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39703 | |
005 | 20200326144152 | |
007 | ta | |
008 | 180417s2018 ulkdk b 001c kor | |
020 | ▼a 9791188836024 ▼g 93350 | |
035 | ▼a (KERIS)BIB000014775158 | |
040 | ▼a 241018 ▼c 241018 ▼d 211009 | |
082 | 0 4 | ▼a 351 ▼2 23 |
085 | ▼a 351 ▼2 DDCK | |
090 | ▼a 351 ▼b 2018z1 | |
245 | 2 0 | ▼a (쉽게 쓴) 행정학 = ▼x Public administration / ▼d 주운현 [외] |
260 | ▼a 서울 : ▼b 윤성사, ▼c 2018 ▼g (2020 5쇄) | |
300 | ▼a 429 p. : ▼b 도표, 서식 ; ▼c 25 cm | |
440 | 0 0 | ▼a 윤성사 ; ▼v 012 |
500 | ▼a 공저자: 김형수, 임정빈, 정원희, 최유진 | |
504 | ▼a 참고 문헌(p. 405-416)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주운현 ▼g 朱雲鉉, ▼e 저 ▼0 AUTH(211009)84075 |
700 | 1 | ▼a 김형수 ▼g 金亨洙, ▼e 저 ▼0 AUTH(211009)61000 |
700 | 1 | ▼a 임정빈 ▼g 任正彬, ▼e 저 ▼0 AUTH(211009)69334 |
700 | 1 | ▼a 정원희 ▼g 鄭元熙, ▼e 저 ▼0 AUTH(211009)63846 |
700 | 1 | ▼a 최유진 ▼g 崔維眞, ▼e 저 ▼0 AUTH(211009)5234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1 2018z1 | Accession No. 11178988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1 2018z1 | Accession No. 11182663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최유진(지은이)
Cleveland State University에서 도시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을 거쳐 현재 강남대학교 정경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 논문으로는 “Politicization of a disaster and victim blaming: Analysis of the Sewol ferry case in Korea”(2022), “협동조합이 사회적기업의 입지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 분석: 일반화 선형 모형을 활용한 협동조합의 구분별, 유형별, 업종별 영향 추정”(2021), “지방재정의 특성과 사회적기업의 활성화: 음이항 회귀모형을 활용한 시군구 수준의 분석”(2021), “사회적기업의 성과 요인 분석: 외부자원의 효과와 복합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2021), “사회적기업의 활성화 조건에 관한 실증 분석”(2020) 등이 있고, 『지방자치의 이해』(2015), 『R을 활용한 계량분석 강의노트』(2017), 『도시, 다시 기회를 말하다 : 쇠퇴하는 도시의 일곱 가지 난제 풀이』(2017), 『쉽게 쓴 행정학』(2018), 『도시, 다시 살다』(2021) 등의 저서가 있다(echoi0816@icloud.com).
주운현(지은이)
건국대학교에서 행정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건양대학교 국방경찰행정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지방재정, 지방행정, 환경행정 등이며, 최근 주요 논문으로는 “지방재정 환경변화와 보통교부세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구구조 및 경제여건 변화를 중심으로”(2022), “광역-기초지방자치단체 간 사무이양배분원칙의 재정립에 관한 연구”(2021), “지방자치단체 공공도서관 수요 추정 개선방안: 중력모형을 중심으로”(2021),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지출 영향요인: 공간패널회귀분석을 중심으로”(2021), 저서로 쉽게 쓴 행정학 (2018), 『지방자치와 행정』(2021) 등이 있다(joowh@konyang.ac.kr).
김형수(지은이)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단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문화행정과 문화정책, 정책공동체, 동북아문화공동체등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마르티네스의 상호작용 모델을 활용한 남북접경지역의 평화적 활용 방안”(2017), “다문화정책공동체’의 효율적 운영 방안”(2016),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외교 활성화 방안”(2016), “한민족 통일 개념의 재구성 논의 : 한민족 이산과 한국 사회 다문화현상의 특징을 중심으로(2014),” “ '창의적 문화콘텐츠관광' 기반 조성을 위한 정책공동체 모형”(2013) 등이 있다(songmook@dankook.ac.kr).
임정빈(지은이)
건국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성결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지방자치, 갈등관리, e-거버넌스, 조직성과 등이며, 최근 주요 논문으로는 “사회서비스 공공성 확대를 위한 사회서비스원 설립 인식차이 분석”(2019), “출입국관리공무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2018), “지방의회 의원의 집행부 감시역량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7), “SNS는 정치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정치정보, 신뢰, 지지의 전환 및 참여효능감을 중심으로”(2016) 등이 있고, 저서로는 『쉽게 쓴 행정학』(2018, 공저) 등이 있다.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각종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지방자치학회 부회장, 한국정책과학학회 부회장, 경인행정학회 부회장, 한국정책과학학회 회장을 역임했다(jbyim@sungkyul.ac.kr).
