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투표행태의 이해 = 개정판

투표행태의 이해 = 개정판 (4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전용주, 저 임성학, 저 이동윤, 저 최준영, 저 한정택, 저 엄기홍, 저 이소영, 저 조진만, 저 조성대, 저
서명 / 저자사항
투표행태의 이해 = Introduction to voting behavior / 전용주 [외]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7  
형태사항
282 p. : 도표 ; 23 cm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1959
ISBN
9788946059597 9788946062887
일반주기
공저자: 임성학, 이동윤, 최준영, 한정택, 엄기홍, 이소영, 조진만, 조성대  
서지주기
참고문헌(p. 257-279)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38670
005 20220126090734
007 ta
008 180405s2017 ggkd b 001c kor
020 ▼a 9788946059597 ▼g 93340
020 ▼a 9788946062887 ▼g 93340
035 ▼a (KERIS)BIB000014465875
040 ▼a 21105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24.62 ▼2 23
085 ▼a 324.62 ▼2 DDCK
090 ▼a 324.62 ▼b 2017
245 0 0 ▼a 투표행태의 이해 = ▼x Introduction to voting behavior / ▼d 전용주 [외]
250 ▼a 개정판
260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17
300 ▼a 282 p. : ▼b 도표 ; ▼c 23 cm
440 0 0 ▼a 한울아카데미 ; ▼v 1959
500 ▼a 공저자: 임성학, 이동윤, 최준영, 한정택, 엄기홍, 이소영, 조진만, 조성대
504 ▼a 참고문헌(p. 257-279)과 색인수록
700 1 ▼a 전용주, ▼e▼0 AUTH(211009)99112
700 1 ▼a 임성학, ▼e▼0 AUTH(211009)140547
700 1 ▼a 이동윤, ▼e
700 1 ▼a 최준영, ▼e▼0 AUTH(211009)71082
700 1 ▼a 한정택, ▼e▼0 AUTH(211009)71083
700 1 ▼a 엄기홍, ▼e▼0 AUTH(211009)84339
700 1 ▼a 이소영, ▼e▼0 AUTH(211009)29174
700 1 ▼a 조진만, ▼e▼0 AUTH(211009)60871
700 1 ▼a 조성대, ▼e▼0 AUTH(211009)64978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4.62 2017 등록번호 11178915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5-30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4.62 2017 등록번호 111857668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07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에서 ‘투표행태’를 다룬 ‘최초의 교과서’이다. 선거와 투표는 정치학에서 비교적 발전된 분야로 인정받는데도 한국에서 이를 소개한 교과서를 찾기는 어려웠다. 이 책은 투표행태 분석과 관련한 여러 이론을 정리·소개하며, 이를 한국 실정에 적용해 이론의 적합성을 비판적으로 살핀다.

‘집단적 노력’의 산물로 그간 선거와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성과를 쌓아온 학자들이 각 장을 맡아 집필했다. 대학에서 이 주제와 관련해 강의해온 저자들의 경험이 책의 내용과 구성에 녹아들어 있어, 독자는 쉽게 투표행태 이론을 접할 수 있을 것이다.

누가, 왜, 어떻게 투표하는가?
투표행태에 관한 국내 최초의 교과서


다가올 대통령선거에서 유권자들은 무엇을 기준으로 투표를 결정할까? 각 후보가 내놓은 정책을 비교하거나 국정농단 사태에 대해 유권자 자신과 비슷한 입장을 취하는 후보를 탐색할 것이다. 또한 가족이나 동료가 지지하는 후보를 똑같이 선택할 수도 있고, 투표에 아예 참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처럼 투표행태를 이해하고 그 결과를 예측하는 것은 민주주의에서 매우 중요하다. 시민은 투표를 통해 정책결정 과정에 참여하기 때문이다. 투표행태를 이해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중요한 속성을 이해하는 것과도 같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두 가지가 달라졌다. 첫째, 각 장의 이론적인 설명을 수정하거나 보강했다. 특히 제2장과 제3장은 완전히 새로 썼다. 둘째, 각 장 후반부의 한국 사례를 최근 선거 결과로 대체했다. 여기서 소개하는 이론은 기초적이며 끊임없이 수정되고 발전하고 있다. 이 분야에 입문하려는 이들에게 이 책이 좋은 출발점이 되었으면 한다.

