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38645 | |
005 | 20221013131020 | |
007 | ta | |
008 | 180405s2018 ulka 000c kor | |
020 | ▼a 9788937436574 (v.1) ▼g 04100 | |
020 | ▼a 9788937436581 (v.2) ▼g 04100 | |
020 | ▼a 9788937436598 (v.3) ▼g 04100 | |
020 | ▼a 9788937436604 (v.4) ▼g 04100 | |
020 | ▼a 9788937436611 (v.5) ▼g 04100 | |
020 | ▼a 9788937436628 (v.6) ▼g 04100 | |
020 | ▼a 9788937436635 (v.7) ▼g 04100 | |
020 | ▼a 9788937436642 (v.8) ▼g 04100 | |
020 | 1 | ▼a 9788937436567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028.1 ▼2 23 |
085 | ▼a 028.1 ▼2 DDCK | |
090 | ▼a 028.1 ▼b 2018z3 | |
245 | 0 0 | ▼a 고전 강연 / ▼d 이승환 [외] |
260 | ▼a 서울 : ▼b 민음사, ▼c 2018 | |
300 | ▼a 책 : ▼b 삽화 ; ▼c 22 cm | |
440 | 0 0 | ▼a 문화의 안과 밖. ▼n 2, ▼p 오늘을 성찰하는 고전 읽기 |
505 | 1 0 | ▼n 1. ▼t 개론 / ▼d 이승환, ▼e 유종호, ▼e 심경호, ▼e 이남호, ▼e 김호동, ▼e 김상환, ▼e 여건종 ▼g (333 p.) -- ▼n 2. ▼t 고전시대 / ▼d 박종현, ▼e 조대호, ▼e 강대진, ▼e 배병삼, ▼e 오강남, ▼e 장현근, ▼e 이승환, ▼e 이효걸, ▼e 김우창 ▼g (379 p.) -- ▼n 3. ▼t 전근대 / ▼d 임철규, ▼e 김수용, ▼e 이승환, ▼e 이광호, ▼e 백민정 ▼g (215 p.) -- ▼n 4. ▼t 근대정신과 비판 / ▼d 백종현, ▼e 강순전, ▼e 박찬부, ▼e 박찬국, ▼e 오생근, ▼e 장춘익, ▼e 김상환, ▼e 김성곤 ▼g (348 p.) -- ▼n 5. ▼t 근대 사상과 과학 / ▼d 곽준혁, ▼e 박세일, ▼e 강신준, ▼e 최장집, ▼e 장대익, ▼e 홍성욱, ▼e 오세정 ▼g (289 p.) -- ▼n 6. ▼t 근대·현대 소설 (1) / ▼d 윤상인, ▼e 전형준, ▼e 이동렬, ▼e 김화영, ▼e 송병선 ▼g (205 p.) -- ▼n 7. ▼t 근대ㆍ현대 소설 (2) / ▼d 문광훈, ▼e 석영중, ▼e 박현섭, ▼e 유종호, ▼e 꾸마르, 로이 알록 ▼g (264 p.) -- ▼n 8. ▼t 한국 현대 문화 / ▼d 홍정선, ▼e 김우창, ▼e 이남호, ▼e 유종호 ▼g (247 p.) |
536 | ▼a 이 책은 네이버 문화재단의 후원으로 만들어졌음 | |
700 | 1 | ▼a 이승환, ▼e 저 ▼0 AUTH(211009)71744 |
700 | 1 | ▼a 심경호, ▼g 沈慶昊, ▼d 1955- ▼0 AUTH(211009)126506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1 2018z3 1 | 등록번호 11178911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1 2018z3 1 | 등록번호 11180171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1 2018z3 2 | 등록번호 1118029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1 2018z3 3 | 등록번호 11180271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1 2018z3 4 | 등록번호 1118027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1 2018z3 5 | 등록번호 11180271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1 2018z3 6 | 등록번호 11180271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8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1 2018z3 7 | 등록번호 1118017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9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28.1 2018z3 8 | 등록번호 1117895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고전 강연 시리즈. 평생에 걸쳐 고전을 탐독하고 연구해 온 최고의 대가들과 함께 한 걸음 더 깊이 들어가는 고전 읽기를 선보인다. 플라톤, 공자 등 고대 사상부터 셰익스피어, 괴테 등 대문호의 문학 작품들, 스티븐 호킹에 이르는 현대 과학까지 시대와 분야를 초월해 지금까지 널리 읽히고 사랑받는 고전 작품을 총망라했다.