정원희(지은이)
경희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건양대학교 국방경찰행정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인사, 조직, 과학기술정책, 기후변화, 갈등 등이며, 최근 주요 논문으로는 “Socio-ecological resilience of Oil spill: Focusing on the hebei spirit oil spill on the west coast of Korea”(2016),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K 대학교를 중심으로”(2017), “공공재로서의 안전과 안전복지 강화 방안: 충청남도를 중심으로”(2017), “IPA 매트릭스를 활용한 국립관리공단의 목표 및 과제 우선순위 분석: 보호지역 관리에 대한 TBL 지속가능성이론을 중심으로”(2017), 저서로 『쉽게 쓴 행정학』(2017) 등이 있다(chung0405@konyang.ac.kr).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장 행정의 이해 제1절 행정이란 무엇인가? 1. 행정의 개념 2. 행정학의 주요 분야 제2절 정부의 구성과 행정이 하는 일 1. 정부의 구성 2. 정부의 역할과 기능 3. 행정이 하는 일: 공적 사무 제3절 행정에 참여하는 사람들 1. 행정의 참여자 2. 내부 참여자 3. 외부 참여자 제2장 행정과 환경: 행정학의 접근틀 제1절 행정을 둘러싼 환경 1. 행정환경의 시스템적 접근 2. 행정환경의 구성 요소 제2절 행정환경의 변화 1. 사회 구조의 변화와 행정: 저출산 및 고령화사회 2. 미래의 혁명 : 4차 산업혁명 제3장 행정학의 발달: 행정이론 제1절 행정과 이론의 이해 1. 행정에 대한 이해 2. 이론에 대한 이해 제2절 행정이론의 변화 과정 1. 건국부터 개발 초기까지의 행정이론 2. 개발 연대 중기부터 민주화 이전까지의 행정이론 3. 민주화 이후의 행정이론 4. 2010년 이후의 행정이론 제3절 행정이론의 주요 내용 1. 역사적 측면의 행정이론 2. 분석적 측면의 행정이론 제4장 행정과 가치 제1절 행정가치의 개념과 의의 1. 행정가치의 개념과 특징 2. 행정가치의 특징과 의의 제2절 행정가치의 유형 1. 민간 부문의 가치와 행정가치의 비교 2. 커나한의 분류 3. 본질적 가치와 수단적 가치 제3절 행정가치의 적용 1. 행정가치와 조직 개편 2. 행정가치와 정부 평가 제5장 행정과 정책 제1절 정책이론의 기초 1. 정책의 개념과 정책 연구의 특징 2. 정책의 유형 분류 3. 국가와 정책, 그리고 권력 관계 제2절 정책 과정의 이해 1. 정책 과정에 대한 견해 2. 정책 과정의 참여자 3. 정책 과정과 정책 네트워크 제3절 정책의제 1. 정책 문제와 정책의 창 2. 정책의제의 의미와 영향 요인 3. 정책의제 형성에 관한 이론모형 제4절 정책 결정과 분석 1. 합리적 의사 결정과 정책 결정 2. 정책 결정 과정과 정책 결정의 기준 3. 정책 결정에 관한 이론모형 4. 정책분석 제5절 정책 집행 1. 정책 집행의 의의와 영향 요인 2. 정책 집행의 이론모형과 정책 집행 유형 제6절 정책 평가 1. 정책 평가의 의미와 기준 2. 우리나라의 평가 제도 : 정부업무평가 기본법 제6장 행정과 조직 제1절 조직이론 1. 조직의 의의 2 조직의 유형 3. 조직이론의 변천과 발달 제2절 조직 구조와 환경 1. 조직의 원리와 구조 2. 조직 구조의 설계 3. 조직환경 4. 조직과 환경과의 상호 작용 제3절 조직관리 1. 동기부여 2. 조직과정관리 3. 조직문화 제4절 조직혁신 1. 조직혁신 2. 조직발전 3. 지식관리 제7장 행정과 인사 제1절 인사행정의 기초이론 1. 인사행정의 의의와 특성 2. 인사행정 제도의 변천과 발달 3. 인사기관 제2절 공직 분류 1. 직위분류제와 계급제 2. 공무원의 종류 제3절 인적 자원관리 1. 임용관리 2. 역량관리 3. 성과관리 4. 보수관리 제4절 공무원의 윤리 1. 공직윤리 2. 공직부패 3. 공무원노동조합 제8장 행정과 예산 제1절 재정의 이론적 논의 1. 공공재정의 역할 2. 공공재정의 기능 제2절 예산의 개념과 원칙 1. 예산의 개념 2. 예산의 원칙 3. 예산의 구성과 규모 4. 예산의 종류와 분류 제3절 예산이론과 예산 제도의 변천 1. 예산이론 2. 예산 제도 3. 새로운 성과주의 예산 제도 제4절 예산 과정과 개혁 1. 예산 과정 2. 예산개혁 제9장 행정과 지방자치 제1절 지방자치의 의의 1. 지방자치의 개념과 목적 2. 지방자치의 두 가지 계보 3. 지방자치와 민주성, 그리고 효율성 4. 지방자치의 계층과 구역 5. 지방자치의 기관 구성 제2절 지방자치단체와 주민 1. 지방자치와 주민의 권한과 의무 2. 주민 참여 3. 지방자치단체의 권력 형성 제3절 지방자치단체와 자치권 1. 자치권의 개념과 관점 2. 자치권의 유형과 한계 3. 지방사무의 구분과 사무의 배분 제4절 지방자치단체와 재정 1. 지방재정의 개념과 구분 2. 지방수입의 유형과 구조, 그리고 현황 3. 지출 구조와 현황 4. 재정자립도와 재정자주도 제5절 정부 간 관계와 광역행정 1. 정부간 관계의 개념과 의의 2. 정부간 관계에 관한 이론적 모형 3. 광역행정 제10장 행정과 공기업 제1절 공기업의 의의 1. 공기업과 사기업의 구분 2. 공기업의 장단점 3. 공기업의 특징 4. 공기업의 범위 제2절 공기업의 분류와 기능 1. 공기업의 분류 2. 공기업의 기능 3. 공기업 설립 동기 4. 공기업의 공공성과 기업성 제3절 공기업 민영화 논쟁 1. 민영화 찬성 논리 2. 민영화 반대 논리 제4절 공기업의 채용(NCS) 제11장 행정과 미래 제1절 미래의 행정가치 제2절 미래의 정책 제3절 미래의 조직 제4절 미래의 인사행정 제5절 미래의 재정 제6절 미래의 지방자치 제7절 미래의 공기업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