가난한 사람이 왜 보수정당에 투표하는가?
다양한 이론으로 분석하는 투표행태


‘유권자는 정당과 후보자를 어떻게 선택하는가?’라는 질문은 정치학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었다. 그러나 그 해답을 구하려는 정치학자들의 노력은 20세기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때가 되어서야 일반 유권자에게까지 투표권이 확대되었고, 투표행태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절감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게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명쾌한 해답을 아직 내놓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표행태를 설명하는 이론은 다양할 수밖에 없다. 주목할 점은 이론의 내용이 서로 배타적이지 않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투표행태를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체를 ‘이론의 발전사’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이 책에서는 본격적인 투표행태에 대한 연구인 ‘컬럼비아 학파(Columbia School)’의 사회학적 관점에서부터 ‘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신제도주의까지 여러 이론을 살펴본다. 즉, 투표행태를 설명하기 위해 새롭게 등장한 이론이 기존 이론의 어떤 내용을 비판하고 있고 어떤 부분을 받아들이고 있는지, 혹은 이후 어떻게 자체적으로 수정되고 발전되는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국의 투표행태를 분석하며 ‘살아 있는’ 이론의 가능성을 모색하다!
최근의 선거 결과로 한국 사례를 대체한 개정판


한국의 유권자들은 무엇을 기준으로 투표를 결정하는가? 한국 사회는 농촌의 경우 전근대적 문화가 여전히 남아있던 반면, 경제성장과 산업화로 도시의 근대화는 급속히 진행되었다. 따라서 전통적 가치관이 지배적인 농촌 지역 유권자들은 권위주의 정치체제를 지탱하고 있던 여당에 투표했다. 반면 상대적으로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민주주의 가치를 중시하게 된 도시 유권자들은 야당을 지지하게 된다. 그렇다면 지금은 어떠한가? 여전히 농촌과 도시의 구분이 한국의 투표행태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는가? 2002년 제16대 대통령선거는 기존 선거와는 다른 모습을 보였는데 바로 세대에 따라 지지하는 후보가 다르게 나타난 것이다. 20대와 30대는 진보적 성향을 띠면서 노무현 후보를 지지했다. 반면 50대 이상은 보수적 성향을 강하게 보이면서 이회창 후보를 선택했다.
투표율은 어떠한가? 1980년대 중반 민주화 이후 한국의 투표율은 서구 민주주의 국가와 마찬가지로 하락 추세를 보이다 200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물론 거주 지역, 소득수준, 연령, 성별에 따라 투표율 또한 모두 다르다.
이처럼 이 책은 한국의 역대 대통령선거, 지방선거, 국회의원선거 결과를 바탕으로 투표행태 이론의 적합성을 따져본다. 투표행태 이론을 개괄하는 것 이상으로 그 이론의 실효성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 책에서 분석하는 한국의 역대 주요 선거 결과를 통해 다양한 투표행태 이론을 이해할 수 있으며 한국 사회를 설명하는 가장 적합한 이론을 찾을 수 있다.

책의 구조

이 책은 투표행태의 이해를 위한 이론들을 각 장에서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투표행태 연구의 시발점으로 평가되는 컬럼비아 학파의 사회학적 이론을 정리하며, 제2장에서는 이를 심화·발전시킨 사회균열론에 근거한 투표행태 분석을 소개한다. 제3장에서는 미시간 학파의 사회심리학적 이론, 특히 정당일체감과 투표행태의 관계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다. 제4장에서는 합리적 선택 이론을 다룬다. 집단을 강조한 이전의 논의에서 학문적 관심을 개인으로 전환시킨 합리적 선택 이론의 주요 내용과 투표행태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제5장에서는 선거에서 쟁점이 투표행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를 정리한다. 합리적 선택 이론에서 발전한 공간 이론이나 방향성 이론 등을 소개한다. 제6장에서는 인지심리학적 이론을 다룬다. 스키마나 휴리스틱스 같은 인지심리학적 개념에 기초를 둔 투표행태의 이해를 소개하고, 대중매체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 성과를 정리한다. 제7장에서는 투표행태를 설명하기 위한 신제도주의적 접근과 그 연구 성과를 요약한다. 선거제도에 의해 투표행태가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논의한 주요 학자의 주장과 사례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제8장에서는 ‘투표 참여와 기권’의 문제를 다룬다. 이 장은 유권자들이 어떻게 선택하는지의 문제가 아니라 왜 투표장에 가는지 혹은 왜 기권하게 되는지를 살펴본다. ‘참여와 기권’이라는 질문에 대해 앞의 장들에서 소개된 각각의 이론이 서로 다른 해답을 제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임성학(지은이)

연세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펜실베이니아주립(Pennsylvania State)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현재 서울시립대 국제관계학과 교수로 재직중. 주요 논문으로 '한국의 은행해외매각과 금융개혁: 제일, 서울은행의 비교연구' 「국제정치논총 40」(2000) 등이 있따.