1권 ‘개론’ 편에서는 본격적인 작품 읽기에 앞서 동서양과 한국의 고전 전통을 개괄하고 오늘날 사상과 문화 연구의 흐름을 짚는다. 고전 그 자체를 탐색하는 일곱 편의 글을 통해 오랜 시간 꾸준히 읽혀 온 고전의 가치를 다시금 음미할 수 있다.
‘나는 누구인가?’ ‘세상은 어떤 곳인가?’ ‘그리고 나는 이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까?’
가장 중요한 물음은 되풀이해서 물어야 하고, 또 되풀이해서 답을 구해야 한다. 고전은 이런 물음과 사유를 자극하는 발판과도 같다. 인간의 모순됨과 허약함을 밝혀내고 삶 속에 담긴 우여곡절을 드러내 보이며 그럼에도 인간이 지향해야 할 가치와 태도에 대해 알게 해 준다. 그래서 삶의 본질적인 질문과 마주칠 때 우리는 고전으로 돌아간다.
전 8권으로 구성된 『고전 강연』은 평생에 걸쳐 고전을 탐독하고 연구해 온 최고의 대가들과 함께 한 걸음 더 깊이 들어가는 고전 읽기를 선보인다. 플라톤, 공자 등 고대 사상부터 셰익스피어, 괴테 등 대문호의 문학 작품들, 스티븐 호킹에 이르는 현대 과학까지 시대와 분야를 초월해 지금까지 널리 읽히고 사랑받는 고전 작품을 총망라했다. 『고전 강연』에 실린 50편의 글은 세상의 모든 지혜가 담긴 고전의 산을 오르는 데 가장 알차고 믿을 만한 가이드임을 자부한다.
시대와 분야를 초월한 불멸의 고전을 만나다
대가의 사색과 통찰을 응축한 고전 길잡이 50강
『고전 강연』은 충실한 해석, 당대의 맥락, 현대적 의미를 아우른다는 원칙 아래 인류 문명의 정수가 담긴 고전의 세계로 독자들을 안내한다. 무엇보다 참여한 저자들의 면면이 돋보인다. 한국의 지성 김우창 교수는 야스퍼스의 『역사의 근원과 목적에 대하여』 독해를 통해 인류의 정신적 도약과 그로 인한 고전의 출현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조망하며(2권), 8권에 실린 그의 본격적인 서정주론(論)도 주목할 만한 작업이다. 유종호 교수는 언제나처럼 유려한 문체로 서양의 고전 전통을 일별하면서(1권) 김소월?정지용(8권)과 밀란 쿤데라(7권) 감상을 통해 총론과 각론, 국내와 해외 문학을 넘나드는 폭넓은 사유를 보여 준다. 칸트 저작 번역 시리즈로 이름 높은 백종현 교수는 『순수이성비판 1』의 구성과 핵심 개념들을 촘촘히 짚어 가며(4권), 불문학자 김화영 교수는 『마담 보바리』의 흥미진진한 이야기에 가려 자칫 간과할 법한 소설의 구조를 펼쳐 보인다. 일일이 다 적지 못하지만, 모두 해당 고전 텍스트의 번역과 연구로써 우리 사회의 정신문화를 풍요롭게 일구는 데 크게 기여한 석학들이다. 이들이 하나의 글에 응축한 사색과 통찰의 결실은 고전 텍스트를 보다 깊이 읽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즐거운 초대가 될 것이다.
시민과 호흡해 온 <열린연단: 문화의 안과 밖>
두 번째 시리즈 ‘오늘을 성찰하는 고전 읽기’ 완간
『고전 강연』은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한국 사회를 총체적?다각적으로 조망하고 삶의 지표를 탐구하는 대형 강연 프로젝트 <문화의 안과 밖>의 두 번째 시리즈 ‘오늘을 성찰하는 고전 읽기’를 책으로 엮은 것이다. <문화의 안과 밖>은 매주 1회 현장 강연이 진행되며, 올해로 다섯 번째 시리즈에 접어들면서 대중과 지식 사회가 함께하는 지적 공론과 문화적 담론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장 강연이 종료된 후에도 네이버 열린연단(http://openlectures.naver.com)을 통해 온라인 및 모바일로 강연 영상이 서비스되는바, 열린연단의 강연 시청과 이 책 『고전 강연』의 독서는 고전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서로 좋은 심화 과정이 되겠다.
