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정약용 & 최한기 : 실학에 길을 묻다 / 2판 (Loan 1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임부연
Title Statement
정약용 & 최한기 : 실학에 길을 묻다 / 임부연 지음
판사항
2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김영사,   2013  
Physical Medium
219 p. : 삽화 ; 23 cm
Series Statement
지식인 마을 ;18
ISBN
9788934921752 9788934921363(세트)
General Note
색인과 연부수록  
주제명(개인명)
정약용   丁若鏞,   1762-1836  
최한기   崔漢綺,   1803-1877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936333
005 20180328104507
007 ta
008 180323s2013 ggka 001c kor
020 ▼a 9788934921752 ▼g 04150
020 1 ▼a 9788934921363(세트)
035 ▼a (KERIS)BIB000010843481
040 ▼a 225009 ▼d 211035 ▼d 211031 ▼c 211009 ▼d 211009
082 0 4 ▼a 089.957 ▼a 181.119 ▼2 23
085 ▼a 089.97 ▼a 181.358 ▼2 DDCK
090 ▼a 089.97 ▼b 2006a ▼c 18.2
100 1 ▼a 임부연
245 1 0 ▼a 정약용 & 최한기 : ▼b 실학에 길을 묻다 / ▼d 임부연 지음
246 3 ▼a 정약용 and 최한기
250 ▼a 2판
260 ▼a 파주 : ▼b 김영사, ▼c 2013
300 ▼a 219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지식인 마을 ; ▼v 18
500 ▼a 색인과 연부수록
600 1 4 ▼a 정약용 ▼g 丁若鏞, ▼d 1762-1836
600 1 4 ▼a 최한기 ▼g 崔漢綺, ▼d 1803-1877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89.97 2006a 18.2 Accession No. 11178826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성리학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비판하며 그를 대신하여 조선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학문을 제시한 정약용과 최한기. 그들이 제시한 실학은 정치경제적 제도개혁은 물론 그 개혁의 주체인 지식인의 내면까지 새롭게 구성하려 했다.

선한 마음은 이미 사람의 본성에 내재되어 있다는 성리학과는 달리 사람은 단지 선을 좋아하는 본성만을 갖고 있을 뿐이어서 의식적인 노력과 선택 없이는 본성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고 주장한 정약용은 끊임없는 자기 성찰과 실천을 중시했다. 또한 도교와 불교, 성리학의 허무와 공(空)의 세계관을 비판하며 기(氣)로 충만한 세계를 꿈꾼 최한기는 기의 움직임과 소통을 통해 변화와 개방성을 추구하는, 기학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학문을 탄생시켰다.

철저한 자기 성찰을 통해 선한 행동을 실천할 것을 중시한 정약용과 나 자신과 타인, 그리고 사회와의 원활한 소통으로 대동의 세계를 꿈꾼 최한기. 혼란 속에서 삶과 사회 개혁을 꿈꾼 실학의 대가, 정약용과 최한기의 실학사상을 통해 현재 우리의 학문과 주체를 반성하고 지금의 시대를 구할 새로운 학문과 인간형을 모색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임부연(지은이)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강사. 논저로 「중국의 ‘종교’와 ‘유교’ 논쟁」(2015), 「정약용이 발견한 ‘天命’과 ‘交際’」(2018)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1장 지식인 마을로의 초대 
격변의 시대, 조선의 지식인은 무엇을 꿈꾸었는가? 

2장 지식인과의 만남 
1. 격변의 삶과 새로운 모색 
유배의 사상가, 다산 정약용 
모순의 현실에서 싹튼 개혁의 꿈 
독서와 저술의 세계인, 혜강 최한기 
공론에 따른 통치의 길 
2. 정약용, 인륜의 학문을 지향하다 
근거 없는 술수와 광대놀음의 과거는 없애야 
문장과 글자 풀이의 의미와 한계 
내세는 본가, 현세는 동물의 세계? 
공허한 이치와 성리학의 폐단 
3. 성찰과 실천의 주체를 위하여 
선을 좋아하는 마음의 욕구, 본성 
내면의 하늘과 자기 성찰 
인륜적 사유와 신독 
내면의 싸움과 윤리적 주체의 성립 
교제를 잘해라 
4. 최한기, 통합의 학문을 지향하다 
방술이나 잡학은 안 돼 
외도, 길 아닌 길 
그림자를 찾아 헤매는 이학 
모든 길은 기학으로 
5. 추측과 변통의 주체를 위하여 
세계의 보편적인 근원, 운화의 기 
신기, 세계와 소통하는 주체 
앎을 넓히는 요체, 추측 
통하고 또 변통하라 
대동의 꿈 
6. 다산과 혜강, 그 같음과 다름 
교제와 교접 
무형의 마음과 유형의 신기, 그 상이한 직통 
자연과 이난, 물리와 윤리 
경학의 실학과 기학의 실학 

3장 지식토크, 테마토크 
21세기 유교의 학문 대통령을 찾아서 

4장 이슈@지식 
유교를 종교라고 부를 수 있을까? 
우리의 자기 성찰적인 물음, 실학 

5장 징검다리 
같이 토론하기 
영어로 보는 원문 
지식인 지도 
지식인 연보 
키워드 찾기 
깊이 읽기