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장 응시: 문학의 어깨에 올라 역사 전망의 바깥에 서다
해방기 정지용 시의 연구
현실인식의 변주를 중심으로 - [장철환]
해방기 ''전위''의 초상
『전위시인집』의 특징을 중심으로 - [강계숙]
만주의 우울
백석의 후기 시편에 나타난 시적 자의식 - [강동호]
『오랑캐꽃』의 이용악과 해방기 연구
해방기 자기비판담론에서 자율적 예술의 사회성과 정치성 - [양순모]
기억ㆍ정치이념과 몸의 정체성
해방기 이용악의 시 세계를 중심으로 - [조영추]
''이념''과 ''시''의 이율배반과 월북 시인 오장환 - [홍성희]
제2장 기투: 문학의 물레로 나를 뽑아 둥지를 잣다
시인이란 기억 뒤의 한국문단 건설자 - [홍정선]
해방기 시론의 보편주의 연구
김기림, 조지훈, 김동석의 시론을 중심으로 - [조강석]
해방기 서정주의 선택과 ''신라''의 재현 양상 - [임곤택]
설정식 시에 나타난 민족의 형상
조국건설의 과제 앞에 선 한 해방기 지식인의 특별한 선택과 그 시적 투영 - [정과리]
시인/시민이 가야 할 미래는 무엇인가
박인환 시 세계의 ''연안-분신''의 발생과 소멸을 중심으로 - [최서윤]
제3장 정황: 텅 빈 몸 안에 어겹된 타자들
민족을 상상하는 해방기의 문학
일(日)ㆍ미(美) 표상을 중심으로 - [강정구]
모스크바의 추억
해방기 소련기행의 문화정치학 - [임유경]
민족문화의 기획과 외국문화의 수용
해방기 외국문학 수입 양상과 미국시를 중심으로 - [최호빈]
수록 논문 출처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