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39686 | |
005 | 20180418135516 | |
007 | ta | |
008 | 180417s2015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84115200 ▼g 04810 | |
020 | 1 | ▼a 9788984113503 (세트) |
035 | ▼a (KERIS)BIB000013768023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1 | ▼a 001.3 ▼a 895.7109 ▼2 23 |
085 | ▼a 001.3 ▼2 DDCK | |
090 | ▼a 001.3 ▼b 2009z1 ▼c 29 | |
100 | 1 | ▼a 김흥규 ▼g 金興圭, ▼d 1948- ▼0 AUTH(211009)139840 |
245 | 1 0 | ▼a 사설시조의 세계 : ▼b 범속한 삶의 만인보 / ▼d 김흥규 지음 |
260 | ▼a 서울 : ▼b 세창출판사, ▼c 2015 | |
300 | ▼a 307 p. : ▼b 천연색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석학人文강좌 ; ▼v 29 |
504 | ▼a 참고문헌(p. 297-301)과 색인수록 | |
536 | ▼a 교육부 주최, 한국연구재단 주관 '석학과 함께하는 인문강좌'의 지원을 받아 출판되었음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1.3 2009z1 29 | 등록번호 111789860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3-10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석학인문강좌 29권. 종래의 사설시조 연구는 흔히 담당층과 세계관, 미의식의 긴밀한 대응을 전제로 역사적 설명의 틀을 엮는 데 몰두해 왔다. 그리하여 작품은 모종의 발생론적 인과성을 예시하고 정당화하는 재료로 자주 동원된 반면, 그것이 어떤 인간학적 성찰과 울림을 함축하고 있는지 조명받을 기회를 충분히 얻지 못했다.
이 책은 그렇게 오랫동안 지속된 도식적 접근과 독해 방법으로부터 사설시조를 구출하려는 근본적 재해석의 작업이다. 따라서 여기에 제시된 것은 학계의 공통담론이 아니라 지금까지의 관행적 독법에 대한 전면적 도전이며 이설(異說)이다. 그러면서도 이 책은 전문가적 차원의 논란보다 일반 교양인들에게 호소하는 독법과 인간 이해의 차원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또 풀어 가고자 했다.
종래의 사설시조 연구는 흔히 담당층과 세계관, 미의식의 긴밀한 대응을 전제로 역사적 설명의 틀을 엮는 데 몰두해 왔다. 그리하여 작품은 모종의 발생론적 인과성을 예시하고 정당화하는 재료로 자주 동원된 반면, 그것이 어떤 인간학적 성찰과 울림을 함축하고 있는지 조명받을 기회를 충분히 얻지 못했다.
이 책은 그렇게 오랫동안 지속된 도식적 접근과 독해 방법으로부터 사설시조를 구출하려는 근본적 재해석의 작업이다. 따라서 여기에 제시된 것은 학계의 공통담론이 아니라 지금까지의 관행적 독법에 대한 전면적 도전이며 이설(異說)이다. 그러면서도 이 책은 전문가적 차원의 논란보다 일반 교양인들에게 호소하는 독법과 인간 이해의 차원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또 풀어 가고자 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_ 책머리에ㆍ5 제1장 | 사설시조의 새로운 이해ㆍ11 1. 새로운 독법의 필요성ㆍ13 2. 사설시조의 관심 영역ㆍ24 3. 낮은 세계를 향한 수평적 시선ㆍ33 4. 인접 예술의 양상들ㆍ46 |참조| 사설시조 개관ㆍ62 제2장 | 욕망의 인간학ㆍ71 1. 사설시조의 인간관ㆍ73 2. 욕망의 위계ㆍ90 3. 욕망의 곤경, 그리고 여성ㆍ103 제3장 | 그리움과 기다림ㆍ123 1. 불안한 사랑ㆍ125 2. 이별의 화법ㆍ143 3. 기다림의 방식ㆍ154 제4장 | 정념과 애욕의 희극ㆍ175 1. 욕망의 희극적 전이ㆍ177 2. 위반의 국면들ㆍ189 3. 욕망의 보편적 온도ㆍ202 제5장 | 사건성의 조명ㆍ225 1. 사건성의 개념ㆍ227 2. 18세기 풍속화와 사건성ㆍ240 3. 사설시조의 사건성과 욕망의 희극ㆍ261 제6장 | 맺는 말: 희극적 성찰과 연민ㆍ277 _ 참고문헌ㆍ297 _ 찾아보기ㆍ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