조진만(지은이)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는 2004년 "정치체계의 특성과 의회 입법수행능력: 55개국 교차국가분석"이라는 주제의 논문으로 취득하였다.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후 연세대학교 리더십센터 교육전문연구원,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정치학과 연구교수,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 덕성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분야는 비교정치와 한국정치로 의회, 선거, 정당과 관련된 연구들을 주로 수행하였다. 최근 주요 연구물로는 『선거제도의 변화와 17대 총선』 (저서, 2006), 『매니페스토의 올바른 이해와 사용: 서구 25개국의 매니페스토 연구』 (역서, 2007), "국무총리 인사청문회의 구성과 운영에 대한 경험적 분석" (『Oughtopia』 2010)을 포함하여 다수의 논문들을 Electoral Studies, Pacific Focus, Korea Observer, Asian Perspective, 『한국정치학회보』, 『의정연구』, 『국가전략』 등의 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이동윤(지은이)

2008년 현재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로 있다.

전용주(지은이)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캔자스 대학교(University of Kansas)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동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공저자로 참여한 『정치자금과 선거』(2004), 『현대비교정치이론과 한국적 수용』(2009), 『헌법개정의 정치』(2010), 『한국 지방자치의 현실과 개혁 과제』(2014), 『투표행태의 이해(개정판)』(2017) 등이 있다.

최준영(지은이)

◆ 약력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Florida State University 정치학 박사 ◆ 주요 논문/저서 『견제와 균형: 인사청문회의 현재와 미래를 말한다』 (써네스트, 2013) “헌법재판소장, 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에 나타난 정파적 특성” (『21세기정치학회보』, 2013) “경제적 불평등의 심화와 미국의 위기” (『동서연구』, 2013) “한국 공천제도에 대한 연구동향과 향후 연구과제” (『한국정당학회보』, 2012)

이소영(지은이)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같은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한 후 미국 텍사스대학교(오스틴) 정치학과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구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미국정치, 비교정치, 정치 커뮤니케이션이 전공분야다. 대표 논문으로는 「2012 한국 여성 유권자의 정치적 정향과 투표행태」(『한국정치학회보』 제47집 5호, 2013), 「풀뿌리 조직화와 2008 오바마 캠페인」(『미국학논집』 제43권 2호, 2011), 「대의민주주의와 소통: 미국 오바마 행정부 하의 의료보험개혁 사례를 중심으로」(『21세기정치학회보』 제20집 3호, 2010), “Regionalism as a Source of Ambivalence”(Korea Observer, 2009), 「의회개혁, 정당강화, 그리고 미국하원의 대표성」(『한국정치학회보』 제42집 4호, 2008) 등이 있으며, 공저로 『소셜네트워크와 정치변동』(2012), 『정치적 소통과 SNS』(2012), 『지속가능한 공존의 미래문화』(2012) 등이 있다.

조성대(지은이)

1999년 12월 미주리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현재 한신대학교 국제관계학부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선거학회와 한국정당학회의 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주요 연구물로는 “Issues, the Spatial Theory of Voting, and British General Elections: A Comparison of Proximity and Directional Models”(2003, Public Choice, with James W. Endersby), “부동층에 관한 연구: 19대 총선에서 정당선호, 선거쟁점과 투표 결정 시기”(2013, 『한국정치학회보』), “민주화 이후 한국 대통령선거에서 제3후보 현상과 선거연합에 관한 연구”(2013, 『선거연구』), “대통령제와 연립정부: 제도적 한계의 제도적 해결”(2012, 『한국정치학회보』, 홍재우·김형철과 공저), “균열구조와 정당체계: 지역주의, 이념, 그리고 2007년 한국 대통령선거”(2007, 『현대정치연구』) 등이 있다. 사회활동도 활발해 2015년 현재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의 소장의 역할을 맡고 있다.

