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937357 | |
005 | 20181219162438 | |
007 | ta | |
008 | 180327s2018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57174715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4687412 | |
040 | ▼a 247009 ▼c 247009 ▼d 211009 | |
082 | 0 4 | ▼a 331.12 ▼2 23 |
085 | ▼a 331.12 ▼2 DDCK | |
090 | ▼a 331.12 ▼b 2018z3 | |
100 | 1 | ▼a 차우준 |
245 | 1 0 | ▼a 우리의 일자리는 어디에 있는가? : ▼b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 제도의 개선 방향 / ▼d 차우준 지음 |
260 | ▼a 서울 : ▼b 내하출판사, ▼c 2018 | |
300 | ▼a 268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258-268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1.12 2018z3 | Accession No. 15133932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대한민국이 가지는 구조적인 사회문제들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조금씩 정리해 두었던 내용들을 토대로 작성되었다. 사실, 지금까지 발표했었던 경제·경영·정책 분야의 논문들에서는 학술지들이 정하고 있는 형식과 기술방법의 제약들로 인하여 정리해 두었던 내용들을 모두 담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한 권의 책으로 엮어 내리라 결심을 했고 결국은 이렇게 출간을 하여 독자들에게 선보일 수 있게 되었다.
저자가 이 책을 통하여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는 간결하면서도 명확하다. “대한민국은 심각한 구조적인 문제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질을 정확히 꿰뚫어 보고 이해해야만 한다.” 바로 이것이 저자가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이다.
“대한민국은 심각한 구조적인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경제, 경영혁신, 기술혁신, 교육정책 등 ―
현재의 심각한 구조적인 문제들의 본질을 정확히 꿰뚫어 보다!
저자는 대학교부터 대학원까지 약 15년 동안 이·공학을 전공한 공학자이다. 박사과정을 마무리 하던 무렵인 2014년 정말 저자에게는 우연치 않은 기회가 찾아와 금융 산업의 한 축을 이루는 신용평가회사에 입사를 하게 되었고, 그곳에서 국내 대기업 및 중소기업 들을 평가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었다. 저자는 그 경험이 기반이 되어 은행으로 이직을 했고, 경영 분야를 다루는 학회 활동을 하면서 대한민국의 산업구조와 창업환경, 중소기업 정책 등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최근 3년 동안 저자는 여러 편의 논문들을 경제·경영·정책 분야의 학술지들에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이 가지는 구조적인 사회문제들을 깊이 있게 이해하게 되었다.
이 책은 대한민국이 가지는 구조적인 사회문제들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조금씩 정리해 두었던 내용들을 토대로 작성되었다. 사실, 지금까지 발표했었던 경제·경영·정책 분야의 논문들에서는 학술지들이 정하고 있는 형식과 기술방법의 제약들로 인하여 정리해 두었던 내용들을 모두 담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한 권의 책으로 엮어 내리라 결심을 했고 결국은 이렇게 출간을 하여 독자들에게 선보일 수 있게 되었다.
저자가 이 책을 통하여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는 간결하면서도 명확하다. “대한민국은 심각한 구조적인 문제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질을 정확히 꿰뚫어 보고 이해해야만 한다.” 바로 이것이 저자가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이다.
일반적으로 사회문제들을 인식하고 분석하고 해결책을 내놓던 경영학자, 경제학자, 사회과학자 등의 시각과 저자의 시각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흔히 사람들은 자신들의 조직 내에서 해결이 어려운 문제가 생기면 외부에 맡기던지, 또는 전혀 다른 전공과 경험을 가진 인사를 영입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그 이유는 바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시각은 동일한 문제라 하더라도 전혀 다른 본질로 인식하게 하는 마력이 있다. 따라서 공학자인 저자의 시각은 지금까지 해결하고 있지 못했던 대한민국의 사회문제에 도움이 될 수밖에 없다.
이 책을 구성하고 있는 각 장들의 주제가 비교적 무겁기 때문에 지레 겁을 먹을 수 있다. 그러나 그러지 않았으면 좋겠다. 저자는 최대한 쉽게 읽어갈 수 있도록 이 책을 집필했다. 아마도 20세 이상의 대학생 및 사회인이라면 전공을 불문하고 교양서 정도로 접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여하간 이 책이 독자들의 시각을 넓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차우준(지은이)
저자는 고려대학교에서 나노기술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현재 불편한연구소(CAATLab.)의 대표이다. 저자는 2014년까지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 나노기술이 적용된 촉매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했으며, 그 이후로는 금융기관에 소속되어 창업/중소기업의 금융지원을 위한 업무들을 담당했다. 주요 관심분야는 기후변화, 환경기술, 적정기술, 자본과 기술혁신의 상호관계, 각종 사회문제 등이다. 특히, 부의 양극화와 커뮤니티의 붕괴, 프레임 정치화, 기성단체들의 기득권화, 소수자의 기본권 문제 등은 저자가 현장의 목소리를 귀담아 듣고서 글을 통해 세상에 고하고자 하는 주제들이다. 저서로는 ‘촉매와 환경기술(2017, 내하출판사)’과 ‘인류를 향한 경고, 기후 변화(2019, 내하출판사)’, ‘기술경제와 경제발전(2019, 내하출판사)’, ‘기술금융과 기술혁신(2020, 내하출판사)’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프롤로그 = 3 Chapter 01 왜, 기술창업인가? 나날이 어려워지는 일자리 문제 = 11 국가는 우리를 돌볼 수 있는가? = 14 취약해지는 대한민국 산업ㆍ경제 구조 = 19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창업? = 24 기술창업? 필요하지만 지금 당장은 아니다 = 31 그날이 오면 = 44 Chapter 02 미래를 위한 기술혁신 우리의 삶과 기술혁신 = 51 민간 시장의 R&D = 57 공공 영역의 R&D = 69 R&D에 대한 정부의 시장개입 = 71 우리는 지금부터 무엇을 해야 하는가? = 81 미래를 위한 기술혁신 = 84 Chapter 03 홍익인간 정예요원 양성 과학기술계의 문제, ''''이공계 기피'''' = 89 과학기술인력 양성의 중요성 = 94 절에 문제가 있어도 중보고 떠나라 할 것인가? = 100 동기가 취약한 진학 = 101 영화, ''''두사부일체''''? = 107 근로자인 듯, 근로자 아닌, 근로자 같은 = 115 오랜 수련 후 하산을 해봐야 푸대접, ''''열악한 처우'''' = 120 대한민국, 지금부터 잘 들으시오! = 124 이육사가 ''''초인''''을 기다리듯이 = 130 Chapter 04 일자리를 만드는 자본시장 왜, 자본시장인가? = 135 장기자본시장(투자 중심) = 140 직접 자본조달 시장(투자금 회수시장) = 164 단기자본시장(여신 중심) = 178 기술금융 = 195 창업 생태계를 위한 자본시장 = 198 Chapter 05 기술평가, 새로운 성장 동력원 찾기 기술평가란 무엇인가? = 207 기술평가는 무엇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 211 기술신용평가는 기술평가와 무엇이 다른가? = 234 어떤 목적으로, 어떤 기업을 평가할 것인가? = 237 기술평가는 왜 필요한가? = 255 참고문헌 =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