1권 개론: 고전을 읽는다는 것
‘개론’ 편에서는 본격적인 작품 읽기에 앞서 동서양과 한국의 고전 전통을 개괄하고 오늘날 사상과 문화 연구의 흐름을 짚는다. 고전 그 자체를 탐색하는 일곱 편의 글을 통해 오랜 시간 꾸준히 읽혀 온 고전의 가치를 다시금 음미할 수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심경호(지은이)
현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1955년 충북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일본 교토대학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한문학과 교수 및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한학 입문』 『김시습 평전』 『안평』 『김삿갓 한시』 『내면기행』 『산문기행』 『한국의 석비문과 비지문』 『호, 주인옹의 이름』 30여 종이 있다. 역서로 『주역철학사』 『서포만필』(상·하) 『심경호 교수의 동양 고전 강의: 논어』(1~3) 30여 종이 있다.
유종호(지은이)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서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뉴욕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학했다. 공주사범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가르쳤고, 연세대학교 국문학과에서 석좌교수로 퇴임하면서 교직 생활을 마감했다. 저서로 『유종호 전집』(5권), 『시란 무엇인가』, 『문학이란 무엇인가』, 『서정적 진실을 찾아서』, 『한국근대시사』, 『나의 해방 전후』, 『그 겨울 그리고 가을』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 샬럿 브론테의 『제인 에어』, 아이리스 머독의 『그물을 헤치고』, 윌리엄 워즈워스의 『하늘의 무지개를 볼 때마다』 등이 있다. 네이버 ‘문화의 안과 밖’에서 펼친 명강의들은 『고전 강연』, 『예술과 삶에 대한 물음』 등으로 출간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며, 현대문학상, 대산문학상, 인촌상, 대한민국예술원상, 만해학술대상 등을 수상했다.
이남호(지은이)
고려대학교 국어교육학과 명예교수, 평론가. 고려대학교 국문학과와 동 대학원 졸업. 1980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평론으로 등단. 주요 저서로 『한심한 영혼아』, 『문학의 위족』, 『녹색을 위한 문학』, 『문학에는 무엇이 필요한가』, 『일요일의 마음』, 『문자제국쇠망약사』, 『이 쓸쓸한 뜰에 저 어지러운 구름 그림자』, 『교과서에 실린 문학작품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혼자만의 시간』, 『상상력의 보물창고』, 『느림보다 더 느린 빠름』, 『보르헤스 만나러 가는 길』 등이 있다. 현대문학상, 소천비평문학상 수상.
이승환(지은이)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대학교 철학연구소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하와이 주립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아대학교를 거쳐 2018년 현재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동양철학회 회장과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횡설과 수설: 400년을 이어 온 성리 논쟁에 대한 언어분석적 해명』, 『유교 담론의 지형학』, 『유가 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서양과 동양이 127일간 e-mail을 주고받다』(공저), 『중국 철학』(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주자 수양론에서 미발(未發)의 의미」, 「성리학 기호 배치 방식으로 보는 조선 유학의 분기」 등이 있다.
김상환(지은이)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현대철학의 다양한 통찰을 바탕으로 지금의 우리 모습과 시대를 진단하는 글을 써왔으며, 현대철학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재구성하는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일꾼과 이야기꾼』(공저, 2022), 『이야기의 끈』(공저, 2021), 『왜 칸트인가』(2019), 『근대적 세계관의 형성』(2018), 『김수영과 『논어』(2018), 『철학과 인문적 상상력』(2012)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차이와 반복』(2004) 등이 있다.
