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39435 | |
005 | 20180413141938 | |
007 | ta | |
008 | 180412s2017 ulka 001c kor | |
020 | ▼a 9791187010777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4475195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82 | 0 4 | ▼a 375 ▼2 23 |
085 | ▼a 375 ▼2 DDCK | |
090 | ▼a 375 ▼b 2017z6 | |
100 | 1 | ▼a 김대석 ▼0 AUTH(211009)88342 |
245 | 2 0 | ▼a (쉽게 풀어 쓴) 교육과정과 수업 = ▼x Curriculum and class / ▼d 김대석 |
260 | ▼a 서울 : ▼b 박영story, ▼c 2017 | |
300 | ▼a xiv, 243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색인수록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5 2017z6 | Accession No. 11178974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대학 학부 수준의 학생들이 교직 이론과목인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서양의 학교 교육과정사를 중심으로 고대부터 근대까지의 학교 교육과정의 역사적 발전을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교육과정 이해의 토대를 이루는 개념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의 개념, 어원, 질문, 정의, 종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관점(혹은 유형)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실제적인 문제로서 교육과정의 개발 논리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스펜서의 교육이론부터 최근의 교육과정 개발이론까지 다양한 교육과정 개발 논리를 검토하였다. 5장에서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이해를 위해 해방 후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개정된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주요한 특징을 분석하였다.
머리말
목수는 공구(工具)가 담긴 공구통(工具桶)을 들고 공사현장에 가고, 군인은 무기를 갖고 전장에 가듯이 학생은 학력(學力)이라는 공구를 갖고 사회에 진출한다. 삶의 현장인 사회는 예측불허의 변수가 많고 복잡다양하다. 이러한 현장에서 학생들은 학교를 졸업하면서 갖고 나온 학력이라는 공구를 가지고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간다. 공구통 안에는 12년간(혹은 16년간) 학교에서 배운 교과지식들, 익힌 기능들, 경험들이 들어 있다. 목수는 작업현장에서 여러 공구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집을 짓거나, 부족한 공구를 만들어 쓴다. 마찬가지로 학생은 학교에서 배운 모든 지식, 기능, 경험들을 활용하거나 또는 새로이 창조하여 현상을 분석하고 대응한다. 그런데 학생들이 학교 교육과정에서 배운 지식과 경험들이 그들에게 유의미하지 않고 또 그것들을 이용하여 사회문제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다면, 큰 문제일 것이다. 학생들이 학교에서 초중고 12년 동안 공부하는 수업시간은 총 12,262시간이다[초교(5428)+중학교(3366)+고교(3468)=12,262시간]. 이 시간은 제도적으로 정해진 최소한의 필수 시간이다.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학교가 총 수업시간 수 이상을 수업한다. 여기에 학원 등 사교육에서 공부하는 시간과 가정에서 예·복습, 자습 등으로 공부하는 시간을 포함하면 훨씬 더 많은 시간을 공부에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교육과정이 학생에게 의미가 있어야 한다는 것은 자명하다. 우리 사회의 병폐 중 하나는 학력(學力)보다는 학력(學歷)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는 학벌중시이다. 즉, 학생이 졸업할 때 갖고 나오는 공구통(학력통)의 크기만 보고 있다. 학력통 안에 든 지식과 경험의 질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학력통의 외적인 크기가 학생역량의 기준이 된다. 지식과 경험의 질을 고려한다는 것은 해당 지식이나 경험들을 활용하여 사회나 현장에 잘 적응하고 대처하며, 현상을 유의미하게 분석하고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보는 것이다. 그런데 현실은 공구통에 담긴 공구들이 아니라, 공구통의 크기만 보고 있다. 고졸보다 대졸의 공구통이 더 커 보이고, 국내박사보다 해외박사의 공구통이 더 커 보인다. 이유는 그 안에 든 지식과 경험들이 더 많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술자가 가진 공구통의 크기와 현장 실무 능력이 별개이듯이 학력(學歷)과 그 학생의 학력(學力)은 별개일 것이다. 따라서 우리 교육자들은 학교 교육과정이 유의미하도록 하여 학력(學歷)이 학력(學力)과 일치되도록 하는 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아무쪼록 이 책이 현장의 교육자와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학교 교육과정이 유의미하도록 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랄뿐이다. 이 책의 목적은 대학 학부수준의 학생들이 교직이론과목인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서양의 학교 교육과정사를 중심으로 고대부터 근대까지의 학교 교육과정의 역사적 발전을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교육과정 이해의 토대를 이루는 개념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의 개념, 어원, 질문, 정의, 종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관점(혹은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과중심 교육과정부터 재개념주의 교육과정까지 다양한 관점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실제적인 문제로서 교육과정의 개발 논리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스펜서의 교육이론부터 최근의 교육과정 개발이론까지 다양한 교육과정 개발 논리를 검토하였다. 5장에서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이해를 위해 해방 후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개정된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주요한 특징을 분석하였다. 저자의 부족함으로 인해 이 책의 내용에 오탈자, 오류 등이 있을 것으로 추정이 된다. 부족한 부분들은 앞으로 계속 보완할 예정이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많은 분들의 은혜를 입었다. 먼저, 부족한 저자에게 기회와 능력을 주신 하나님께 한없는 감사를 드린다. 또한 저자에게 교육과정학이라는 블루오션을 안내하여 주신 고려대학교의 홍후조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원고의 검토, 수정 등에 도움을 준 제자 성정민 박사와 박우식 박사에게도 감사를 드린다. 출판을 허락하여 주신 박영스토리 상무님에게 감사를 드린다. 마지막으로 시간 부족을 핑계로 남편이자 아버지로서의 시간에 인색했던 저자를 항상 응원해주는 아내와 두 아이에게 감사하고 미안할 따름이다.
2017년 2월
공주 금강을 보면서 저자 씀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대석(지은이)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공주대 대학원 AI융합교육학과 학과장(현) 공주대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 전공주임(전) [저서 및 논문] [쉽게 풀어 쓴 교육과정과 수업의 이해와 실천](3판)(박영사) [실패없는 아이: 모두가 행복한 학급 만들기](박영사) [아이들의 눈으로 본 학교와 교실 이야기: 잠재적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박영사) [아이들의 눈으로 본 수업 이야기: 좋은 수업의 이론과 실제](박영사) [Systematic review of virtual reality-based education research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 [좋은 수업의 의미와 특성 분석] [사회정서학습의 중요성 인식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비교연구]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in aclassroom] [좋은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결연 탐구] [인지.정서통합계발 수업의 설계원리 및 방법 탐구] [협동학습과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의 관계분석] [학교 교육과정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학교 과학교육과정이 과학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 측정] 외 다수

Table of Contents
chapter 1 학교 교육과정의 역사적 기초 chapter 2 교육과정의 이해 chapter 3 교육과정의 관점(유형) chapter 4 교육과정 개발 이론 chapter 5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