책(1515): 치도(治道) 이이 대책(1558): 천도인사(天道人事) 임숙영 대책(1611): 시조(時措) 오달제 대책(1633): 전(錢) 이원정 대책(1651): 배양인재(培養人才) 조창기 대책(1660): 부강(富?) 정약용 대책(1790): 인재(人才) 유득공 대책(1783): 귤(橘) 김윤식 대책(1862): 삼정(三政) 손명래 대책(미상): 일본(日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