김호동(지은이)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에서 1860~70년대 신강 무슬림 반란에 대한 박사논문으로 내륙아시아 및 알타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6년 귀국 후 서울대학교에 재직하면서 중앙아시아학회 회장, 동양사학회 회장 및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소장 등을 지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국내 중앙유라시아사 분야의 선구자로 주요 1차 사료의 역주서를 다수 펴냈다. 『몽골비사』, 『원사』와 함께 몽골제국사 연구의 3대 기본 사료라 할 수 있는 라시드 앗 딘의 집사 5부작 『부족지』(2002), 『칭기스 칸기』(2003), 『칸의 후예들』(2005), 『일 칸들의 역사』(2018), 『이슬람의 제왕―가잔 칸과 그의 시대』(2023)를 완간했고, 그 밖에 팍스 몽골리카 시대의 여행서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2000)과 『몽골제국 기행: 마르코 폴로의 선구자들』(2015) 등을 펴냈다. 주요 저서로는 『근대 중앙아시아의 혁명과 좌절』(1999)(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출판부에서 ‘Holy War in China’라는 제목으로 2004년 출간), 『동방 기독교와 동서문명』(2002), 『몽골제국과 고려』(2007),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2010),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2016) 등이 있다. 『유목사회의 구조』(1990), 『칭기스 칸』(1992), 『유라시아 유목제국사』(공역, 1998), 『이슬람 1400년』(2001) 등 번역서를 출간하여 해외 학계의 중요한 연구 성과를 국내에 소개했다. 그 밖에 중국 내 소수민족 탐방기인 『황하에서 천산까지』(1999)와 서구중심주의를 뛰어넘는 세계사상을 모색한 문명 비교 탐사기 『유라시아 천년을 가다』(공저, 2002)를 집필했다. 최근에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역사 시리즈’ 가운데 하나인 『케임브리지 몽골제국사The Cambridge History of the Mongol Empire』의 책임 편집과 집필을 맡아 출간을 준비하고 있다. 이 책의 간행은 몽골제국사가 세계사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분야이자 시대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여건종(지은이)
1957년 서울에서 태어났고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욕 주립대(버팔로)에서 영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숙명여대 영어영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영국소설, 자본주의 문화연구, 영미대중문화 등을 가르치고 있다, 1999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인문학 계간지 『비평』의 편집주간을 맡았다. 2003년 미국 듀크 대학의 프리먼 재단의 초청으로 동아시아 학과에서 ‘현대 한국문화’ 과목을 한 학기 동안 강의했다. 김대중 정부 시절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문화 분과 위원으로 시민의 문화적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2008년부터 3년간 경향신문의 「사유와 성찰」 칼럼을 집필했다. 2007년에 영문학자들의 연구 모임인 ‘영미문학연구회’ 대표를 맡았었고, 2008년에는 대학에서 교양인문학을 강의하고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교양인문학의 학문적 독자성과 전문성을 확립하기 위해 만든 ’사고와 표현학회’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한국비평이론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현재는 한국영어영문학회 회장으로 있다. 저서로는 『문학, 역사, 사회』 『현대 문화론의 이해』 『영미명작, 좋은 번역을 찾아서』 『21세기 문예이론』 등의 공저가 있고, 『현대문학이론』 『햄릿』을 번역했다.

목차
[1권] 머리말 01 동양의 고전-동양 고전 이해를 위한 방법론적 서언 (이승환) 02 서양의 고전-한 시험적 조망 (유종호) 03 한국의 고전-그 역사적 특성과 새로운 생성 (심경호) 04 근대 한국의 고전-20세기 전반기 문학의 비평적 재검토 (이남호) 05 이슬람 문명의 모험-몽골의 충격과 그 이후 (김호동) 06 오늘의 사상의 흐름-현대 철학사를 보는 몇 가지 관점 (김상환) 07 문화 연구와 문학 연구-일상적 삶의 상징 생산과 유물론적 미학 (여건종) 주 고전 강연 전체 목록 [8권] 머리말 47 시대에 대한 통찰과 내면세계의 확장-염상섭의 「만세전」과 『삼대』 읽기 (홍정선) 48 떠돌이의 귀향-미당 서정주의 시 읽기 (김우창) 49 단편 소설의 현재성-김동인, 김유정, 김동리, 이태준의 단편 소설 읽기 (이남호) 50 귓가에 선연한 시, 정련된 언어로 빚은 시-김소월과 정지용의 시 읽기 (유종호) 주 고전 강연 전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