한정택(지은이)

연세대학교 북한연구원 전문연구원 연세대학교 정치학 박사 주요 저서와 논문: “The Political Information Environmen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18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Korea Observer Vol. 45, No. 4(2014), 「남북한 젊은 세대의 통일의식 비교 분석」, <동서연구> 26(1)(2014), 「민주화 이후 호남의 소지역주의」, <현상과 인식> 37, 57-77(2013), 「현직자의 당적변경과 재당선」, <한국정치학회보> 45(2), 99-119(2011) 등

엄기홍(지은이)

연세대학교 정치학사 및 정치학 석사 University of Kentucky 정치학 박사 Harvard-Yenching Institute, Visiting Scholar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Fulbright Scholar 현) 경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현)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소장 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자문위원회 자문위원 현) 대구광역시 정보화추진위원회 자문위원 <주요 논문> 「Democratization Effects of Campaign Contribution Limits in Gubernatorial Elections」 (공저) 「Generation Effects, To Be or Not To Be: Empirical Analyses of Korean National Assembly and Presidential Elections」 (공저) 「Contribution Limits and Disparity in Contributions between Gubernatorial Candidates」 (공저) 「노무현 대통령의 자주국방 인식: 노무현 대통령 연설문집 분석을 중심으로」 (공저) 「한국 국회의원은 부패했는가?: 제19대 국회의원 재산자료를 통해 본 경험적 연구」 「고액 정치후원금의 정치적 대표성: 대통령선거 경선, 국회의원선거, 광역단체장선거 후보자 후원회에 관한 경험적 분석」 「한국 후원회의 정치자금 기부금 결정요인: 2004-2006년 기부금액에 대한 경험적 분석」 외 다수 <주요 저서> 『정치학 연구방법론으로의 초대: Stata로 따라하기』 『권위주의 체제, 선거 그리고 민주주의: 제5공화국의 선거들』 『한국 국회와 정치과정』 (공저) 『투표행태의 이해』 (공저) 외 다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개정판 머리글 
초판 머리글 

서 문 투표행태,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_ 전용주 
1. 선거와 투표 | 2. 경쟁하는 이론들 | 3. 이 책의 구성 

제1장 유권자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투표행태: 사회학적 관점 _ 임성학 
1. 들어가며 | 2. 사회학적 접근법의 주요 이론적 내용과 방법론 | 3. 한국에서의 사회학적 접근법 적용 | 4. 나오며 

제2장 사회균열과 투표행태: 정치사회학적 관점 _ 전용주ㆍ이동윤 
1. 들어가며 | 2. 정치사회학적 관점의 주요 이론적 내용 | 3. 한국에서의 정치사회학적 접근의 적용 | 4. 나오며 

제3장 정당일체감과 투표행태: 사회심리학적 관점 _ 최준영ㆍ한정택 
1. 들어가며 | 2. 정당일체감: 사회심리학적 미시간 모델 | 3. 정당일체감을 둘러싼 논쟁: 수정주의자들의 비판 | 4. 한국에서의 정당일체감 | 5. 나오며 

제4장 합리적 선택 이론과 투표행태: 경제학적 관점 _ 엄기홍 
1. 들어가며 | 2. 합리적 선택 이론과 투표행위: 이론과 적용 | 3. 한국에서의 합리적 선택 이론 적용 사례 | 4. 나오며 

제5장 선거 이슈와 투표행태 _ 최준영 
1. 들어가며 | 2. 이슈 투표: 이론과 쟁점 | 3. 한국에서의 이슈 투표 연구 | 4. 나오며 

제6장 인지구조와 대중매체, 그리고 투표행태: 인지심리학적 관점 _ 이소영 
1. 들어가며 | 2. 인지심리학적 접근법의 주요 이론적 논의 | 3. 한국에서의 인지심리학적 접근법 적용 | 4. 나오며 

제7장 선거제도와 투표행태: 신제도주의적 관점 _ 조진만 
1. 들어가며 | 2. 신제도주의와 유권자의 투표행태 | 3. 선거제도와 유권자의 투표행태 | 4. 한국의 선거제도와 유권자 투표행태 연구 | 5. 나오며 

제8장 투표 참여와 기권 _ 조성대 
1. 들어가며 | 2. 민주주의와 선거 | 3. 투표 참여와 기권에 대한 이론과 논의 | 4. 한국에서의 투표 참여와 기권 연구 | 5. 나오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구교태 (2023)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2022)
이재명 후보비서실. 메시지팀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